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사도 바울은 인간을 어떻게 보았는가(조덕영 박사) 사도 바울은 인간을 어떻게 보았는가 조덕영 1. 사도 바울(the Apostle Paul)은 누구인가 사도 바울(Paul)은 과연 누구였을까? 사도 바울만큼 기독교 역사에서 극적이고 독특하고 중요한 인물이 있을까? 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으로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외모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출신과 가문은? 그리고 회심 이전에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부활의 예수를 만난 후 돌연 신앙의 변곡점을 맞았던 것일까? 스스로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그리스도인 가운데 한번쯤 그에 대한 궁금증이 없었던 사람이 있을까? 바울은 길리기아 다소(행 9:11; 21:39; 22:3)에서 로마 시민이었던 부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성경 속에서 그의 가족에 대해 더 이상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 더보기
양자(養子, 입양; Adoption, 롬 8:15, 9:4, 갈 4:5, 엡 1:5)란 무엇인가 양자(養子, 입양; Adoption, 롬 8:15, 9:4, 갈 4:5, 엡 1:5)란 무엇인가 신학기초교리공부 31강- 양자(養子, 입양; Adoption, 롬 8:15, 9:4, 갈 4:5, 엡 1:5) 1. 사람이 한 가정에 자녀가 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출생에 의한 자연적 탄생이고 다른 하나는 법적이 절차를 따라 양자로 입양되는 경우입니다. 2. 양자는 성경에 나오는 중요한 단어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심으로 양자 삼으심으로 값없이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양자에 대해 살펴봅시다. 가. 양자 1. 휘오데시아스(롬 8:15)= 2. 아들로 세우다, 양자 삼기, 아들 삼기 3. 신약성경에 5번 나오는 단어(롬 8:15, 23; 9:4;.. 더보기
믿음(신앙, Faith,요 1:12)이란 무엇인가? 믿음(신앙, Faith,요 1:12)이란 무엇인가? 신학기초교리공부 30강- 믿음(Faith,요 1:12) 1. 회심한 사람은 삶 가운데 두 가지 요소가 발생하는데 바로 회개와 신앙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2. 오늘은 신앙(믿음)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신앙의 뜻과 의미 1. 죄와 그 결과로부터 구원받기 위하여 말씀을 믿음으로 주를 신뢰하고 아는 것을 말합니다. 2. 신앙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며 교회를 통하여 강하게 됩니다(칼빈) 3. 우리는 신앙에 의해(by) 구원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앙 없이 구원 받지 못한다고 해야 옳은 표현이다. 4. 성경은 믿음에 대해 높게 평가한다(히 11:6). 즉 사람은 하나님이 살아계심을 믿고 자기를 찾는 자에게 상 주심을 믿어야 한다. 나. 신앙의 종류 1... 더보기
야고보서는 행위 구원을 말하고 있나요?(오직 믿음-행위 구원 문제, 약 2장 14-26) 야고보서는 행위 구원을 말하는 가요? 오직 믿음인가? 아니면 행위 구원인가?(약 2장 14-26) 오직 믿음인가? 아니면 행위 구원인가?(약 2장 14-26) 1. 마르틴 루터의 입장 1) 로마서 1장 17절을 통해 오직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는 칭의 개념을 이해한 마르틴 루터는 야고보서를 지푸라기 서신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2) 아마 루터는 야고보서를 조금은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봅니다. 2. 유대 랍비의 입장 1) 유대 랍비들은 신앙과 행위, 신앙과 순종, 율법과 행위, 순종과 공로를 분리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하나의 통일체였습니다. 2) 따라서 랍비들은 아브라함이 그의 공로로 의롭게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3) 유대인출신 기독신자들이 믿음으로 의롭게 됨(칭의)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이유입니다. 4).. 더보기
피어선은 성경의 기적을 의심하지 않은 변증가였다 피어선은 성경의 기적을 의심하지 않은 변증가였다 조덕영 21세기 포스트모던 상황 가운데 기독교는 그 어느 때보다도 반기독인들로부터 세찬 도전을 받고 있다. 이들 반기독지성을 대표하는 중심인물 가운데 그 영향력에 관한한 3총사를 꼽으라면 아마도 평생 신을 부정하던 유명 무신론자 크리스토퍼 에릭 히친스(Christopher Eric Hitchens, 1949-2011)와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석좌교수로 있는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1941- ), 30년 이상 캠브리지 대학 석좌교수를 역임한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1942-2018)을 꼽을 수 있겠다. 이들 세 인물의 두드러진 특징은 모두 영국계이며 반기독인인 동시에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지성인이.. 더보기
기독교 신비주의를 참된 기독교 신앙이라 할 수 있는가? 기독교 신비주의를 기독교 신앙이라 할 수 있는가? 조덕영 들어가면서 최근 한국 교회에 신비주의가 범람하고 있다. 신비주의로 물든 기독교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한국기독교는 탈선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대체 신비주의는 무엇이고 어떤 역사적 경로를 거쳐 한국교회를 뒤덮고 있는 것일까? 그 근원적 본질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기독교는 성경을 통해 계시하는 하나님의 창조와 그 창조 신앙을 근본으로 하는 종교다. 창조는 일종의 초월(超越)이다. 그런데 성경의 하나님은 이 세상 너머 초월자인 동시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내재자(內在者)로 자신을 계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초월은 내재를 사는 사람들에게는 늘 신비한 영역이다. 사실 성경의 저자들은 계시의 전달자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어떤 식으로든 모두 초월적 신비를.. 더보기
김성로 목사와 부활 복음 그리고 이재위 목사 김성로 목사는 예장 합동 총회(2019년)에서 아래와 같은 판단을 받은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 필자의 김성로 목사의 신학적 문제점들을 지적한 글을 갓 안수 받은 외국 거주 젊은 목사를 동원하여 엉터리로 비판하는 글들이 여전히 삭제되지 않고 SNS에 남아 있어 오히려 김성로 목사의 의도를 의심케 하고 있다. 김 목사 측에서는 이재위 목사의 그릇된 글을 속히 내려, 예장 총회의 결의에 자신의 자술서를 통해 "지적 사항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잘못을 인정하고 회개하며" 송구하다는 김 목사의 표현이 진실함을 증거했으면 한다. 이재위 목사는 김성로 목사도 "잘못을 인정하고 회개"하고 "또한 춘천한마음교회 주일예배 및 여러 집회와 공개적 자리와 매체를 통해 수정 발표하였으며 회개하는 심정을 고백"하였고.. 더보기
일천번제 헌금은 성경적인가? 일천번제 헌금은 성경적인가? 조덕영 솔로몬의 일천번제를 1,000회의 제사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교회들이 다양한 비성경적인 것들을 일천번제와 연관시키는 목회 이베트들을 만들어서 성도들을 더욱 우매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 성경의 일천 번제 성경의 일천번제는 헌금 이야기가 아니다. 즉 소위 헌금을 일 천번 나누어 드린다는 “일천번제헌금”이란 것은 성경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성경에는 일천 번제 이야기가 단 한번 기록되어 있다. 그 만큼 일천 번제 이야기는 아주 희귀한 경우였다. 열왕기상 1-2장에 보면 다윗으로부터 솔로몬으로 이스라엘의 왕권이 이양되고 솔로몬이 그 왕권을 강화해 가는 과정이 설명되어 있다. 일천 번제 이야기는 솔로몬의 초기 통치 모습을 보여주는 열왕기상 3장(역대하 1장에도 동일한 번제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