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찰스 다윈은 옳았는가?(강의 자료 6, 조덕영 교수) 진화론 논쟁 진화론 논쟁(강의 자료 6, 조덕영 교수) 1. 찰스 다윈과 다윈주의(Darwinism) 1) 다윈과 다윈주의의 등장 (1) 19세기는 현대신학이 등장한 시기요 다윈이 등장한 시대이기도 하다. 1859년 다윈은 ⌜종의 기원⌟(Origin of Species)을 통해 현재 지구상의 모든 종류들은 자연 도태의 과정을 거쳐 단순한 생명으로부터 고도의 유기체를 만들어왔다고 보았다. (2) 적자생존(適者生存)이라고 부르는 이 자연도태 과정은 생물 중 어느 종이 조건에 더 잘 적응하는 가에 따라 자연적으로 결정되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직접 창조하셨다는 창세기 내용에 배치되는 것이었다. 다윈의 추종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헉슬리(J. Huxley)는 그 대표적인 학자였다. 허.. 더보기 초대 주요 교부(터툴리안, 오리겐, 키프리안)들의 교회론(교회론 강좌) 초대 교부(터툴리안, 오리겐, 키프리안)들의 교회론 Ⅰ. 터툴리안(주후 150 or 160년경-215?220?, 라틴 신학의 아버지) 1. 생애 1) 2세기 중엽 카르타고에서 로마군의 이교도 백부장 아들로 태어남 2) 기독교를 접한 시기: 정확치 않음. 193년, 법학을 배우고 변호인으로 활약. 신앙으로 박해 속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는 기독교인들을 접하다. 아마 이 시기 신앙인이 되었을 가능성. 3) 라틴 신학(북아프리카학파)의 아버지로 불림: 터툴리안은 철학에 비판적인 대단히 신앙적으로 열정적 사람이었음. 4) “예루살렘(헤브라이즘)과 아테네(헬레니즘)가 무슨 상관이 있는가?”(Quid Athenae Hierosolymis?, What has Athens to do with Jerusalem.. 더보기 이레네우스(Irenaeus, 140?-200?)의 교회론 이레네우스(Irenaeus, 140?-200?)의 신학과 교회론 1. 최초 교부로서의 이레네우스 1) 가톨릭 교회 신학의 원조(?) 2) 최초 교부(敎父)이며 사도시대와 속사도(續使徒) 시대 그리고 변증가들의 시대를 마감하고, 4세기 교부들로 이어주는 교차로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교회사적 중요한 의미 3) 2세기 후반부 활동한 교부로 속사도 교부의 신앙을 이은 교회의 인물. 시대적으로 변증가들의 시대와 일치(교회사에서 제1세기를 사도시대, 제2세기 전반을 속사도 교부시대라고 하면, 제2세기 후반은 변증가들의 시대). 4) 이 시대 이레네우스는 변증가들과는 방향을 달리한 활동을 하다. 5) 변증가들이 당대 기독 철학자들로서 대외 사상을 다루었다면 이레네우스는 교회의 정통 신앙을 계승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더보기 교회는 무엇인가(교회론의 역사 1) 교회는 무엇인가(교회론의 역사 1) 조덕영 Ⅲ. 교회론의 역사 성경에 최초 기록된 "교회"의 고장 데살로니가(데살로니키) 풍경 1. 신약성경의 교회라는 헬라어 에클레시아(Εκκλησία)가 최초 나타난 것은 사도 바울과 실라와 디모데 이름으로 데살로니가인들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살전 1:1절)입니다. 이것은 대략 주후 50년 경, 마가복음이 쓰여 지기 15년 전이었습니다. 데살로니키에서 현존 가장 오래된 아기아 소피아 교회 풍경 2. 데살로니가에는 다수의 가정교회(house church)들이 존재했음이 분명합니다(살후 1:1). 3. 바울은 계속해서 “그대의 집에 모이는 교회”(몬 2절), “눔바와 또 그의 집에 모이는 교회”(골 4:15), 예배를 위해 모였던 그리스도인들의 집단을 지칭하는 데 이.. 더보기 <창조의 언약(계약)>이란 무슨 말인가요? 이란 무슨 말인가요? 1. 언약의(계약) 어원 언약(계약, covenant)이란 히브리어 “베리트”(약속, 언약)에서 온 말로 갑, 을 쌍방 간 약속 내지는 계약을 뜻하는 데, 특별히 인간의 구속을 위해 하나님께서 법률적으로 구속력이 있는 책임을 지셨다는 것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헬라어로는 디아데케(Diatheke)가 있습니다. 2. 신학으로서의 언약(계약) 신학 신학에 있어 이 언약이라는 말은 주로 장로교의 언약(계약) 신학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성경과 역사와 신학은 하나님이 인간과 맺은 주요한 언약에 대해 1) 에덴 동산 언약(창 3:15) 2) 노아 언약(창 9:9) 3) 아브라함 언약(창 15:18) 4) 시내 산 언약(출 19:5,6) 5) 레위 지파 언약(민 25: 12,13) 6).. 더보기 교회의 명칭과 의미와 본질(교회론 강좌 2) 교회의 명칭과 의미(교회론 강좌 2) 베를린 잔다르멘마르크트(Gendarmenmarkt) 광장 중앙의 콘체르트하우스를 중심으로 북쪽에 프랑스 위그노 돔, 남쪽에 독일 돔이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1. 교회의 명칭 1) 구약은 교회에 대해 두 가지 단어를 사용합니다. (1) "qahal"(카할): "qal"("to call")에서 유래(Εκκλησία로 번역), 백성들이 실제로 모인 모임. (2) “edhah"(에다): "ya'adh"("to meet or come together at an appointed place"(지정된 장소에 모이다)에서 유래(sunagoge, 70인 역), 즉 약속에 따라 모이는 모임. 2) 신약도 두 개의 단어가 사용됩니다. (1) Εκκλησία(에클레시아): out.. 더보기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인간의 기원, 본질, 영혼 기원론) Ⅰ.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창 1:26-28) 【인간론 1】 1) 사람이란 도대체 어떤 존재일까요? 2) 칼빈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인간을 알 수 없고 인간에 대해 모르면 하나님도 모른다’는 유명한 말로 자신의 책 「기독교강요」를 시작합니다. 성경 최고의 주제인 우리 인간에 대해 본격 살펴봅시다. 1. 인간의 기원/ Origin 1) 하나님이 만드셨다는 창조론과 우연히 진화되었다는 진화론이 있습니다. *Objetions to the Theory of Evolution. ① contrary to the explicit teachings of the Word of God(창 2:7->그의 코에 생기를~~, a living being, 고전 15:39->all flesh is not the sa.. 더보기 기독교 세계관과 창조 (기독교신앙과 현대과학 2 강의안) 기독교신앙과 현대과학 2(기독교 세계관과 창조 강의안) 1. 세계관(世界觀)이란 무엇인가 1) 보기 아프간 강제 납치 사건을 보는 교회와 세상의 시선의 차이! 새만금 간척 사업에 대한 서로 다른 기독교인들의 입장! 북한 미녀 응원단을 어떻게 볼 것인가!(남북의 전혀 다른 시선) 2) 세계관의 유래 World view Weltanschauung(I. Kant) Christian World view("Lectures on Cavinism", 1898, A. Kuyper) 3) 세계관이란 (1) 인식의 틀 또는 문화 생활의 구조를 이루는 중심요소이다. (2) 세계관은 나는 어디에 있는가, 나는 누구인가,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그 치료책은 무엇인가 등의 종교적 질문에 기초해있다. 세계관.. 더보기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