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역사적 신학자들은 창조론에 어떤 견해 가졌나(창조론오픈포럼, 박찬호 교수) 역사적 신학자들은 창조론에 어떤 견해 가졌나 박찬호 교수, 17일 온라인 창조론 오픈포럼서 발표 기독일보 장지동 기자 제공(zidgilove@cdaily.co.kr) ​ 박찬호 교수가 온라인 줌으로 진행되는 창조론 오픈포럼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창조론 오픈포럼 줌 영상 캡처 박찬호 교수(백석대 신학과)가 17일 오후 온라인으로 진행된 창조론 오픈포럼에서 ‘신학자들의 창조론’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 박 교수는 “신학자들의 창조론을 시작하며 가장 먼저 언급해야 할 것은 ‘창조의 일식’(eclipse of cre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말은 유대교 학자 마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신의 일식」이라고 하는 책 제목을 패러디한 것”이라며 “일식이라고 하는 것이 태.. 더보기
“신학자들의 창조론”(창조론오픈포럼, 박찬호 교수) 창조론 오픈포럼 “신학자들의 창조론”(창조론오픈포럼, 박찬호 교수) ​ 창조론 온라인 포럼 https://www.youtube.com/watch?v=K10q7w189EM 2021년 4월 17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3회 창조론 온라인 포럼] \ 동영상입니다. 제목은 “신학자들의 창조론” 이며 연사는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박찬호 교수님 이십니다. 더보기
교부 성 어거스틴의 사상(기독교 사상가, 조덕영 교수) 기독교사상가 탐색- 성 어거스틴(조덕영 교수) 어거스틴의 고백록(2003) ​ 교회사 속의 인물과 영성 "나의 모든 소망은 오직 당신의 긍휼에 의지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시는 바를 행하소서!" -어거스틴- ​ ​ 기독교가 배출한 가장 탁월한 사상가! ​ 1. 어거스틴의 생애와 당시 상황 ​ 1) 출생= 354년 11.13일 북아프리카에서 출생 2) 당시 로마의 식민지에서 가난한 로마 시민권자의 아들 3) 어머니 모니카는 열성적 기독교인 4) 카르타고에서 수사학과 라틴어를 배우다. 5) 카르타고에서 방탕한 생활 시작(372년 첫 아들 Adeodatus 탄생) 6) 신흥종교 마니교에 빠지다( 구약과 신약 신은 서로 다르다/ 신약의 신이 더 우월/ 예수도 훌륭한 스승/ 헌신/ 금욕/ 채식 강요). 어머.. 더보기
폴 틸리히의 신학(성령론, 조덕영 교수) 폴 틸리히의 신학(성령론, 조덕영 교수) 1. 폴 틸리히의 생애 ​ 1)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 8.20-1965)는 독일 구벤(Guben) 지방(브란덴브르그)에 있는 작은 공업 도시 슈타르체델에서 태어났다. ​ 2) 부친은, 보수적 성향의 루터교 목사였고 어머니는 개방적 성격의 사람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 3) 1904-09년 베를린, 튀빙겐, 할레 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면서 칸트, 피히테, 슐라이에르마허, 헤겔, 쉴링 등을 공부했는데 특히 쉘링이 그의 주된 연구 주제였다. ​ 4) 피히테의 학문과 칸트의 비판 사상에서 만족을 얻지 못하며 쉘링에게서 자기 학문의 길을 찾게 된다. 쉘링은 칸트와 피히테에게서 영향을 받았고 주관과 객관을 통일하려한 통일철학과 절대자를 통한 .. 더보기
몰트만의 성령론 몰트만의 성령론(성령론 강좌 6, 조덕영) 1. 몰트만의 생애 1)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1926~ )은 로마 가톨릭이 아닌 복음주의 교회들이 중심이 되어 있는 한자 동맹 중심 도시인 독일 북부 함부르크 태생의 개신교 신학자다. 2)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육군에 입대했으나 영국군에게 포로가 되었고 스코틀랜드에 있는 포로수용소에서 그는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3) 괴팅겐 대학에서 수학하고 오토 베버(1902, 바르트 영향, 칼빈 獨譯)의 지도 아래 1952년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일 년 후인 1953년 목사 안수 4) 1954년부터 시골 교회에서 약 5년 동안 목회를 경험하고 브레멘의 교회 대학(Kirchliche Hochschule)에서는 교목 생활을 경.. 더보기
판넨베르크의 성령론(성령론 강좌 5, 조덕영 교수) 판넨베르크의 성령론 ​ 20세기 가장 중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었던 칼 바르트처럼 판넨베르크도 한국 신학 안에서 극명하게 평가가 나누어지는 신학자입니다. "역사의 신학", "부활의 신학" 등으로 불려지는 판넨베르크의 신학은 어떤 신학일까요? 그는 선배요 스승인 바르트나 불트만의 신학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신학을 전개합니다. 역사를 강조하고 부활을 강조하는 판넨베르크의 신학이 도대체 어떤 문제가 있다는 걸까요? 본 성령론 강좌는 초교파신학(평택대)으로서의 학교 특성에 따라 판넨베르크 신학에 대한 교단적 비판보다 목회학 과정의 신학도들에게 바른 신학 정보 제공으로 앞으로 여러분들의 바른 신앙적, 신학적 판단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 ​ 1.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19.. 더보기
칼 바르트의 성령론(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 성령론 5강, 조덕영 교수) 룬너칼 바르트의 성령론(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 성령론 5강, 조덕영 교수) 칼 바르트와 브룬너(유광웅 교수님 제공) 칼 바르트의 성령론(1886-1968, 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 성령론 강좌 5강) ​ 20세기 가장 중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었던 칼 바르트처럼 한국 신학 안에서 극명하게 평가가 나누어지는 신학자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실존주의, 신정통주의, 변증법적 신학, 위기의 신학, 반자연신학주의자, 신보편구원설 등 그를 지칭하는 신학의 색깔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지요. 국내적으로 바르트 신학은 비판적인 교단(예장 고신, 합동, 합신, 예장 개혁, 예성 등)이 있는 가하면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교단(예장 통합, 기성, 한신 등)의 신학자들로 나누어집니다. 또한 같은 교단 .. 더보기
순교자 저스틴과 터툴리안(기독교 사상가 탐색 4강, 조덕영 교수) 순교자 저스틴과 터툴리안(기독교 사상가 탐색 4강, 조덕영 교수) 조덕영 교수 ※순교자 저스틴(100-165) ​ 1. 순교자 저스틴의 생애 1) 출생= 2세기 초 헬라인 부모에게서 출생 ​ 2) 헬라 철학을 공부하다 스토아철학= 금욕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돈 요구 피타고라스 학파= 음악, 천문학, 기하학 공부 요구 플라톤 철학에 몰두 ​ 3) 철학은 신에 대해 말 해 주지 못함을 알고 철학에 대해 회의를 품다 ​ 4) 에베소 바닷가에서 명상에 잠기다가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한 노인을 만나다 ​ 5) 에베소를 거쳐 160년 경 로마에서 가르치다가 순교 2. 저스틴의 작품 ​ 1) 제 1변증서: 황제에게 제출 된 책. 그리스도인들에 대해 무신론자요 부도덕하다는 오해를 풀기 위해 쓴 책. ​ 2) 제 2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