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성경에 오직 단 한번 사용된 단어(Hapax Legomena)는? 성경에 오직 단 한번 사용된 단어(Hapax Legomena)는? 1. Hapax Legomena란 “read once"라는 의미로 히브리어 성경 문맥 가운데 특별한 단어 형태나 단어들의 특별한 조합으로 주어진 문맥 이외에 다른 곳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문구의 경우 사용합니다. ​ 2. Hapax Legomena는 Hapax Legomenon의 복수를 말합니다. ​ 3. 구약 성경에 490여 군데 나오고 맛소라 사본과 같은 어근을 가진 유사한 형태를 Hapax Legomena로 분리할 경우 그 단어 수가 2천-8천 군데로 늘어나게 됩니다. ​ 4. Hapax Legomena는 성경 속 비교 구문이 없다는 점에서 성서학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기도 합니다. ​ 5. 물론 Hapax Legomena만이 중요한.. 더보기
펠라기우스의 사상은 무엇이었나요? 펠라기우스의 사상은 무엇이었나요?(기독교사상가 탐색) ​ 1. 생애 펠라기우스(Pelagius, 360?~420?)는 영국(아일랜드) 브리튼 태생의 박학다식한 수도사로 법률학도이자 영국 초기 신학자였고, 401~409년에는 로마에서 수도 생활을 했던 인기 있는 설교자였습니다. ​ 2. 수도의 삶에 동참 그는 아타나시우스가 열렬하게 경건한 수도(修道)의 삶을 설교한데 영향을 받아 경건하고 성품과 품행이 단정하여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던 인물입니다. ​ 3. 로마로부터 북아프리카로 가다 410년 고트족이 로마로 진격하자 펠라기우스와 그의 일행들은 남으로 시칠리섬을 거쳐 로마령 북아프리카로 갑니다. 그리고 일부는 팔레스틴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그는 친구이며 협력자요 추종자였던 켈레스티우스(Coelestius.. 더보기
헝가리, 유럽에 정착한 위대한 동양의 마자르족 헝가리, 유럽에 정착한 위대한 동양의 마자르족 마자르족의 이동을 보여주는 지도(헝가리 국립박물관 소재) 자존심 강한 위대한 마자르 족이 세운 헝가리 최근 한국인 관광객 다수가 포함된 부다페스트 다뉴브강의 안타까운 유람선 침몰로 인해 헝가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헝가리는 유럽에 정착한 위대한 동양의 마자르족이 중심이 된 나라다. 페스트 지역에 자리한 역사박물관 전시물에서도 마자르족의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언어와 화폐도 독립적인 자존심이 강한 나라다. 헝가리는 인구가 1천만 명도 되지 않아 우리의 5분지 1도 되지 않지만 노벨상을 11명이나 배출한 유럽의 작지만 큰 나라다. 노벨 물리, 화학, 생리의학상 뿐 아니라 경제학상과 문학상 수상자도 배출하였다. 2018년 하계 브라질 리우올림픽에서도 금메.. 더보기
창조주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창1:1, 출3:14, 요17:3, 히 11:3) 제 5과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창1:1,출3:14, 요17:3,히 11:3) 이제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를 하나 하나 배워보도록 합시다. 1. 사람이 하나님에 대해 알게되는 지식 1)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本有的 혹은 生得的 지식) 사람은 스스로 감각적, 이성적, 도덕적인 존재이기에 필연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소유하게 된다. 위급할 때나 불치의 병을 앓고 있을 때 혹은 사망의 위험에 직면할 때 사람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하나님’을 찾게 된다. 이것은 인간의 마음 속에 본질적으로 종교심이 있기 때문이다.(행 17:22) 2) 살아가면서 얻게 되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獲得的 혹은 後天的 지식) 이것은 하나님의 일반계시(자연)와 특별계시(성경)로부터 나오는 지식이다... 더보기
두아디라 교회에 보낸 편지(계 2 : 18-29, 요한계시록 강해 9) 에베소에서 나온 아데미 여신상(고고학 박물관 소장). 아데미 신전은 세계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였는데 아데미 여신은 당시 소아시아의 일반적인 우상문화였다. 소아시아 지역에 팽만하던 이런 우상 문화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두아디라 교회는 열심은 있었으나 이세벨이라는 거짓 여자 예언자에게 유혹 당한 교회였다. 창조와 종말 9- 두아디라 교회에 보낸 편지(계 2:18-29) 가. 시작하면서: 1. 지난 번에 우리들은 에베소교회와 서머나교회와 버가모교회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에베소교회는 진리는 있으나 사랑을 잃은 교회였고 버가모교회는 믿음이 있어 순교자를 배출한 훌륭한 교회였으나 분별력이 부족하여 거짓 교훈과 타협하고 바른 진리를 읺은 교회였습니다. 즉 교회 밖의 핍박은 이겼으나 교회 안의 거짓 유혹에는 넘.. 더보기
요르단 페트라(나바테아 왕국) 풍경-나바테아는 예수님 생애 전후 대표적 주변국 중 하나였다 요르단 페트라Petra(고대 나바테아Nabataean 왕국) 풍경 나바테아 왕국은 예수님 탄생 전후 지금의 요르단 남서부 페트라를 수도로 존속하던 국가였다. 주전 6세기 무렵 부족국가로 시작되어 주전 2세기 전반 왕정국가의 형태가 갖추어진 나라였다. 히브리인들과 근접해있었음에도 이들의 종교는 전혀 달랐다. 이들은 산정에 산당이 있어 이곳에서 제사를 지냈다. 바위산을 배경으로 성립된 왕국이기에 석주 숭배 사상이 강했다고 알려져 있다. 건조한 바위산 지역이었음에도 이들은 지정학적 위치를 잘 살려 무역과 상업으로 번창하게 된다. 바위는 그대로 이들 삶의 터전이었다. 유목과 대상무역을 통해 이들 나바테아 상인들은 에게해, 이탈리아 반도, 페르시아만 해안 등으로 진출하여 거점을 확보하였다고 알려지고 있다. 예수님.. 더보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 인류 역사 최고 천재 최초 과학자의 삶과 신앙 인류 역사 최고 천재는? 진정한 최초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다 빈치 포스터(다빈치의 고향과 근접한 베네치아에서) 인류 역사 최고 천재는? 최초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인류 최고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나리자》(1506년 제작)는 세상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명화 중의 하나이다. 이탈리아 피렌체에 사는 한 부자의 아내를 모델로 그렸다는 이 그림의 미소는 보는 사람들에게 신비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고는 한다. 한때 이 그림이 도둑맞았을 때 프랑스 사람들이 이 그림을 도둑맞은 루브르 박물관으로 몰려들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만큼 모나리자야말로 세계인들이 가장 아끼는 그림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루브르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수많은 명작 가운데 오직 이 작품만큼은 근접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통.. 더보기
아담은 어떻게 그 많은 동물들의 이름을 지었을까? (창 2:19) Q.) 성경에 의하면 처음 동물의 이름을 지은 사람은 첫 사람 아담이었다(창 2:19). 아담은 어떻게 그 많은 동물들의 이름을 지었을까? A.) 1) 분류학자 마이어에 따르면 현존 생물은 약 200여만 종에 달한다. 멸종된 동물을 포함하면 그 숫자는 휠씬 더 늘어난다. 그런데 200여 만종의 생물 중 절반은 식물이다. 그리고 100여만 종의 동물 중 해양 생물은 절지동물 81만 5천여 종을 포함하여 942,400여 종이나 된다. 그 나머지가 육상 생물이다. 2) 그런데 성경은 생물분류학과 달리 교배가 가능한 것들은 모두 같은 종류로 본다(레위기 19장 19절). 교배가 가능한 생물을 같은 종류로 통합하면 지구상 생물 종류는 훨씬 줄어든다. 그럴 경우 아담이 일차적으로 이름 지은 들짐승과 새들의 수는 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