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리스도의 신분<승귀(昇貴), 빌 2:9-11)> 그리스도의 신분(-승귀(昇貴), 빌 2:9-11) 신학기초교리공부 22- 그리스도의 신분(-승귀(昇貴), 빌 2:9-11) *교리(심볼라,Symbola=‘함께 고백하다’)의 중요성=그리스도를 만나려면 허공상태가 아니라 교리를 통해 1) 그리스도를 배우고 2) 그리스도가 누구시며 3) 무슨 일을 하였는가 4) 알 때에 비로소 만나는 것이다(메이첸,「신앙이란 무엇인가」) 그리스도는 단순한 영적(경건주의), 감정(오순절,현대자유주의)체험이나 실존적 체험(신정통주의)으로 만나는 것이 아님을 명심하십시오! 그러면 이번에는 그리스도의 ‘승귀의 신분’에 대해 살펴봅시다. 1. 그리스도의 부활(Resurrection) 1)부활의 성질:죽음에서 다시 살아나셔서 육체와 영혼이 재연합하여 영체(靈體)가 되셨습니다. 2)부활.. 더보기 삼위일체가 아닌 삼위일의론을 주장하는 분이 계신데 정말 이 주장이 맞나요? Q. 삼위일의론은 성경적인가요? 삼위일체가 아닌 삼위일의론을 주장하는 분이 계신데 정말 이 주장이 맞나요? ========================================= A) 1) “삼위일의론”은 아마 단의지론(單意志論, 일명 일의론, 단의론)에서 온 말로 보입니다. 2) 단의론(Monothelitism)이란 그리스도가 인간적인 의지는 없고 오직 단 하나의 신적인 의지(the one divine will)만 있다고 보는 주장입니다. 3) 동방교회에서 특별히 발전된 이론인데 이 견해는 제4차 공의회인 칼케돈 공의회(주후 451)가 “그리스도는 두 개의 본질을 가진다”고 선포함으로써 배격됩니다. 4) 이후 AD 680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제 6차)는 그리스도가 두 개의 의지를 가지며 인간.. 더보기 그리스도의 신분(=낮아지심, 빌2:6-8) 신학기초교리공부 21- 그리스도의 신분(=낮아지심, 빌2:6-8) 말씀이 육신이 되신 그리스도의 낮아지심은 무엇을 말하는지 살펴봅시다. 가.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Incarnation) 1)그리스도는 본성에 있어 신성의 변화가 없으되(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되/ 요 1:3), 인간의 몸을 입고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요 1:1, 14, 사 7:14, 마 1:20). 2)성령께서는 마리아의 복중에서 그리스도의 인성이 잉태되게 하셨습니다. 3)예수 그리스도는 전 인류 가운데 유일하게 전혀 죄가 없으신 의인입니다. 나.예수 그리스도의 수난(Suffering) 1)예수님의 생애는 전생애가 수난의 삶이었습니다. 2)예수님의 생애는 사단의 공격, 백성들의 증오와 불신, 원수들의 박해로 수난당하셨습니다. .. 더보기 예수님은 누구인가(그리스도의 성품, 딤전 2:5, 롬 9:5) 신학기초교리공부 20강- 예수님은 누구인가(그리스도의 성품, 딤전 2:5, 롬 9:5) 우리의 구세주가 되시는 예수님은 어떤 성품을 지니셨는지 살펴봅시다. 가.예수 그리스도의 신성(Divine Nature) 그리스도는 참 하나님이십니다. 1.구약 1)구약은 그리스도를 전능하신 하나님, 영존하시는 아버지라고 부릅니다(사 9:6) 2)구약은 예수님이 신성을 가지신 분이라고 말합니다(단 7:13) 2.신약 1)예수님은 하늘에서 내려온 자입니다(요 3:13). 2)예수님은 하나님과 같으신 분입니다(요 10:30, 요 14:9). 3)예수님의 제자들의 고백(빌 2:6, 롬 9:5, 요일 5:20) 나.예수 그리스도의 인성(Human Nature) 그리스도는 참 사람이십니다. 1)다윗의 후손으로 여인의 몸에서 나셨.. 더보기 치명적 죄들과 죄를 이기는 길(히 6:13-18) 치명적 죄들과 죄를 이기는 길(히 6:13-18) 신학기초교리 공부 18- 치명적 죄들과 죄를 이기는 길(히 6:13-18) 성경이 말하는 치명적 죄에 대하여 살펴보고 죄를 이기는 길을 살펴봅시다. 가.죄에 대한 의미 1.죄의 어원적 의미 히브리어 ‘하타아트’와 헬라어 ‘하말티아’(ἁμαρτια)는 ‘과녁을 쏘아 맞출 수 있는데도 맞추지 않는 오만한 행위’ 즉 하지말아야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행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알고도 행하지 않는 의무 태만(약 4:17)과 하지말아야 할 것을 행하는 일 등이 모두 해당합니다(표적 이탈, 표적 미달, 표적 지나침 모두 해당). 2.히브리어 : 1) 하타아트: 율법,하나님으로부터 탈선. 2) 아원: 의도적 악행(패역무도) 3) 페샤: 관계를 파탄시키는 행동(하나님에.. 더보기 부정신학이란 무엇인가요?(조덕영 박사) 부정신학이란 무엇인가요?(답변: 조덕영 박사) 하나님에 대해 교회는 묘사할 수 없었기에 주로 추상적 상징을 교회건축에 활용하였다 부정신학이란 무엇인가요? 1) 부정신학이란? 부정신학은 신비주의 신학에 속한 신학으로, 무한한 하나님은 인간의 이해력 너머에 존재한다는 전제 아래 하나님을 이해하려는 신학을 말합니다. 2) 부정신학의 기원 이 같은 부정신학의 기원은 기독교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시카고대의 버나드 맥긴은 서방 기독교 신비주의 역사를 다루면서 서방 기독교의 신비주의가 3, 4세기 시작되어 12세기까지 꽃을 피웠다고 보며 13-16세기를 신비주의의 개화기로 이때 신비주의의 고전적 학파들이 생겨났다고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신비주의는 그 역사와 뿌리가 깊다고 볼 수 있지요. 이 역사 속에서 성 어.. 더보기 죄(罪)의 종류(로마서 6:23) 기초교리공부 17- 죄(罪)의 종류(로마서 6:23) 죄(罪)의 종류(로마서 6:23) 죄의 종류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학자마다 교파마다 그 주장이 많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죄의 종류를 공부합니다. 가.원죄(原罪, Original sin) 1.모든 사람은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죄의 상태와 조건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2.사람이 원죄의 신분과 상태를 가지고 태어나는지 원죄의 요소만을 가지고 태어나는 지는 학자들 사이에서 늘 토론거리입니다. 3.원죄의 두 요소 1)원초적 죄책:아담의 죄가 우리에게 그대로 전가 2)원초적 오염:사람은 아담의 후손으로 도덕적인 오염도 물려받았습니다. 첫째 원초적 오염은 전적부패를 포함합니다. 사람의 영혼과 모든 부분은 전적으로 선한.. 더보기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기초교리공부 16-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성경이 분명 말하는 것은 우리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 살펴봅시다. 가.죄는 어디서 왔을까요? 1.하나님은 죄를 창시하신 분이 아닙니다. 2.죄는 천사의 타락과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딤전 3:6, 벧후 2:4, 유1:6,요일 3:8). 범죄한 천사가 바로 사단입니다. 3.사람의 죄의 기원은 아담의 타락과 관련이 되어있습니다(창 3:1-6, 요 8:44). 나.선악과를 따먹은 행위에 나타난 죄의 요소 사람은 인격적 존재(지성, 감정, 의지를 가진 존재)이므로 죄도 인격을 타고 옵니다. 1.지성=교만과 불신앙 2.의지=하나님과 같이 되고자하는 의지 3.감정=방종(Concupiscence) ※겸손의 .. 더보기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