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728x90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신학기초교리공부 33강-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

 

 

1.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소명) 의롭다하심을 받은 (칭의) 자가 다시 타락하여 구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2. 성령님은 성도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를 시작하여 지극히 연약한 신자라도 최후까지 배교(背敎)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합니다(살후 3:3, 딤후 4:18). 이것을 견인이라고 합니다. 견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견인 교리의 역사

 

1. 선택된 자는 결코 궁극적으로 타락하지는 않을 것이라 주장하나, 동시에 일부 은혜로부터 완전 타락하여 궁극적으로 영원한 저주 받는 것이 가능하다고 진술(어거스틴)

2. 자유의지를 포함하는 반(半)펠라기우스적 견해로 성도의 견인 부정(로마 가톨릭)

3. 진정한 신자도 완전히 은혜로부터 타락할 수 있다(루터 교회)

4. 오직 칼빈주의만이 견인 교리를 명료하게 주장한다.

하나님의 자녀들도 당연히 실패하고 약점을 지닐 수 있다. “하지만 풍성한 자비를 지닌 하나님은 선택이라는 불변의 목적에 따라 중죄에 있어서도 자신의 백성에게서 성령을 거두시지 않으며, 양자됨의 은혜를 상실하고 칭의의 신분을 상실하며 죽음에 이르는 죄 혹은 성령을 거역하는 죄를 범하도록 방임하시지 않는다. 또 하나님은 이들이 완전히 유기되거나 영원한 파멸에 빠지도록 허용하시지 않는다.”(도르트 신조)

 

 

나. 성도의 견인

 

1. 성도의 견인은 궁극적 구원이란 말과 같습니다.

2. 이것을 오해하면 안 됩니다. 신자가 불신앙과 죄 가운데 빠져도 무조건 안전하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3. 진정한 성도라면 그리스도와 연합하였으므로 성령에 의하여 반드시 끝까지 견딜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합니다(24:13).

성도가 견디는 것이 아니라 엄밀히 말하면 하나님께서 참으시는 것입니다.

 

 

다. 견인에 대한 성경의 증거

 

1. 성경은 견인의 교리를 말합니다(10:28-29, 1:6, 살후 3:3, 딤후 1:12, 4:18).

 

2. 혹시 타락하거나 배교하는 자들은?

1) 신자가 중간에 실수와 오류와 시험에 빠지는 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22:31-32, 61-62).

2) 그러나 은혜에서 벗어나 완전히 타락하는 경우는 없습니다(고전 10:13).

3) 혹 선량한 신자라도 일시적 타락, 일시적 배교는 있을수 있습니다.

4) 정말 끝끝내 배교하였다면 그는 본래부터 물과 성령으로 진실로 거듭난 사람은 아니었다는 증거입니다. 겉으로 진실한 신자처럼 보였을 뿐 마음의 중심에는 애초부터 그리스도가 없던 사람이었습니다(요일 2:18-20).

 

 

라. 견인과 기도

 

1. 기도 없는 견인은 생각할 수 없습니다.

2. 우리는 기도의 능력을 믿고 하나님의 긍휼에 완전히 의뢰하여 기다려야 합니다.

3. 성도의 견인은 그리스도의 대언 기도와 관련되어 있습니다(7:24-25).

 

 

 

마. 견인과 시험

 

1.시험 당함은 사람 마음속의 욕심 때문입니다.

2.시험의 기원은 마귀의 유혹 때문입니다.

3.주님이 재림하실 때 까지 교회는 여러 시험을 당할 것입니다(24).

4.마귀는 우는 사자처럼 삼킬 자를 찾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교회 안에는 늘 마귀에게 당하는 성도들이 발생합니다.

5.그러므로 성도들은 마음으로 마귀를 대저가고 각종 시험에 대항하여야 합니다(6:13,16)

 

 

---------------------------------

바. 정리(묵상과 적용)

 

1) 중생한 자가 구원을 잃을 수 있습니까?!

2) 성도의 견인은 우리가 하는 것입니까? 하나님께서 하시는 것입니까?

3) 예수 믿어도 시험이 다가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14, 20:10, 벧전 5:8)

 

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덕영 목사(조직신학, T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