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성찬의 떡(무교병)에 대한 질문 성찬의 떡(무교병)에 대해 Q.> 예수님께서는 성찬을 제정하시면서 떡을 떼시고 제자들에게 주시면서 이 떡은 당신의 몸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성찬에 사용되어지는 떡은 십자가에서 찢기신 주님의 몸을 상징한다는 것인데 여기서 질문 한 가지를 드립니다. 지금 대다수의 교회들에서 누룩이 들어간 빵이나 떡을 성찬에 사용하는데 우선 예수님이 사용하신 것은 누룩이 없는 빵이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유월절 음식에는 누룩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성경에서 누룩은 항상 죄를 상징하는데 죄 없으신 예수님의 몸을 상징하는 떡에 누룩이 잔뜩 들어간 것을 사용한다는 것이 과연 성경적인 것인가? 우리가 오직 성경을 말하는데 그렇다면 성찬에 사용되어지는 떡은 누룩이 제거된 것을 사용해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 .. 더보기
정신분석학자 칼 융은 창조 신앙의 소유자인가? 정신분석학자 칼 융은 창조 신앙의 소유자인가? 1. 융은 어떤 사람이었는가 칼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스위스 바젤 태생의 정신의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였다.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바젤 대학과 취리히 대학의 교수를 지냈으며 처음에는 정신 분열증을 연구하다가 점차 정신 분석학에 흥미를 갖게 된다. 부르크 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의 연구를 응용해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이전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 검사를 응용하면서 자극어에 대한 단어연상을 연구하였다. 이 연상은 성적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당시 학계에서 자주 금기시 되고는 하였다. 그는 특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은 유명해진 '콤플렉스' 라는 .. 더보기
기독교(복음주의)는 다윈주의 등장에 어떻게 반응했나 복음주의는 다윈주의 등장에 어떻게 반응했나 19세기 미국 복음주의자들은 신학자와 적절히 훈련받은 평신도는 가장 중요한 현대 과학의 결과를 성경에 대한 전통적 해석과 조화시켜야 한다고 여겨왔다. 또한 복음주의 지도자들 일부는 과학적 결론을 전통적 기독교 신앙의 변증이 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복음주의자들은 보통 과학이란 “베이컨주의”, 혹은 입증된 개별적 사실에서 출발하여 좀더 보편적인 법칙을 엄밀하게 추론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모든 학문 분야의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제공한다는 믿음을 가졌다. 과학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법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종의 기원(Origion of Species)의 출판에 대한 복음주의의 반응으로 나타났다. 진화에 대한 현대.. 더보기
교회는 어떤 곳인가요?(교회의 3대 표지, marks) 교회는 어떤 곳인가요?(교회의 3대 표지, marks) 신학기초교리공부 제35강 교회는 어떤 곳인가(교회의 3대 표지, marks) 1) 모든 그리스도인은 반드시 하나님의 몸 된 교회에 소속해야 합니다. 2) 그런데 세상에는 많은 교회가 있습니다. 어떤 교회에 출석해야 하는 것일까요? 3) 참된 교회가 가지고 있는 기준과 특징은 무엇일까요? 참된 교회와 그렇지 못한 교회를 구별하는 표지는 무엇일까요? 이것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가. 이 전파되는 교회가 참교회입니다. 1) 이것은 교회의 가장 중요한 표지입니다. 2) 교회는 말씀 전파가 근본적으로 진실해야 하며 신앙과 행위에 지배적인 영항을 끼쳐야합니다(요 8:31, 32, 47, 14:23, 요일 4:1-3, 요2 9, 살전 2:13). 3) 하나님의 말.. 더보기
인간 최고의 단어, 영화(영광, The final stage of the process of salvation; glorification, 고후3:18)란 무슨 의미인가요? 인간의 영화(영광, The final stage of the process of salvation; glorification, 고후3:18)란 무슨 의미인가요? 신학기초교리공부 34강- 인간의 영화, The final stage of the process of salvation; glorification, 고후3:18 1)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소명) 의롭다하심을 받은 (칭의) 자는 최후까지 배교(背敎)로부터 완전하게 보호(성도의 견인) 되어 반드시 영화에 이르게 됩니다. 2) 구속 적용의 마지막 단계(즉 구원 서정의 마지막 단계, 롬 8:29-30)인 영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영화의 의미 1. 히브리어 “카보드” 1) 이 단어는 “무겁다”(“카베드”에서 파생된 말입니다. 2) 따라서 사람에게 쓰.. 더보기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신학기초교리공부 33강-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 1.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소명) 의롭다하심을 받은 (칭의) 자가 다시 타락하여 구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2. 성령님은 성도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를 시작하여 지극히 연약한 신자라도 최후까지 배교(背敎)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합니다(살후 3:3, 딤후 4:18). 이것을 견인이라고 합니다. 견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견인 교리의 역사 1. 선택된 자는 결코 궁극적으로 타락하지는 않을 것이라 주장하나, 동시에 일부 은혜로부터 완전 타락하여 궁극적으로 영원한 저주 받는 것이 가능하다고 진술(어거스틴) 2. 자유의지를 포함하는 반(.. 더보기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란 무슨 의미인가요?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란 무엇인가요? 신학기초교리공부 32강-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 1. 성경은 늘 창조주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시라 합니다. 특별히 레위기서가 그것을 잘 진술한 계시이지요. 2. 거룩한 창조주께서 거룩하지 않은 피조물과 교제를 하실 리가 없습니다. 3. 따라서 그리스도인이 되면 반드시 성화의 삶을 살게 됩니다. 4. 즉 성화가 없으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의심 받게 됩니다. 그 성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성화 용어 1. 구약 : “카다쉬”(히): 자르다(to cut)에서 온 말 즉 세상으로부터 분리, 구별되어 하나님께 헌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신약 : “하기아조”(헬): 말이나 행동으로 거.. 더보기
초대교회와 영지주의: "오리겐의 영지주의 관점"을 중심으로(조덕영 박사) 초대교회와 영지주의: 오리겐의 영지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조덕영 영지주의의 토양 알렉산드리아 영지주의는 초대교회 이후 교회를 위협해온 이단적 신학이다. 비록 성경에 노골적인 영지주의나 영지주의자라는 말이 등장하고 있지는 않으나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과 바울은 영지주의를 분명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한동안 영지주의의 주장에 대한 초대교회의 원 사료는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 교회가 원 자료 없이 이레니우스(약 125-약 202), 터툴리안 등이 비판한 영지주의에 대한 내용을 주로 참고해 온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초의 조직신학자라고 알려지고 있는 이레니우스가 약 180-189년 사이에 썼다고 알려져 있는 의 본래 이름도 이었다. 그런 가운데 1945년 12월 이집트 중부 룩소르 북쪽으로 80킬로미터 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