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령은 어떤 분이신가-성령론(Pneumatology)의 초기역사(성령론 제 2강) 성령론의 초기 역사(제 2강) 성령은 어떤 분이신가-성령론 (Pneumatology) 조덕영 1. 제 1강 서론(신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신학은 왜 필요한가?) 종교개혁의 3인물(좌로부터 칼빈, 루터, 멜랑흐톤, 멜랑흐톤 하우스에서) Theologia est infinita sapientia quia nunquam potest edisci. 신학은 무한한 지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교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 2. 제 2강 성령론의 초기 역사 바른 성경적 성령론을 위하여 1) 성경적 성령론 만큼 난해하고 학자들마다 일치되지 않는 분야도 드물다. 2)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역사하시며(루터) 우리 인간은 삼위일체가 아니기에 하나님의 본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이 불가하다.. 더보기 세상 창조에 대한 오리겐의 관점 세상 창조에 대한 오리겐의 관점 | ▲조덕영 박사. 오리겐 당시 신학자들은 많지 않았다. 필로나 순교자 저스틴 그리고 오리겐의 스승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등이 잘 알려진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 초대 교회 신학자들은 물질의 기원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가지고 있지 않고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필로는 하나님께서 물질을 창조하시기 이전부터 물질은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오리겐은 탁월한 하나님의 사람들이 물질이 창조되지 않았다거나 단지 우연한 결과라고 여기는 것을 결코 이해할 수 없었다. 세상은 시간과 공간과 물질로 구성된다. 오리겐은 모세가 세상 기원에 관해 쓴 창세기 1장이야말로 역사적 사건 이상의 더 깊은 의미를 담고 있다고 말한다. 즉 많은 구절에 단순한 세상 창조를 너머 영적 의미를 .. 더보기 초대교회 오리겐은 어떤 인물이었는가? 초대교회 오리겐은 어떤 인물이었는가? ▲조덕영 박사 오리겐의 가정과 신앙 오리겐(본명 Origenes Admantius, 185년 경-254년 경)은 기독교 초기 기독교인들이 많이 살던 알렉산드리아에서 유복한 그리스도인 부모 밑에서 일곱 남매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그는 알렉산드리아의 보편적 기독교 지식인 가정의 경우처럼 아버지에게서 헬레니즘 교육과 성경을 배웠다. 당시 헬레니즘 교육은 오늘날 중등교육에 해당하는 철학 공부의 준비 단계로 백과사전식으로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하여 배우는 전반적인 교육 과정이었다.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 265경-339경)에 의하면 이오니아(Ionia)어로 레오니데스(Leonides)로 알려진 그의 아버지는 세베루스의 치하 .. 더보기 초대교회 천사 창조론(오리겐의 천사 창조론) 천사는 창조된 존재인가? 오리겐의 천사 창조론 초대 교회 천사 창조론의 한계 21세기 기독교 신학에서 방치내지 간과되는 분야가 있다면 바로 천사론일 것이다.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먼저 현실적 요인으로는 신학이 다원주의 시대에 다양하고 풍성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조직신학의 관심 영역이 분산되면서 정해진 강의 범위 안에서 자연스럽게 천사론의 순위가 뒤로 밀려난 감이 있다. 즉 솔직하게 말하면 제한된 시간에 천사론을 강의할 시간이 부족해지면서 신학도들도 천사론을 접할 기회가 멀어지고 관심을 접는 경우가 생겼다고 본다. 하지만 교부 시대는 달랐다. 기독교 신학에서 천사의 문제는 중요한 주제였다. 문제는 성경뿐 아니라 외경(外經)과 위경(僞經) 속에 자주 등장하는 천사에 관한 서술을 어떻게 정리해야 되는 가하.. 더보기 창조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오리겐의 견해 오리겐이 본 창조주 삼위일체 하나님 ▲조덕영 박사. 창조주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은 피조물인 세상이나 인간이나 물질과 어떻게 다른가? 오리겐은 삼위일체 하나님이 비육체적 존재임을 세 번이나 강조한다. 육체는 피조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단어다. 오리겐은 하나님을 육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소개한다. 하지만 성경이 하나님을 빛이라고 했다고 하나님을 이 세상 태양 빛이라고 볼 수는 없다. 성령을 육체로 보는 것도 마찬가지다. 과학기술 시대인 오늘날 성령을 마치 파워풀한 존재로 여기는 만유내재신(萬有內在神)적 성령관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주로 과정신학자들이나 신사도운동가, 일부 오순절주의자들이 성령을 파워 에너지나 불처럼 여겨 안수 행위로 신자들을 쓰러뜨리거나 '불 받으라'는 식으로 인격적 하나님이신 성령.. 더보기 기독교 신학 서론-신학의 중요성(조덕영 교수, 조직신학) 신학은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신학 서론 강의, 조덕영 교수) 본 내용은 신학 강의 첫 수업을 위한 신학 기초 자료입니다. 기독교 신학 서론 조덕영 교수(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Ⅰ. 神學은 왜 重要하고 必要한가?(Who needs theology?-S. Grenz) 1. 신학이란 무엇인가 1) theology= "theos"(神)+ "logos"(理性, 知慧, 思考) 2) 文字的으로 神學= 모든 인간이 알고 싶어 하는 하나님에 관한 학문 3) 모든 사람은 신학자다(Everyone is a theologian) 사람은 누구나 전제(前提) 가운데 살아간다(“무신론자는 무신론을 전제한 신학자”). 2. 신학은 왜 중요한가 1) 신학과 신학자들에 대한 편견 "Happy is the Christ.. 더보기 개신교 신학의 출발점,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서론 참고자료) 신학함의 출발점,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서론, 강의참고자료) 신학은 하나님의 학문이요 계시의 학문이다. 따라서 그 어떤 학문과도 다르게 아주 독특하고 특별한 학문이다.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1518년(4.26일) 하이델베르그 논박에서 십자가 신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참된 신학의 본질을 보여준다. 즉 이 십자가 신학은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신학을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리고 영광의 신학(theologia gloriae)은 주로 루터가 자신의 십자가 신학(theologia crucis)과 대응되는 단어로 사용한 말이다. 루터는 모든 올바른 신학은 십자가의 지혜(sapientia)로부터 온다고 보았다. 즉 참된 신학과 참된 하나님 인식은 특별계시인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보는 것.. 더보기 진화론에 대한 복음주의의 두 관점<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진화론에 대한 복음주의의 두 관점 ▲조덕영 박사. 복음주의는 역사 속에서 다윈의 진화론 문제에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조금 더 살펴보자. 19세기 미국 복음주의자들은 신학자와 적절히 훈련받은 평신도는 가장 중요한 현대 과학의 결과를 성경에 대한 전통적 해석과 조화시켜야 한다고 여겨왔다. 또한 복음주의 지도자들 일부는 과학적 결론을 전통적 기독교 신앙의 변증이 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복음주의자들은 보통 과학이란 "베이컨주의" 혹은 입증된 개별적 사실에서 출발하여 좀 더 보편적인 법칙을 엄밀하게 추론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모든 학문 분야의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제공한다는 믿음을 가졌다. 과학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법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종의 기원(Ori.. 더보기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