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개념 중 가능태(잠세태)의 현실화란 무슨 의미인가요? Q.)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개념 중 가능태(잠세태)의 현실화란 무슨 의미인가요? 1. 질료와 형상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중심 개념입니다. ​ 2. 토마스 아퀴나스는 바로 이 철학을 가져와 활용함으로써 로마 가톨릭 신학을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으로 구성합니다. ​ 3. 질료는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가능태(잠세태)를 의미하며 형상이란 질료를 통해 만들어진 현실태(현실화)입니다. ​ 4. 예를 들어 씨앗이 질료라면 나무나 꽃은 형상입니다. 나무와 꽃이 질료라면 통나무집이나 화원은 형상입니다. 통나무집이 질료라면 통나무집 마을은 형상입니다. ​ 5. 이와 같이 가능태로서의 질료는 여러 가지 현실태로 바뀔 수 있음을 알 수 있지요. ​ 6.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렇게 온 세상 만물은 모두 질료와 형상의 복잡하고 다.. 더보기
철학의 누스(nous)와 성경의 신은 어떤 관련이 있나요? Q.) 철학(아낙사고라스)의 누스(nous)와 성경의 신은 어떤 관련이 있나요? ​ A.) 1) 정신, 마음, 이성이라는 의미를 가진 누스는 고대 헬라어로 철학자 아낙사고라스(Anaxagoras, 주전 500-428)가 처음 사용한 단어입니다. ​ 2) 이오니아의 밀레투스(성경 사도행전의 밀레도) 지방에서 시작된 초대 철학의 중심인물들은 일종의 만물 기원론을 다룬 자연철학(Physica)자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초대 철학의 이 같은 질료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넘어오게 됩니다. ​ 3) 엠페도클레스가 물, 불, 흙, 공기라는 4 원소를 질료의 기본 원소로 본 반면 아낙사고라스는 질료는 수많은 원소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수많은 질료의 힘 자체는 보다 관념적인 비물질적인 실체.. 더보기
예정 교리에 대한 루터와 루터파의 정확한 입장은 무엇이었나요? Q.) 어거스틴의 예정론을 따랐다는 점에서 종교개혁자들인 루터와 칼빈과 쯔빙글리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근데 왜 루터의 제자들은 예정 교리를 반대하였을까? 궁금합니다. ​ ​ A.) ​ 1) 칼빈과 칼빈주의(칼빈주의 안에서도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음)가 조금 다르고 루터와 루터주의가 조금 다릅니다. 2) 하지만 칼빈이나 루터나 모두 성경만을 유일한 규범(Sola Scriptura, norma normans)으로 한다는 점에서 종교개혁자로서 서로 간에 큰 간극은 없습니다. 3) 다만 시간이 흐르면서 성경 해석에 있어 미세 조정이 이루어질 뿐입니다. 4) 그러면서 칼빈과 칼빈주의, 루터와 루터파들 사이에서도 서로의 입장에 있어 성경에 비추어 해석함에 있어 미세하게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5.. 더보기
성경의 영감(靈感;Inspiration)이란 무슨 말일까?(딤후 3:16-17절, 벧후 1:20-21) 성경의 영감(靈感;Inspiration)(딤후 3:16-17절, 벧후 1:20-21) 성경의 영감(靈感;Inspiration)(딤후 3:16-17절, 벧후 1:20-21) 【기초 교리 공부 3】 제 3과에서는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이 함께 하신 영감된 책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룹니다. 1.영감의 의미 1) 하나님께서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성경 기자들에게 끼친 초자연적인 감화력이다. 그래서 성령을 성경의 원저자(auctor primarius)라 한다. 2) 하나님의 계시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영감이 필요하다. 영감은 특별 계시인 성경의 정확성을 보증한다. 2. 영감의 요소 1) 하나님: 기록에 있어 성령의 역사를 주관하심 2) 사람: 영감 받은 사람은 자기의 문체와 성격대로 기록 3) 하나님-사람: 오류 없는 .. 더보기
중세 유럽, 로마 가톨릭의 권한은? 유럽 중세 시대 인간이 할 수 없는 것 ​ Q.) 인간 이성의 신뢰: 하나님 없이 가능해진 것들이 많음을 발견(예: 천동설과 지동설에서의 성경이 아닌 이성의 역할). 이 부분에서 궁금했던 점이 그렇다면 이때까지도 인간이 할 수 없었던 것의 예는 뭐가 있었을까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또한 종교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인간답게 만든다는 정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A.) ​ 1) 중세 유럽은 로마 가톨릭의 권위가 대단한 시대였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할 수 없는 일들이 많았습니다. 심지어 왕들조차 마음대로 할 수 없었던 것이 많았지요. 계몽주의 사상과 종교개혁이 가톨릭의 권위를 균열 시키기 전까지 가톨릭의 권위는 대단하였습니다. ​ 2) 영국 헨리 8세(1491-1547)는 형 아서가 죽.. 더보기
천사는 어떤 존재인가- 평신도를 위한 천사론(조덕영) 천사는 어떤 존재인가- 평신도를 위한 천사론(조덕영) § 주제!: 천사는 우리에게 누구인가! “여호와의 사자가 주를 경외하는 자를 둘러 진치고 저희를 건지시는도다” (시편 34편 7절) Ⅰ.이 세상에서 가장 신기한 존재: 천사 만나기 가. 성서는 우리에게 천사를 소개합니다(창 16:7). 나. 그는 은밀한 도우미입니다(마 18:10). 그래서 참 든든하고 멋있는 존재입니다. 다. 예수님은 천사를 인정하였으며 바울도 믿었습니다(마 4:11/골 2:18/살후 1:7) Ⅱ.이 세상에서 가장 궁금한 것: 천사 알기(천사의 본성) 가. 천사는 영적 존재입니다. 나. 영적 존재란 의미는 인간의 법칙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다. 그래서 천사는 인간이 만든 감옥에도 마음대로 들어가고(행 12:7), 옥문을 열.. 더보기
계시란 무엇인가?(기초 교리 공부 2) 제 2과 계시(啓示;Revelation)란 무엇인가?(마 11 27절) 【기초 교리 공부】 종교에는 계시가 있습니다. 특별히 기독교는 창조주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부터 출발한 종교입니다. 그럼 계시가 무엇인지를 살펴봅시다. 1. 계시란 무엇인가 1) 계시는 하나님이 창조, 역사, 인간의 양심과 성경 등을 통하여 자기 자신과 자신의 뜻을 현현(顯現)하시는 것을 말합니다. 단순히 감추인 것을 드러낸다는 의미보다 하나님께서 자기 자신과 자기 작정을 바르게 인간에게 전달하고 알리심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히브리어 “깔라” 관찰에 장애가 되는 것을 제거함(창 35:7) 3) 헬라어 *아포카룹시스=감추인 것을 드러내 보이다, 베일을 벗다. *파네로시스=뚜껑을 열다 4) 누구에게?(시 103:6-7) 먼저 모세.. 더보기
실존주의는 성경적인가요? 폴 틸리히도 실존주의 지지자? 실존주의는 성경적인가요? Q.) 어떤 자료에 보니 폴 틸리히를 실존주의 지지자라 하던데 신학의 관점에서 실존주의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요? Q.) ​ 어떤 자료에 보니 폴 틸리히를 실존주의 지지자라 하던데 신학의 관점에서 실존주의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요? A.) ​ 1. 실존주의는 본래 이성에 바탕을 둔 합리주의에 대한 반동의 성격을 가지고 나타난 철학사상이었습니다. 실존주의자들이 "합리주의가 사람에 관심을 두지 않고 사람들의 정신적,물질적 곤궁을 도외시했다"고 비판하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입니다. 철학의 출발이 이성적인 자연철학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넘어왔던 것처럼 학문도 돌고 도는 경향이 있지요. ​ 2. 이렇게 실존주의자들의 주 된 관심은 인간의 실존적 삶의 영역이었습니다. 그런데 실존주의는 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