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성경 4 복음서의 부활 묘사가 미세하게 다른 이유는? 4 복음서의 부활 묘사가 미세하게 다른 이유는? 4 복음서의 부활 묘사에 대해 ​ 예수님의 부활 사건은 사복음서(마 28:1-10, 막 16: 1-11, 눅 23:56 하반절- 24:12, 요 20:1-18)에 모두 기록된 사건입니다. 그런데 왜 각 복음서마다 미세하게 다른 가에 대한 뚜렷한 정답은 없습니다. 성경이 그 부분에까지 언급하지는 않기 때문이지요. 다만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설명은 가능할 듯합니다. ​ 1. 4복음서의 부활에 대한 묘사 4복음서의 4명의 기자들이 부활에 대해 모두 동일하게 똑같이 묘사하였다면 그것이 오히려 더 의심살만한 일이었다고 봅니다. 복음서 기자들은 자신들이 확신한 부활 사건에 대해 각자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서술하였습니다. ​ 2. 4복음서의 부활.. 더보기
장날(느낌이 있는 시 3, 조덕영) 느낌이 있는 시 3- 장날 글쓴이 : 최고관리자 (110.35.187.242) 조회 : 8,486 장날 내가 노래하지 않아도 내 고향 예성의 5월은 장날로부터 시작된다, 누가 분명 노래했네 온 들 잡초들이 부산한 힘을 내고 마스막재 넘어 친구의 점퍼에 깊은 봄 향기가 배어올 때 스스로 장날은 사과 꽃 향기와 섞여 힘찬 한 해의 뼈대를 익숙하게 예비하네 무학 시장 장류의 냄새가 보수적이듯 5월은 냄새조차 늘 보수적이라 하지만 노래는 여전히 진보가 되어야 하기에 시 쓰기는 늘 여기서 서성이네 그래도 국밥 냄새 향기에 취해 살아온 나는 5월의 장날에 당연히 취해버리네 할머니의 때 절은 손톱 속에 아이들 꽃핀이 소중하게 반짝이고 대장간 도씨 아저씨 팔뚝이 거룩한 힘줄을 뿜어낼 때 낯설어하는 몇몇 어린 강아지들과.. 더보기
성경, 박쥐를 왜 먹지말라 했나(코로나19의 창조신학 6) 코로나19의 창조신학. 6 애굽의 숭배 대상이었던 나는 생물 ​ Ⅵ. 하늘을 나는 생물 규례(성경, 박쥐를 왜 먹지 말라 했나?) ​ 성경은 박쥐를 하늘을 나는 생물들(새들과 박쥐와 대부분의 곤충들)에 포함시킨다. 이들 하늘을 나는 생물(새와 곤충)의 규례(레 11: 13-23)에는 중요한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 먼저 새는 부정한 것만 소개하고 있다. 먹이가 풍부하지 못한 광야에서 히브리인들에게 알려진 새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광야의 새들은 주로 시체와 불결한 것을 먹는 종류들이었다. ​ 또한 일부 새들은 물고기, 악어, 뱀들과 더불어 애굽 땅에서 신들의 형상이었다. 뱀이 하애굽의 상징이었던 반면 독수리가 많이 살던 상애굽에서는 독수리가 국가의 수호신이요 상징이었다. 즉 ‘Re'는 태양의 신인 동시.. 더보기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이 놀라운 선포!(헬라 교부 아타나시우스) 헬라 교부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295? 297?-373) 기독교사상가 탐색 6 ​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동일본질, 동일실체-김석환 교수, Homoousios)” (요 1:14)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하나님 같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람이 되셨다" ​ “니케아 신조를 지킨 가장 존경할만한 정통 교부(Vader der Orthodoxie)" ​ "니케아 신조를 지키기 위해 그는 전세계를 대항하여 홀로 싸웠다(Unus Athanasius contra orbem) ​ 1. 상황 1) 1 세기 기독교 폭발적 전파(행 13:4) 2) 십자가 환상을 본 콘스탄틴 대제! 3) 로마가 기독교를 인정하다(밀라노 칙령/ 313) 4) 기독교의 남북 전파(애굽땅 알렉산드리아와 로마) 5) 플라톤 사상과의 .. 더보기
사데 교회에 보낸 편지(계 3:1-6, 조덕영 목사) 창조와 종말 10- 사데 교회에 보낸 편지(계 3:1-6) 가. 시작하면서: 1. 이제 소아시아 7교회 중 다섯 번째 사데 교회입니다. 1) 에베소 교회= 진리는 있으나 사랑을 잃은 교회 2) 버가모 교회= 믿음이 있어 순교자를 배출한 훌륭한 교회였으나 분별력이 부족하여 거짓 교훈과 타협하고 바른 진리를 읺은 교회. 즉 교회 밖의 핍박은 이겼으나 교회 안의 거짓 유혹에는 넘어간 교회 3) 서머나 교회= 약하고 시련이 많은 교회였으나 책망이 없는 교회였으며 오히려 주님께 부요한 교회라는 칭찬을 받은 교회 4) 두아디라 교회= 열심히 대단한 교회(사랑과 믿음과 봉사와 인내하며 처음보다도 더 많은 일을 한 교회)였으나 자칭 예언자라는 여자 이세벨을 용납함으로 영적으로 대단히 혼탁한 교회(한국에도 부흥하며 열심.. 더보기
“뱀같이 지혜롭고”의 오석이 한국교회의 “어리석음”을 부추겼다!(이창모 목사) “뱀같이 지혜롭고”의 오석이 한국교회의 “어리석음”을 부추겼다! 이창모 ​ 이창모 목사의 성경 오역(誤譯), 오석(誤釋) 바로잡기(12) 글을 시작하며 ​ 아래는 모 목사님들의 그룹 카톡에 올라온 L 목사의 글이다. ​ 네 S 목사님, 그게 팀 켈러가 말한 바죠. "다이너마이트를 바위 옆에서 터트리면 그슬리기만 할 뿐 바위를 폭파하지 못한다. 그러니까 먼저 그 바위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다이너마이트를 넣은 후 폭파시켜라. 그래야 바위가 부서진다." 비둘기처럼 순전하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뱀같이 지혜로와야 한다는 주님의 말씀을 다시 생각해봅니다. ^^ ​ 아래는 인터넷에서 발췌한 M 목사 설교의 일부이다. ​ 그런데 왜 하필 뱀일까? 뱀은 하와를 유혹하여 아담을 타락시킨 동물로서 마귀를 의미하기도 .. 더보기
기독교 세계관(창조-타락-구속(하나님 나라) 강의안 기독교 세계관(창조-타락-구속(하나님 나라) 강의안 1. 세계관(世界觀)이란 무엇인가 1) 보기 아프간 강제 납치 사건을 보는 교회와 세상의 시선의 차이! 새만금 간척 사업에 대한 서로 다른 기독교인들의 입장! 북한 미녀 응원단을 어떻게 볼 것인가!(남북의 전혀 다른 시선) 2) 세계관의 유래 World view Weltanschauung(I. Kant) Christian World view(A. Kuyper) 3) 세계관이란 인식의 틀 또는 문화 생활의 구조를 이루는 중심요소이다. 세계관은 나는 어디에 있는가, 나는 누구인가,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그 치료책은 무엇인가 등의 종교적 질문에 기초해있다. 세계관은 근본적 신념의 문제인 종교적인 삶으로 인도한다. 세계관이란 삶을 바라보는 안목(.. 더보기
창조론오픈포럼 27번째 논문집을 내면서 스물일곱 번째 논문집을 출간하면서 From the Editors’ Desk 작년 11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퍼지면서 결국 WHO는 3월 11일 팬데믹 선언을 하기에 이르렀고, 이를 계기로 온 세계가 얼어붙고 있습니다. 근래 좀 진정되는가 싶더니만 방역이 약간 느슨해진 틈을 코로나19가 귀신처럼 알아채고 재유행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지난 2월 하순, 노량진 신성교회에서 모이기로 예정했던 제26회 창조론오픈포럼 대면모임을 코로나19로 인해 취소할 때까지만 해도 우리 모두는 늦어도 4월이 되면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그로부터 6개월이 된 지금 전문가들은 현재의 코로나19 대유행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어쩌면 영구히 끝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울한 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