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교회란 무엇인가?(한스 큉Hans Küng, <1928-2021. 4. 6>의 교회론) 한스 큉(Hans Küng)의 교회론(교회론강좌) Ⅰ. 한스 큉은 누구인가 1928년 스위스 루체른주 주르제 출생 교황청 부설 그레고리안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 공부 1954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 서품 1960년 독일 튀빙겐 대학 기초신학 교수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자문위원으로 활동 1963년 튀빙겐 대학 교의신학과 교회일치 신학 담당 1964년 튀빙겐 대학 부설 교회일치신학 연구소 소장 겸임 1979년 로마 가톨릭교회 교사직(missio canonica) 박탈당함 (사유: 교황 무류성 등의 교리들을 비판) 1996년~ 은퇴, 튀빙겐 대 명예교수 활동 ​ 저서 《모짜르트, 음악과 신앙의 만남》 (이레서원: 2007) 《교회란 무엇인가》(분도출판사, 1978) 《가톨릭교회》(을유문화사) .. 더보기
교회의 은혜의 수단(Means of Grace)이란 무엇인가(교회론 강좌) 은혜의 수단(Means of Grace)이란 무엇인가(교회론 강좌) 헝가리 부다페스트 교회의 은혜의 수단(Means of Grace) The term "means of grace" is not found in the Bible, but is nevertheless a proper designation(적절한 명칭) of the means that are indicated in the Bible. 동시에 이 용어는 뚜렷하게 규정할 수 있는 표현은 아님. 보통 신학에서 말하는 것보다 더 포괄적 의미를 갖는다 (At the same time the term is not very definite and may have a far more comprehensive meaning.) -B. Korkhof, 604-.. 더보기
교회의 정치(Government)와 직제 교회 정치(Government)와 직제 독일 뤼벡의 마리엔교회 본당 1. 교회 정치(Church Government) 제도의 여러 형태 ​ (1) 전통적 교회 정치: 전통적으로 교회 정치에는 세 가지 주요한 형태가 있습니다. 즉 감독·장로·회중 정치가 그것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들은 이들 세 가지 형태가 적절히 융합된 형태의 교회들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2) 기타: ①교회정치 배격 분파: 원리상으로 모든 정치를 배격한 퀘이커교도들(Quakers)이 있습니다. 이들 퀘이커교도들은 교회의 모든 외면적 형식과 조직은 기독교 정신에 배치된다고 봅니다. 영국에서 조지 폭스에 의해 시작된 이 신비적 분파는 우리 한국 교회에까지 일부 그 모임이 전파되어 있지요. ② 교회를 정부에 종속시킨 분파: 스위스의 의사요.. 더보기
교회의 기능과 권세(조덕영) 교회의 기능과 권세 1. 교회의 기능 1) 예배 : (1) 교회는 주일을 성수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창조주 하나님을 경배(veneratio Dei)하고 찬양한다. (2) 본질상 회복된 하나님의 백성은 언제나 하나님께 감사하고 찬양하고 경배해야 한다. (3) 즉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인간은 창조와 구속의 주를 감사하고 찬양하며 경배해야 한다(계 4:10-11; 5:8-13). 2) 선교: (1) 복음 증거(praedicatio evangelii)는 교회 출생의 근본 근거이다. (2) 선교학에서는 교회의 전 기능을 선교에 둔다. (3) 만민에게 복음전파를 명령하신 예수님(막 16:15). (4) 즉 교회는 십자가 죄 용서와 부활의 복 되고 기쁜 소식을 쉬지 않고 전파해야 할 사명이 있다. 3) 교육(educa.. 더보기
교회의 존재 형태(교회론 강좌-구분 , 속성, 표지, 하나님 나라) 교회의 존재 형태(교회론 강좌-구분 , 속성, 표지, 하나님 나라) 종교개혁의 나라 독일의 교회들(베를린 카이저 빌헬름) 1. 교회의 여러 가지 존재 형태 1) 전투적 교회와 승리한 교회(Ecclesia militans et triumphans) ​ (1) 전투적 교회(a militant Church)란 땅에서 존재하고 있는 모든 교회는 거룩한 전쟁을 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부르는 말이다(딤후 4:7). ​ (2) 교회는 죄악을 벗은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죄의 뿌리는 남아 옛사람의 역사를 드러낸다. 따라서 교회와 성도는 모든 형태의 악과 흑암의 권세에 대항하여 싸워야 한다. 즉 신자들은 군무(Militia Christiana)에 임하고 있다. ​ (3) 이 같은 죄와의 싸움은 성령의 도우심을 따라 그리스도의.. 더보기
'회심 준비론 찬반' 불꽃 공방 예고(기독교진리수호연구협회, 대표 림헌원 목사) '회심 준비론 찬반' 불꽃 공방 펼친다(기독교진리수호연구협회, 대표 림헌원 목사) 기진협, '회심 준비론 찬반' 불꽃 공방 예정 김효남 VS 정이철, 11월 22일 오후 1시부터 경기 기흥, 한돌교회에서 찬반 발제 후 토론 진행 ​ ■기진협52회,11월세미나‘전면수정’긴급광고 ​ ‘회심준비론’의 대토론 성사! ​ ◈2021.11.22.(월)(13:00~17:00) ​ “기독교진리수호연구협회”의 신학세미나가 현장참여와 온라인 zoom참석과 더불어 진행 (최근 ‘회심준비론’을 이단시비로 문제 삼아 헌의가 올라오는 등 교계가 혼란스럽습니다. 기진협은 지난 10월에 ‘회심준비론’의 찬성론자와 반대론자를 함께 불러 토론을 추진하여 진위를 들어보려는 중 차질이 생겨 무산되었으나, 11월3일 미국에 계신 정이철목사님.. 더보기
요한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교회론(조덕영 교수) 요한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교회론 종교개혁 교회의 중심 인물 파렐, 칼빈, 베자, 녹스 어머니로서의 교회 인간에게는 신을 의식할 수 있는 본능이 있다. 하나님은 모든 인간 속에 신적 위엄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는 마음을 심어놓으셨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 ​ ​ "나는 나의 마음을 오로지 하나님께 제물로 바칩니다" ​칼빈의 신학은 한국교회 가장 큰 교단인 장로교회의 신학 사상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칼빈은 과연 누구이기에 한국기독교교회의 가장 큰 교단인 장로교신학을 형성한 인물이 되었을까요? 여기서는 그 칼빈의 교회론을 살펴봅니다. (좀 더 자세한 칼빈의 신학과 사상은 본 블로그 을 참조하세요> ※칼빈에 대한 간략 연보(일반적 추정) ​1) 1509년 7월 10일, 파리.. 더보기
혈액형의 인간론(성경과 혈액 그리고 신학적 인간론, 인간론 강좌, 조덕영 교수) 혈액형의 인간론(성경과 혈액 그리고 신학적 인간론, 인간론 강좌) ​ 혈액형은 사람의 성격과 기질을 반영하는가? ​ 어릴 적 학교에서 혈액 검사한 추억들이 강렬하게 남아있기 때문일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난히 혈액형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혈액형이 성격과 기질을 반영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주로 일본을 통해 흘러나온 주장이다. 혈액형에 대한 관심은 이렇게 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유별나다. 혈액형이 성격과 기질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넘어 이제는 혈액형 사랑학, 혈액형 인간학 심지어 혈액형 건강학까지 등장하고 있다. 반면에 서양 사람들은 자기 혈액형이 뭔지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궁금해 하지도 않는다. 혈액형과 성격, 기질에 대한 이론은 1920년대 일본 심리학자 후루카와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