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조 신앙

창세기 1장 1절에 나타난 수학적 질서 흔적에 대한 현대적 검토(창세기 1장 1절에 나타난 창조 섭리)​자연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이다. 만물에는 창조의 질서가 나타난다. 눈의 결정체나 아직도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DNA나 단백질 등은 그 한 예이다. 가장 완벽한 질서는 창조 당시(창1:31)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후에 이 질서는 일부 붕괴하였다. 노아 홍수 이후 종말을 향해 가면서 그 붕괴는 가속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수학의 질서만큼은 창조 이래로 변동된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성경의 수학적 질서도 하나님의 창조와 관련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분명 성경이 나타내는 숫자 마다 일정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신적 수(神的 數, Theomatic numbers)의 아버지라 불리는 .. 더보기
수학으로 코딩된 우주와 천재 수학자 오일러 수학으로 코딩된 우주와 오일러(Leonhard Euler, 1707.4.15-1783.9.18)  수학으로 코딩된 우주와 오일러오일러질서를 창조하신 창조주 하나님 ​하나님은 정말 수학적으로 우주를 코딩하였을까? ​창조주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이다. 성경의 성막과 성전과 노아의 방주는 하나님의 치밀한 명령에 따라 만들어졌다. 우주에 편만한 조화와 대칭과 상호의존성은 창조주 하나님이 질서의 하나님이심을 선포한다. ​헬라의 철학자들도 세상에는 정연한 질서(cosmos)가 있음을 일부 파악하고 있었다. 그래서 헬라어 ‘코스메오’(cosmeo)에는 단순한 질서나 정리만 아니라 분별력 있는 질서와 아름다움과 조화의 즐거움을 탐미한다는 의미도 담겨있다. 그렇기에 초기 헬라 철학자들이 시작한 자연철학(physica)에.. 더보기
과학주의와 과학 제국주의​는 무엇이 다른가 과학주의(scientism)와 과학 제국주의(scientific imperialism)​는 무엇인가 창조의 작은 언덕 ・ 2024. 5. 20. 22:06URL 복사  통계 본문 기타 기능21세기는 종교와 과학이 함께 이슈를 만들어내는 세상이다.특별히 AI와 기술의 특이점(Singularity)으로 상징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는 일부 종교인들에게 혁명적 도전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불안감을 품게 만들곤 한다.그 배경에는 과학주의와 과학제국주의로 상징되는 비기독교적 과학관이 자리잡고 있다. 이들 과학 사상은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 지 살펴본다. 1. 과학주의(scientism)​1) ‘과학주의’는 때로 ‘자연주의’(naturalism)나 ‘과학적 유물론(唯物論)’ 또는 ‘세속적 휴머니즘’(.. 더보기
미국과 영국의 주요 창조론 교육 논쟁 지적설계론자인 생화학자 마이클 비히의 저서  창조론 교육 논쟁​1. 1970년대 창조론과 진화론 교과서 논쟁에 있어 미국 일부 주 교육위원회의 주요 지침들​1970년대는 미국에서 창조론 진화론 논쟁이 아주 치열하던 시기였다. 당시 보수적 기독교가 강한 일부 주에서는 이 문제가 더욱 이슈화되었다. 이들 일부 주 교육위에서 어떤 토론들이 있었는지 살펴본다.​1) 일반 진화론과 창조론은 함께 소개되어야 함​(1) 미국 3 지역의 대교육구는 일반 진화론과 함께 창조론이 소개되어야 한다는 방법을 채택했다.​(2) 달라스(텍사스州), 콜럼부스(오하이오州), 카나와군(서부 버지니아州), 뉴욕타임즈 1977.1 28, 달라스 독립학교구 교육위원회 「창조론의 균형적인 취급」(1977년 1월 26일) (Yale Law J.. 더보기
외계인 체험-천국 체험(?) 스웨덴보르그(스웨덴보리) 사실일까?(기독교 신학으로 본 우주와 외계생명체 논란) 외계인 만난(?) 스웨덴보르그(스웨덴보리) 사실일까?(기독교 신학으로 본 우주와 외계생명체 논란)  최근 외계인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증폭되고 있습니다. 필자에게도 이 문제에 대해 기독교적 관점은 무엇인지 질문하는 분들이 다시 많아졌습니다.​아마도 미 의회 청문회가 관심을 확산시킨 진원지가 되었다고 봅니다. 2023년 7월 미 연방 하원에서는 UFO관련 아주 낯선 청문회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전 미국 해군 조종사들의 증언이 있었습니다. 특히 데이비드 그루쉬의 증언은 특별한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루쉬는 미 정부가 1930년대부터 '인간이 아닌 존재(Non-human)'의 활동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놀라운 주장을 폅니다.미 청문회 사진©유튜브 캡처 그루쉬는 “미 국방부가 수십 년간 추락한 우주선을 .. 더보기
오메가 창조론 연구(창조론온라인포럼, 허정윤 박사) 오메가 창조론 연구(창조론온라인포럼, 허정윤 박사) 금주 토요일 5/18(토)제50회 창조론온라인포럼이 있습니다. 강사는 허정윤 박사입니다.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더보기
창조과학 운동은 과학인가? 신학인가? 창조과학 운동은 무엇인가 ​ 1) 과학적 창조론(Scientific Creationism) 곧, 창조과학(Creation Science)의 이론은 주로 ICR(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설립을 주도한 헨리 모리스(H. Morris, 공학자, 1918-2006)와 듀안 기쉬(D. Gish, 부회장 역임, 생화학자)로부터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 2) 창조과학운동은 대체로 그 신학적 신념의 목록 속에 다음의 내용들을 포함시킨다. 이 내용은 미 대법원이 참고했던 맥리안 대 아칸소 교육 위원회 소송 사건(Mclean v. arkansas Board of Education)의 지방법원에서 창조론 측의 공식 입장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1) 세계는 무로부터 창조(crea.. 더보기
AI 시대 진화론적 세계관(김명용)·신다윈주의와 유신진화론(한윤봉) 비판에 대한 논평 AI 시대 진화론적 세계관 비판(김명용)·신다윈주의와 유신진화론(한윤봉) 비판에 대한 논평 박찬호 교수(백석대학교 조직신학) 1. 가장 먼저 두 분의 논문을 읽고 마음에 든 생각은 이 분들이 비판하고 있는 유신진화론자들 가운데 우리의 우군이 들어 있다는 생각이다. 표현하는 것 따라서는 논자도 포함되어 있는 것 같다. 진리를 분명하게 외치고 분명한 나팔을 부는 것은 좋으나 누가 적인지도 모르고 마구 팔을 휘둘러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시대의 안타까움을 혼자 짊어진 듯한 감상도 조금은 거슬렸음을 밝히고자 한다. 내가 이야기하는 이 주장이 아니면 다음세대가 기독교 신앙을 떠나게 된다는 안타까움을 호소하고 있지만 반대로 바로 그런 주장 때문에 기독교 신앙을 버리는 사람이 있음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