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종말론 2. 영생과 영혼불멸Immortality(요한일서 5장 11,12절)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이란 무엇인가(요 1서 5:11,12)【종말론 2】 성경과학창조세계관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요 1서 5:11,12) 【종말론 2】 또 증거는 이것이니 하나님이 우리에게 영생을 주신 것과 이 생명이 그의 아들 안에 있는 그것이니라 아들이 있는 자에게는 생명이 있고 하나님의 아들이 없는 자에게는 생명이 없느니라 (요한일서 5장 11-12절) 1. 사람들은 생명에 대한 집착이 강합니다. 심지어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서도 집착이 강합니다. 2. 인간의 몸은 죽어 썩을 지라도 영혼은 죽지 않고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 바로 영혼 불멸입니다. 3. 기독교는 영생의 종교입니다. 4. 기독교 신앙이 없는 사람들조차 대다수는 항상 내세에서의 생애를 믿어왔습니다. 미이라가 그.. 더보기 이슬람에 대한 칼빈의 견해(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 2) 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2) 유해석(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교수) 유해석 교수 Ⅱ. 이슬람에 대한 칼빈의 견해 종교개혁자들은 이슬람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남겼다.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종교개혁이 시작된 이듬해인 1518년, 『면죄부의 효력에 관한 논제 해설』(Resolutiones disputationum de indulgentiarum virtute)에서 처음으로 이슬람을 언급한 이래로 이슬람에 대한 많은 자료가 등장했다. 스위스 취리히에서 사역했던 하인리히 불링거(Heinrich Bullinger, 1504-1575)는 1567년, 이슬람에 대하여 16개의 주제를 정리하여 『터키인』(Der Tuergg)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저술하였다... 더보기 하나님의 이름, 이미지, 속성들(신론 7) Ⅰ. 하나님의 이름 1. 하나님의 이름에 담긴 3 가지 주권 1) 지배(control) (1) 언약하시는 하나님 (2) 이름을 주시는 하나님 2) 권위(Authority) (1) 아브람의 이름을 바꾸신 하나님 (2) 모세에게 답하시는 하나님(출 3:14) 3) 임재(Presence) (1) 무소부재하신 하나님 (2) 하나님의 임재가 주는 위로 2.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의 인격, 성품 그리고 사역 등을 나타냅니다. 1)구약 (1) 하나님(אלוהים엘로힘=영어의 God) 구약에 2000번 이상. 가장 일반적인 복수형 단어. 위엄의 복수형. 엘로힘은 하나님께서 강하시고 권능있는 분이기 때문에 경외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강조. (2) 주(אָדוֹן아도나이=영어의 Lor.. 더보기 종말론 1강. 육체적 죽음Physical death은 무엇인가(창 3:19) 육체적 죽음Physical death은 무엇인가(창 3:19) 성경-창조-신학-세계관-과학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승리가 죽음을 삼켜버렸다 사망아 너의 이기는 것이 어디있는냐" (고전 15장 54-55)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지니라" (창 3:19) 죽음 자체보다 죽음의 수반물이 사람을 두렵게 만든다 (세네카) 마치 죽은 거나 다름없는 사람이 죽음을 가장 싫어한다 (라 퐁텐 우화) 최상의 죽음이란 미리 예기치 않았던 죽음이다 (몽테뉴) 사람들은 아이들이 어둠 속을 걸어가길 두려워하듯 죽음을 두려워한다 (프랜시스 베이컨) 사람은 다만 혼자서 죽을 것이다 (파스칼, 팡세) 오직 죽음을 말할 때에만 생기가 도는 necrophilous (에리히 프롬, 인간의 마음) 사람이 왜 죽는가 하는 물음은 곧.. 더보기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의 신론(7) 종교개혁자의 신론(루터와 칼빈, 신론 7) Ⅰ. 마르틴 루터의 신론(조덕영) 이탈리아 토리노 서점 전시물 Theologia est infinita sapientia quia nunquam potest edisci. 신학은 무한한 지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교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의 간략 연보(1483-1546) 칼빈, 루터, 멜랑흐톤(왼쪽부터, 사진: 비텐베르크 멜랑흐톤 하우스) “Theologia Crucis”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 "십자가는 모든 것을 시험하는 시금석이다." 비텐베르크 루터 하우스에서 1. 1483년 11. 10 독일 동부 아이슬레벤에서 출생 2. 1502. 9.29 에르푸르트 대학 학사 학위 3. 1505. 1. 7.. 더보기 섭리론의 유익(참조: 박해경 박사 칼빈의 섭리론) 섭리론의 유익(참조: 박해경 박사 칼빈의 섭리론) 이스라엘 광야©조은선 섭리론의 유익(참조: 박해경 박사 칼빈의 섭리론) 1) 섭리론은 하나님을 두려워하게 하며 성급한 확신을 벗겨내고, 하나님 안에서 평화를 누리게 하며, 우리를 위협하는 수백 가지의 위험을 확신과 용기로 대처하게 합니다. 즉 하나님의 자녀들이 그 분의 돌보심을 경험하여 하나님은 모든 것을 제공하시는 분임을 확신하게 하는 신앙적 유익을 줍니다. 2) 때로 하나님의 계획에는 언제나 최선의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 하나님은 그의 섭리를 통해 자기 백성을 인내하게 하고, 악한 감정을 바르게 교정하시고, 그들의 욕망을 길들이시며, 복종시켜 자기부인을 훈련시키시며, 그들의 나태함을 깨우치게 할 뿐 아니라 교만한 자를 낮추시고, 불.. 더보기 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1) 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1) 유해석(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교수) 유해석 교수 한국 내 이슬람 인구가 성장하고 있다. 한국에 이슬람 인구가 성장하게 된 배경은 1990년대, 노동시장의 변화이다. 즉 3D(Difficult, Dirty and Dangerous) 현상은 인력 부족 현상으로 이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들이 입국하기 시작했다. 인력 송출국이던 우리나라가 이제 수입국이 된 것이다. 이로 인해 국내 외국인 무슬림 인구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한국 이슬람 중앙회 발표에 의하면 1955년, 208명이었던 한국인 무슬림 인구는 2009년 7만 천명으로 대거 성장했다. 동시에 한국 사회에서 이슬람의 영향력 역시 점차 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 더보기 하나님의 섭리와 창조와 작정(하나님의 역할과 사역들, 신론 6) 이스라엘 광야 Ⅰ. 하나님의 섭리(Providence)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보존?) 주로 말미암고(협력?) 주에게로 돌아감이라(통치?) (롬 11:36) 사람들은 신앙 생활을 하면서 하나님의 섭리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렇습니다. 기독교에는 우연이 아닌 섭리가 있습니다. 이 말의 본 뜻을 살펴봅시다. 1. 하나님의 섭리 1) 하나님의 섭리란 (1)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의 통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하시고 인도하시는 사역을 말합니다. (2) 즉 모든 피조 세계와 피조물들을 돌보시고 다스리시는 일을 하나님의 섭리라 합니다. (3) 따라서 창조론과 섭리론은 반드시 연결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2) 섭리의 어원 (1) 영어의 섭리에 해당하는 단어가 성경에 나오지는 않습니다. (2).. 더보기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