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란 무엇인가요?
신학기초교리공부 32강-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
1. 성경은 늘 창조주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시라 합니다. 특별히 레위기서가 그것을 잘 진술한 계시이지요.
2. 거룩한 창조주께서 거룩하지 않은 피조물과 교제를 하실 리가 없습니다.
3. 따라서 그리스도인이 되면 반드시 성화의 삶을 살게 됩니다.
4. 즉 성화가 없으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의심 받게 됩니다. 그 성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성화 용어
1. 구약 : “카다쉬”(히): 자르다(to cut)에서 온 말
즉 세상으로부터 분리, 구별되어 하나님께 헌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신약 : “하기아조”(헬): 말이나 행동으로 거룩함을 인정함을 말합니다.
하나님의 봉사에 바쳐지기 위해 구별과 성별됨을 말합니다.
나. 성화의 뜻
1. 성화는 성령께서 우리를 거룩하게 만드시는 것을 말합니다(살후 2:13).
2.성화는 본래 죄인이었던 우리를 죄의 오염에서 깨끗하게 하시고 하나님 자녀의 성품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새롭게 하시는 작업입니다. 이 결과 죄인은 선한 일을 할 수 있게 됩니다.
3. 성화는 신체와 영혼 뿐 아니라 전 인격(지, 정, 의)이 날마다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가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다. 성화의 두 요소
1. 성화의 사람은 옛 사람이 죄에 대하여 죽어갑니다(성화의 소극적 요소, 롬 6:6, 갈 5:24). 즉 죄악으로 인한 인간성의 오염과 부패가 점점 제거되고 사라지게 됩니다.
2. 성화의 사람은 새 사람이 되어 영혼의 거룩한 성향이 점점 더 강해집니다(성화의 적극적 요소, 롬 6:11, 갈 2:19). 즉 성화의 사람은 의에 대하여 점점 살게 됩니다.
3. 성화는 지성(렘 31:34, 요 6:45), 감정(갈 5:24), 의지(겔 36:25-27, 빌 2:13) 그리고 양심(딛 1:15, 히 9:14)에 영향을 미칩니다.
라. 성화의 중요성
1. 거룩해지지 않고서는 아무도 다시 오시는 예수님을 맞이할 수가 없습니다(히 2:14).
2. 거룩함은 구원받은 자에게 성령님이 주시는 은혜의 산물입니다(고후 7:1).
3. 거룩함의 마지막이 영생이므로 그리스도인들은 반드시 거룩해져야만 구원받은 자인 것입니다(롬 6:22).
마. 성화를 이루어가는 방법(또는 수단)
1) 성령에 의한 하나님의 말씀(특별히 십계명)
2) 성례(세례와 성찬)
3) 하나님과의 영적 교통(기도와 묵상)
4) 하나님의 섭리에 따른 지도(순경과 역경을 통한 은혜)
※ 성화의 양상
1) 성화의 방법과 수단을 통해 신자가 죄에서 자유한 거룩한 완전한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는 주장(Christian Perfection, Entire Santification, Holiness, 밷전 1:16, 마 5:48, 엡 5:17, 고전 2:6, 요일 3:6,8,9, 5:18/펠라기안, 로마 카톨릭, 알미니안, 순복음, 성결/노아, 욥, 다니엘, 프란시스)
2) 그리스도인의 대부분은 죽는 날까지 완전한 성화의 단계에 들어갈 수 없다는 주장(개혁주의 입장). 성화의 완성은 내세에서 이루어집니다(히 12:23, 빌 3:21, 고후 3:18, 요일 3:1).
3) 성도는 죽는 날까지 죄와 싸워야하는 것입니다(왕상 8:46, 잠 20:9, 전 7:20, 약 3:2, 요일 1:8). 또한 죄 뿐 아니라 설령 완전에 도달한 자라도 악마와 유혹에는 여전히 동일하게 대항하여 싸워야 합니다
바. 성화 교리의 역사
1. 거룩함은 마음의 거룩함(클레멘트)
2. 그리스도인들은 성도가 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 특별히 가난한 자와 궁핍한 자들을 돌보는 선한 행실(헤르마스)
3. 세례와 연관된 구원론적 개념으로 이해(헬라 교회)
4. 그리스도인들은 메시야의 학교에서 지속적으로 성화되어야 한다(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5. 성화의 성적, 도덕적 개념 강조. 특별히 과부의 재혼 반대(터툴리안)
6. 사죄와 사랑의 유입(롬 5:5)은 성도를 도덕적 삶을 살도록 회복하고 준비시킨다(어거스틴)
7. 성화를 죄로부터의 정결, 선한 일에의 확증, 하나님께 봉사하는 헌신이라는 세 가지로 설명(토마스 아퀴나스, Summa Theologica Ⅰ/Ⅱ: 102:4; Ⅱ/Ⅲ: 81:8)
8. 칭의를 선한 행실로 이어지는 성화로 연결(마르틴 루터)
9. 율법의 세 번째 용도인 계속적인 훈계의 필요성 주장(멜랑흐톤과 칼빈). 칼빈은 금욕과 Meditatio Futuravitae(내세에의 명상) 강조.
10. 현대신학자들은 성화의 주제를 깊게 다루지 않는 경향(칼 바르트=> 성화를 순전히 하나님의 사역으로 봄, 에밀 브룬너=> 계명들을 성화에 대한 안내 지침으로 보지 않음)
-------------------------------------
사. 정리 (묵상과 적용)
1) 성화의 두 요소(소극적, 적극적)를 설명해 보자!
2) 성화는 본질적으로 누구의 사역인가?(살후 2:13)
3) 성화의 완성은 언제인가?
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덕영 목사(조직신학)
'신학 > 조직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최고의 단어, 영화(영광, The final stage of the process of salvation; glorification, 고후3:18)란 무슨 의미인가요? (0) | 2020.11.07 |
---|---|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0) | 2020.11.05 |
초대교회와 영지주의: "오리겐의 영지주의 관점"을 중심으로(조덕영 박사) (0) | 2020.11.04 |
사도 바울은 인간을 어떻게 보았는가(조덕영 박사) (0) | 2020.11.04 |
양자(養子, 입양; Adoption, 롬 8:15, 9:4, 갈 4:5, 엡 1:5)란 무엇인가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