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다윈, 스펜서의 진화 윤리와 창조 윤리 다윈, 스펜서의 진화 윤리와 창조 윤리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 1. 찰스 다윈의 (1871) ​ 1) 인간에게만 볼 수 있는 높은 도덕적 기준은 어디서 왔나? 2) 도덕성의 진화: 다윈은 인간의 사회적 본능과 지적 능력의 개발로 진화가 되었다고 보았다. 3) 과거의 행동과 동기를 되돌아보고 우리와 그들의 동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데, 이는 양심의 개발로 이어진다. 4)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즉, 공리주의적 선(동정적이고 이타적이고 도덕적인 것이 생존 경쟁에서 유리하다 주장) 2. 허버트 스펜서(H. Spencer, 1820-1903) ​ 1) 영국의 철학자, 생물학자, 정치 이론가이자 사회학의 선구자. 2) 사회질서보다 사회변동에 더 관심을.. 더보기
계시(일반계시와 특별계시)와 성경 오스트리아 알프스, 독일 접경지 티롤 지역 풍경 너희는 눈을 높이 들어 누가 이 모든 것을 창조하였나 보라 (사 40:26) 계시와 성경(조직신학원론 2, 조덕영 교수) Ⅰ. 일반계시 1. 계시(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성격 1) 무한하신 하나님은 유한한 인간에게 계시의 방법으로 자신을 알리신다. 2) 하나님은 만드신 세상과 역사와 사람의 양심을 통해 자신을 증거하신다(시 19:1, 롬 1:20). 이것이 일반계시(자연계시)이다. 그러나 일반계시에는 한계가 있다(인류 범죄로 인한 두 가지 결과=롬 1:21-24). 3) 반면 특별계시에는 자연계시에서 불충분한 이 담겨있다. 또한 범죄한 인류를 죄의 세력에서 구출하여 신체와 영혼의 전인격적(지, 정, 의)인 새로운 피조물로의 재창조하시려는데 있다. 4) 즉 .. 더보기
다윈의 진화론과 윌버포스·헉슬리 논쟁<조덕영 교수> 다윈의 진화론과 가톨릭의 진화론 이해 다윈의 진화론과 윌버포스와 헉슬리 논쟁 조덕영 교수 다윈의 진화론 1) 다윈의 비글호 항해(22세 되던 1831년 2월부터 5년 간) 2) 다윈, 1832년 2월 브라질 울창한 숲의 생물체 다양성을 목격하다. 3) 1834년 2월 티엘라 델 푸에고에서 목격한 원시인에게서 인간의 조상이 동물일 것이라는 인상을 받다. 4) 1835년 4월, 안데스를 가로지르는 7천 피트 높이에서 발견한 화석화된 나무숲 목격(격변적 지층) 5) 1835년 9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5주간 체류하며 핀치 새 관찰(핀치 새의 부리와 구조의 점진성과 다양성) 6) 1859년 출간: 비글호의 승선에서 얻은 관찰 자료에 근거하여 직설적인 귀납법적 논리로 종의 기원을 서술. 당시 과학에서 새로 등장한.. 더보기
창조와 진화-진화론 창조론 논쟁의 이해 1(종교, 과학, 진화론) 종교, 과학, 진화론 가톨릭의 신앙과 과학에서 논쟁하는 진화론과 창조론 이해 (주교재: 『진화론 창조론 논쟁의 이해』, 강건일 박사) ※ 본 교재는 기독교 조직신학서는 아니며 과학과 신앙의 입장에서 비판적 접근합니다. ​ 조덕영 교수(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가. 가톨릭, 신앙과 과학: 갈릴레오 종교재판 ​ 1. 과학이란 무엇인가 1) 라틴어 「Scientia」는 사람의 지식(즉 아는 것)을 말한다. 이 라틴어에서 영어의 「Science」가 유래하였다. 2) 19세기 말 이 말을 일본 사람들이 ‘과학’(科學)이라 번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를 통해 과학도 인간이 가진 하나의 지식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따라서 그 지식 체계가 어떤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과 그것이 종교의 지식.. 더보기
조직신학의 서론-신학이란 무엇인가(조덕영 교수) 신학은 무엇이며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 (신학 서론 강의, 조덕영 교수) ​ 본 내용은 신학 강의 첫 수업을 위한 신학 기초 자료입니다. ​ ※밀라드 에릭슨(노스웨스턴대 박사, 조직신학, 뮌헨대 연구, 베델신학대학원 학장 역임)의 신학 1. 시대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학(찰스 핫지, 스트롱, 루이스 벌콥을 넘어) 2. 복음주의 학자들이 헤석학 분야에서 이루어놓은 작업과 결과들을 활용, 현대 문화 속 인식, 재진술 3. 고전적인 정통주의 4. 성서 권위와 현대 사이의 미묘한 균형(전자를 선택) 5. 초창기 버나드 램(캘리포니아 버클리 서부 침례신학교 교수, 조직신학) 영향 6. 박사과정 중 윌리엄 호던(루터신학교 학장, 노스웨스턴 대와 개릿신학교) 영향 7. 판넨 베르크 영향(독일 뮌헨대 학사 후 과정.. 더보기
삼위일체론-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신론14강) 하나님의 성경적 진술들 ​ 자기 함유적 하나님 ​ 1) 하나님의 자존성(aseity) (1) I am who I am. (2) I will be that I will be(존재할 자로 존재할 것이라) (3) 독립성(independence)-자기-실존, 자기-충족, 자기-함유 (4) 모든 것 소유 (5) 피조물들의 소유하고 있는 것들은 하나님으로부터 (6) 청지기 피조물 ​ 2) 하나님은 감정을 가지셨는가? (1) 하나님은 비육체적-우신 예수님(성육신의 신비) (2) 영원한 작정 속 감정 (3) 피조물이 아니신 "하나님의 감정" (4) 하나님께 속하지 않은 부적절한 감정(향수병, 내일 염려, 고통, 강박감, 중독, 열정의 파도, 감정 부족, 공감 부족 등) ​ 3) 하나님은 고난을 당하실 수 있는가? (1.. 더보기
악과 하나님(신론 14, 악의 본질과 신정론) 악의 본질과 신정론(조덕영) 신정론(神正論, theodicy)의 성경적 해석 Biblical Interpretation of Theodicy ​ 조덕영 DUK YOUNG CHO ​ ​ [Abstract] How could a holy and loving God, who is in control of all things, allow evil to exist? How can we believe that God is both good and sovereign in face of the World's evil? This problem has been debated for as long as the church has existed. Theodicy is the study of the problem of evil.. 더보기
하나님에 관한 성경적 진술과 삼위일체(신론13강) 하나님에 관한 성경적 진술들과 삼위일체론(신론13강) 하나님에 관한 성경적 진술들 ​ 자기 함유적 하나님 ​ 1) 하나님의 자존성(aseity) (1) I am who I am. (2) I will be that I will be(존재할 자로 존재할 것이라) (3) 독립성(independence)-자기-실존, 자기-충족, 자기-함유 (4) 모든 것 소유 (5) 피조물들의 소유하고 있는 것들은 하나님으로부터 (6) 청지기 피조물 ​ 2) 하나님은 감정을 가지셨는가? (1) 하나님은 비육체적-우신 예수님(성육신의 신비) (2) 영원한 작정 속 감정 (3) 피조물이 아니신 "하나님의 감정" (4) 하나님께 속하지 않은 부적절한 감정(향수병, 내일 염려, 고통, 강박감, 중독, 열정의 파도, 감정 부족, 공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