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조 신앙

팀 켈러의 창조론(제 44회 창조론 온라인 포럼) 팀 켈러의 창조론 오래된 지구론 vs. 유신진화론 (제 44회 창조론 온라인 포럼) ​ 강사: 이윤석 박사 (창조론오픈포럼 공동대표, KAIST 박사, 총신대 조직신학 박사) 일시: 2023. 11. 18(토) 13:00~14:30 더보기
창조과학·지적설계 운동, 과학인가?(과학-철학-신학-법적 판단,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13강) 창조 과학 논쟁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창조과학의 원조, H. M. Morris 1) 창조과학 운동의 등장 (1) 일반적으로 근본주의 운동과 맥을 같이 하는 창조과학 운동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관심을 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성경에 뿌리를 둔 운동이라는 점에서 복음적이다. 창조론(Creationism)은 모든 자연 현상이 지성적인 창조주 하나님의 개입으로 시작되었다는 규정으로부터 시작된다. (2) 그런데 이 용어는 오늘날 그 의미가 축소되어 우주와 생명의 창조에 대한 창조의 연대를 극히 젊게 보고 지질학적 전세계적인 홍수(창세기 대홍수)를 믿는 견해로 남아있다. (3) 이와 같은 창조론이 19세기 보수적인 개신교나 20세기 초 근본주의자들의 .. 더보기
이문선 목사의 <두루제자양육 컨퍼런스>를 소개합니다 이문선 목사의 를 아시나요? 이문선 목사(창대교회) 15기2차 세미나 소감 요약 ​ *시간 시간마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피 끓는 열정과 열심으로 그리고 간절하고 절박한 목사님의 심정이 느껴지는 시간들이었습니다. ​ 특별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었던 교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경적인 지식과 목사님의 목회철학에 많은 도전을 받았고 인사이트를 얻는 시간이었습니다. ​ 송이 꿀보다 더 단 하나님의 말씀을 경험케 하신 목사님께 감사드립니다. ​ *어떻게 하면 교회를 건강하게 만들까 고민하던 나에게 두루제자 교재는 사막에서 샘을 찾은 것처럼 기쁩니다. *반드시 교회에서 행해야 할 공부입니다. 지금까지 맞추지 않았던 퍼즐이 맞추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제적인 목회의 지침을 .. 더보기
설계 논증과 지적설계와 창조과학(창조와 진화, 11-2강) 설계 논증과 지적설계와 창조과학(창조론과 진화론, 11-2강)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1. 설계 논증: 윌리엄 팔레이(1743-1805, 성공회 사제) 1) 자연계에 나타난 설계 또는 목적으로 보이는 것을 증거로 하나님의 존재를 논증하는 것 2) 팔레이의 (1802)의 시계공 논증 (1) 집마다 지으신 이가 있으니 만물을 지으신 이는 하나님(히 3:4) (2) 우주의 질서, 생명 구조의 정교함과 조화와 질서 3) 철학자 데이빗 흄의 (1) 데미아 : 고전적 유신론자. 신은 상상할 수도 유추할 수도 없다. 회의론자 필로와 설계논증의 클레안테스 반박. (2) 클레안테스: 신은 인간과 유사하다. 인간의 속성에서 신의 속성을 발견할 수 있다. 회의론에 대.. 더보기
생명 신비와 완전성에 대해(창조론과 진화론 11-1강) 생명 신비와 완전성에 대해 1. 완전성 논증: 창조된 딱다구리의 신비 1) 딱다구리는 다른 새들과는 전혀 다른 새다. 그 몸의 부분들은 나무를 뚫기에 매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다른 새들이 갸름한 다리를 가진 데 비해 딱다구리는 짧은 다리와 강한 발톱을 가졌다. 이것은 수직으로 서 있는 나무 껍질에 꽉 달라붙기에 아주 적합하다. 2) 딱다구리는 부리 또한 매우 독특하다. 1분에 1,000 번이나 두드리는 부리는 다른 새들의 부리보다 훨씬 딱딱해야 한다. 특이하게도 딱다구리 부리는 뇌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부리와 뇌 사이에 놀랍게도 탄력있는 충격 흡수조직이 있다. 다른 어느 새에게서도 이런 것은 발견되지 않는다. 3) 딱다구리의 혀는 어떠한가. 179종이나 되는 대부분의 딱다구리가 독특하게도 혀에 가시.. 더보기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10. 22일. 토. 창조론온라인 포럼)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 (창조론온라인 포럼) 일시: 10.22일 (토, 13:00-14:30, 서울 시간) 강사: 이신열 박사(고신대 교수, 신학대학장, 조직신학) ​ ​ 더보기
인간의 창조와 사명<서철원 박사의 창조론 8> 하나님은 자기의 영광의 무대에 서서 자기의 영광을 증거할 사람을 필요로 하셨다. 그리고 모든 피조물이 합창하는 하나님의 영광송에 합창할 자를 두시기를 기뻐하셨다. 뿐만 아니라 이 자기의 창조를 다스릴 자기의 대리 통치자를 두시기를 기뻐하셨다. 자기의 창조를 계발할 뿐 아니라 또 성별해 드리는 제사장을 두시기 기뻐하셨다. 이 일을 위하여 하나님은 특별 피조물을 내시기로 작정하셨다. 피조물이나 자기를 닮은 특별한 자 를 세우기로 하셨다. 이런 특수한 피조물을 지으시기 위해 하나님은 다른 피조물을 지으실 때 하시던 통상한 방법을 채용하지 않으시고, 즉 명령만으로 피조물이 나타나게 하는 방법으로 하지 않으시고, 특별한 의논을 취하셨다. ​ 보통 피조물이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된 피조물이므로 하나님께서 자.. 더보기
창조의 목표<서철원 박사의 창조론 7> 창조의 목표 그러면 하나님은 왜 이런 창조를 이루셨는가? 하나님의 창조 진행 과정을 보면 빛과 별들 창조에 서 하늘의 정비, 땅의 출현, 식물과 동물의 출현등 모든 것이 인간의 출현을 목표하고 진행되었다. 인간 이전의 창조는 마치 인간의 주거환경의 정비로 여겨지고, 인간은 하나님의 모든 창조의 왕관으로 그 정점을 이루어 인간을 목표하고 진행된 것 같다. 그러면 이 과정은 진행되어 인간의 구원 혹은 인간의 앙양이 모든 창조의 목표인가? 현금의 신학은 다 하나님의 창조 사역의 최종목표가 인간 존재의 앙양이라는데 일치한다. 특히 이 인간 존재의 앙양을 하나님의 사역의 최종목표로 신학적 논리를 전개한 신학자는 칼 발트 (Karl Barth)이다.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에 인간을 창조하셔서 그와 사랑의 교재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