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이란 무슨 말일까?(조덕영 칼럼)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이란 무슨 말일까?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그리스도 우리 주, 그 왕을 위해(Pro Rege) 산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개혁주의 신앙에 따르면 세상 모든 절대 주권은 하나님께 있으니 우리는 그저 예수 믿고 선 하게 잘 먹고 잘 살다가 천당 가면 되는 것일까?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좀 더 개혁주의자로서 열정적 사랑과 뜨거움으로 사는 방법은 없을까? 마치 에스라처럼, 느헤미야처럼! 즉 느헤미야가 외쳤던 것처럼 건축하는 자가 각각 칼을 차고 건축(느 4:18)하듯 교회와 정치와 경제와 사회와 가정과 학교와 직장과 학문과 문화와 예술과 같은 세상 전 영역의 최전선에서 예수쟁이로서 세상 사람들보다 더 뜨거운 열정으로 사는 방식은 없을까? 그런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고 이 문제를 물고.. 더보기
죽음 이후 사람은 어떻게 되는가(중간상태논쟁, 빌 1:23)- <종말론 3> 죽음 이후 사람은 어떻게 될 것인가(중간상태논쟁, 빌 1:23)- 종말론 3 신학기초교리공부 43강- 종말론 3 : 죽음 이후는 어떻게 될 것인가(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 논쟁, 빌 1:23) 1. 성경은 사람의 생애를 세 단계로 구분합니다. 첫째는 탄생에서 죽음까지의 기간, 둘째는 중간기 상태(죽음과 부활 사이의 몸이 없는 생활), 셋째는 부활의 몸으로 사는 단계입니다. 2. 중간 상태에 대해 살펴봅시다. 가. 중간기 상태란 1) 사람의 영혼이 사망과 부활 사이에 존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현재의 상태와 최종적 상태 사이의 중간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2) 그러면 죽은 자의 영혼은 도대체 어디로 가게 되는 것일까? 육체를 떠난 영혼들은 천당과 지옥 두 장소로 각각 가게 됩니다. 그.. 더보기
‘할례’(割禮, circumcision)의 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할례’(割禮, circumcision)의 신학적 의미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조덕영 박사 1. 할례의 성경적 기원 1) 할례의 용어 할례는 히브리말로 “브릿트 밀라”, 헬라어로는 “페리토메”peritome라고 한다. 영어의 circumcision은 'cut around'의 뜻을 가진 라틴어 “키르쿰키시오”(circumcisio)에서 온 말이다. 히브리어 “브릿트”는 계약(언약)이란 뜻이고 “밀라”는 할례를 뜻한다. 그러므로 “언약의 할례”하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 2) 할례 의식 할례는 남자 성기 귀두 위에 덮여 있는 표피를 제거하는 행위이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언약에 대한 상징이었다(창 17:11).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노예를 포함한 그 가정에 속한 모든 남자들에게 할례를 .. 더보기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이란 무엇인가(요 1서 5:11,12) 【종말론 2】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요 1서 5:11,12) 【종말론 2】 신학기초교리 공부 42강-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요 1서 5:11,12) 【종말론 2】 1) 사람들은 생명에 대한 집착이 강합니다. 심지어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서도 집착이 강합니다. 인간의 몸은 죽어 썩을 지라도 영혼은 죽지 않고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 바로 영혼 불멸입니다. 2) 기독교는 영생의 종교입니다. 기독교 신앙이 없는 사람들도 대다수는 항상 내세에서의 생애를 믿어왔습니다. 이 영생에 대해 배워봅시다. 1. 영생이란 무엇인가 1) 영생에 대한 용어 (1) 영생 개념은 구약에도 예견되어 있지만 주로 신약 성경에서 명확하게 계시되어 있습니다. (2) ‘아다나시아’(죽지 아니함, 不死)와 ‘아이오니오스 조에’(영생.. 더보기
육체적 죽음Physical death은 무엇인가(창 3:19) 육체적 죽음Physical death은 무엇인가(창 3:19) 신학기초교리공부 41강- 종말론 1: 육체적 죽음은 무엇인가(창 3:19) 1. 사람은 누구나 한 번은 반드시 죽게 마련입니다. 2. 죽음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불청객으로 어느 때나 어느 곳에서나 빈부귀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급작스럽게 다가옵니다. 3. 사망은 이제 그만 삶을 멈추라는 하나님의 준엄한 명령이니 아무도 이에 불복하지 못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히 9: 27) 육체적 죽음에 대해 살펴봅시다. 1. 육체적 죽음은 무엇인가(정의) 1) 육체적 죽음의 의미 육체적 죽음은 사람의 영혼과 육체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말합니다(전 12:7). 즉, 신체는 화학적 요소들로 분해되어 흙으로 돌아가서 부패하.. 더보기
천국 다녀왔다는 사람들 말을 믿어도 될까요? 천국 다녀왔다는 사람들 믿어도 될까? 천국에 갔다 왔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도처에 보면 천국에 갔다 왔다고 간증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간혹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천국이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믿어야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천국을 믿어야 할지를 모르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천국에 갔다왔다고 하는 사람의 간증에 매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믿어야 할 천국은 천국 갔다 왔다고 하는 간 증이 아니라 성경에서 말씀하신 천국만을 믿어야 합니다.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씻기시매 다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요한계시록21장4절) 천국은 분명히 있습니다. 우리들이 이 땅에서.. 더보기
성경을 알레고리와 모형론으로 해석해도 될까? 성경을 알레고리와 모형론으로 해석해도 될까?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1. 알레고리적 해석 풍유(諷喩), 우의(寓意), 우화(寓話) 등으로 번역되는 알레고리(allegory)는 헬라어 알레고리아(allegoria, 다른 이야기라는 뜻)에서 유래한 말로 추상적인 개념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대상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문학형식을 말한다. 본래 이 말은 헬라어의 ‘다른’이라는 단어인 'allos'와 ‘공공장소에서 말하다’라는 'agoreuein'이라는 말의 합성어로 어원적으로는 ‘다르게 말하는 하나의 방식’을 지칭한다. 어떤 내용을 표현할 때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말하려는 대상의 본체를 감추고,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방법은 알레고리 말고도 다양하다.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같이’,.. 더보기
교회의 임무(마 28:19-20)는 무엇인가 교회의 임무(마 28:19-20)는 무엇인가 신학기초교리공부 40강- 교회의 임무(마 28:19-20) 1. 교회의 임무란 하나님께서 친히 만드신 교회가 반드시 해야 할 근본적인 의무를 말합니다. 2. 교회의 임무는 여러 가지인데 여기서는 핵심적인 3가지를 공부합니다. 가. 교회의 예배 1. 예배당 집회의 목적 1) 창조의 주가 되시며 구속의 주가 되시는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드리기 위함입니다. 2) 이것은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속죄의 방편을 믿고 그가 규정하신 구원의 방편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예배는 하나님의 백성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령의 도우심을 받아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과 존귀와 찬양을 드리는 신앙적 행위입니다. 2. 예배의 본질 1) 예배의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