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틸리히의 신학(성령론, 조덕영 교수)
폴 틸리히의 신학(성령론, 조덕영 교수) 1. 폴 틸리히의 생애 1)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 8.20-1965)는 독일 구벤(Guben) 지방(브란덴브르그)에 있는 작은 공업 도시 슈타르체델에서 태어났다. 2) 부친은, 보수적 성향의 루터교 목사였고 어머니는 개방적 성격의 사람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3) 1904-09년 베를린, 튀빙겐, 할레 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면서 칸트, 피히테, 슐라이에르마허, 헤겔, 쉴링 등을 공부했는데 특히 쉘링이 그의 주된 연구 주제였다. 4) 피히테의 학문과 칸트의 비판 사상에서 만족을 얻지 못하며 쉘링에게서 자기 학문의 길을 찾게 된다. 쉘링은 칸트와 피히테에게서 영향을 받았고 주관과 객관을 통일하려한 통일철학과 절대자를 통한 ..
더보기
칼 바르트의 성령론(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 성령론 5강, 조덕영 교수)
룬너칼 바르트의 성령론(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 성령론 5강, 조덕영 교수) 칼 바르트와 브룬너(유광웅 교수님 제공) 칼 바르트의 성령론(1886-1968, 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 성령론 강좌 5강) 20세기 가장 중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었던 칼 바르트처럼 한국 신학 안에서 극명하게 평가가 나누어지는 신학자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실존주의, 신정통주의, 변증법적 신학, 위기의 신학, 반자연신학주의자, 신보편구원설 등 그를 지칭하는 신학의 색깔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지요. 국내적으로 바르트 신학은 비판적인 교단(예장 고신, 합동, 합신, 예장 개혁, 예성 등)이 있는 가하면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교단(예장 통합, 기성, 한신 등)의 신학자들로 나누어집니다. 또한 같은 교단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