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악의 문제를 다룬 최초 신학자는 누구인가? 악의 문제를 최초로 다룬 신학자는 누구인가요? 필리핀 마닐라 역사박물관 전시물 악의 실체성 세상에 다양한 악(惡)이 존재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요. 세상과 인간은 역사 속에서 늘 끔찍한 시련과 고통 가운데 악을 경험하여 왔습니다. 세상과 인간의 역사는 도덕적, 자연적, 사회적 악 속에 몸부림을 치며 문화와 문명을 만들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악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기독 학자-오리겐과 라이프니츠 이렇게 모순으로 보이는 선하신 하나님과 악의 공존 문제는 신정론(神正論, Theodicy)의 끝없는 논쟁거리였습니다. 만물의 창조주 하나님이 완전하신 존재라면 과연 악은 어디서 왔단 말인가? 이 문제를 다룬 학자들은 무수히 많습니다. 최근에도 씨 에스 루이스나 손봉호 박사 등이 이 .. 더보기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 2.엡 1:4-5절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 2.엡 1:4-5절 창조신학기초교리공부 9-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 2.엡 1:4-5절 【성경기초교리연구】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은 쉽지 않은 교리입니다. 사람마다 교단마다 교파마다 생각과 주장이 다릅니다. 우리는 가장 기본적인 것만을 공부합니다. 오늘은 하나님의 예정이란 무엇인지를 배웁니다. 1.하나님의 예정(the Divine Predestination)이란 무엇인가 1)하나님의 예정이란 하나님의 작정 가운데 구원과 관련되어 미리 정하신 섭리를 말합니다. 2)여기에는 사람과 천사와 같은 도덕적 피조물이 모두 포함됩니다. 중보자로서의 그리스도도 물론 포함됩니다. 3)예정의 용어: *“야다”(히;창 18:19, 암 3:2, 호 13:5)= 어떤 이를 사랑의 관심의 대상 혹.. 더보기 요한 칼빈의 생애와 사상- 기독교 사상가 탐색 후반부 강좌 요한 칼빈의 생애와 사상(John Calvin, 1509~1564)- 기독교 사상가 탐색 후반부 강좌(1) 인간에게는 신을 의식할 수 있는 본능이 있다. 하나님은 모든 인간 속에 신적 위엄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는 마음을 심어놓으셨다. "나는 나의 마음을 오로지 하나님께 제물로 바친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 ※칼빈에 대한 간략 연보(일반적 추정임) 1) 1509년 7월 10일, 파리 동북쪽 노와용(Noyon)에서 출생 아버지 제라드는 공장직공과 벳사람에서 노력으로 시 등기관리인과 주교관 행정직 그리고 대성당 소송대리인(일종의 오늘날 변호사 역할)까지 한 사람 칼빈은 12세 때 교직자가 되기를 원하는 아버지 뜻에 따라 교회 신부 보조하는 목사보에 임명 1520 혹은 1521, 마르슈대학 입학.. 더보기 제자훈련, 어떻게 볼 것인가 제자훈련,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의 제자 훈련에 대해("사랑의 교회 건축, 어떻게 볼 것인가" 카페에 올린 원고) 지난 30년 동안 한국에서 유행한 제자 훈련이 좋은 프로그램이기는 하나 몇가지 생각해 볼 문제가 있습니다. 1) 그 명칭에 대해 제자는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져야 되는 것이지 성경공부나 제자 훈련으로 되는 게 아닙니다. 제자는 예수님이 부르실 때 그저 모든 걸 내려놓고 예수를 따른 베드로 요한 야고보처럼 직장, 물질, 기득권을 모두 버릴 때 바로 제자가 됩니다. 그 다음에 제자 훈련은 목사가 아닌 예수님께서 시작하시는 겁니다. 장로님도 잘 아시다시피 이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자기가 가진 기득권을 모두 붙들고 하는 제자 훈련은 제자 훈련이 아닙니다. 제자 훈련하는 교회들의 .. 더보기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豫定)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豫定) 창조신학기초교리공부 8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豫定) Ⅰ.엡 1:11절 【성경기초교리연구】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은 쉽지 않은 교리입니다. 사람마다 교단마다 교파마다 생각과 주장이 다릅니다. 우리는 가장 기본적인 것만을 공부합니다. 오늘은 먼저 하나님의 작정이 무엇인지를 배웁니다. 1. 하나님의 작정(the Divine Decrees)이란 무엇인가 1) 하나님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정하신 영원한 목적이 있습니다(엡 1:11, 시 33:11). 2) 하나님은 그의 영광을 위하여 일어날 모든 일을 미리 정하셨습니다(롬 9:22, 행 2:23). 이것을 하나님의 작정이라고 합니다. 3) 그러나 이 문제는 교파마다 강조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매우 난해하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더보기 플라톤(Platon)의 이데아론, 이상주의란 무슨 의미인가요?(초대 기독교 사상의 배경 속 철학은?) 플라톤(Platon)의 이데아론의 이상주의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초대 기독교 사상의 배경 속 철학은? 질문) 플라톤(그리스 아테네 국립고고학박물관 내) 플라톤(Platon)의 이데아론의 이상주의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1. 이데아는 서양 철학의 중심인 플라톤(주전 427-347)의 핵심개념으로 "현실에서 발견할 수 없는 영원불변의 참된 존재"를 말한다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데아론이 현실에서는 전혀 만질 수도 보이지도 않으니 이상주의라 할 수 있습니다. 2. 왜냐하면 세상은 불완전한 것투성이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이데아는 현실에서 검증할 수는 없고 오로지 이성으로만 알 수 있을 뿐입니다. 그러니 이것도 이상주의입니다. 3. 그러니 플라톤은 찾을 수 없는 완벽한 무엇인가를 찾고 있었던 것이지요... 더보기 과학적 무신론의 다리를 놓은 철학자들(헤겔, 포이어바흐 그리고 마르크스) 과학적 무신론의 다리를 놓은 철학자들(헤겔, 포이어바흐 그리고 마르크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철학적 무신론에서 과학적 무신론으로 건너가는 과정에서 독일의 철학자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과 포이어바흐(Ludwig Andreas Feuerbach, 1804-1872)가 징검다리를 놓았다. 헤겔의 철학은 모순과 대립이 보다 높은 단계에서 종합된다는 변증법적 정반합(正反合)의 논리를 적용한 것이다. 그렇지만 그의 철학에서 역사의 주체는 절대정신 또는 세계정신이었다. 헤겔은 1807년에 『그리스도교의 정신과 그 운명』과 『정신현상학』을 잇따라 발표하여 독일 관념론 철학의 꽃을 피웠다. 앞의 책은 그의 신학을 정리한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핵심은 하나.. 더보기 알렉산드리아신학이 말하는 로고스 사상(기독론)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알렉산드리아신학이 말하는 로고스 사상(기독론)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이거 설명이 아주 깁니다^^ 짤막하게만 설명! 1. 기독론에 등장하는 이론입니다. 창조주 하나님이 어떻게 인간이 될 수 있을까? 또한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분은 창조주 하나님인가? 아니면 피조물인가? 둘 다 정확한 진술이 아니라면 도대체 어떻게 하나님과 피조물의 속성을 동시에 가진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를 설명할 수 있을까? 피조물인 인간은 창조주가 아니기에 이 같은 오묘한 섭리를 완벽하게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즉 그 참 된 본질과 속성을 사실 제대로 이해하거나 체험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닮았기 때문일까? 온전한 예수의 상(像)을 그리지 못할지라도 인간은 그 속성상 자신 앞에 놓.. 더보기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