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교회론의 역사(초대교부-터툴리안, 오리겐,키프리안, 어거스틴 등-, 토마스 아퀴나스, 동방정교회 등) 초대 교부(터툴리안, 오리겐, 키프리안)들의 교회론 ​ Ⅰ. 터툴리안(주후 150 or 160년경-215?220?, 라틴 신학의 아버지) ​ 1. 생애 ​ 1) 2세기 중엽 카르타고에서 로마군의 이교도 백부장 아들로 태어남 2) 기독교를 접한 시기: 정확치 않음. 193년, 법학을 배우고 변호인으로 활약. 신앙으로 박해 속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는 기독교인들을 접하다. 아마 이 시기 신앙인이 되었을 가능성. 3) 라틴 신학(북아프리카학파)의 아버지로 불림: 터툴리안은 철학에 비판적인 대단히 신앙적으로 열정적 사람이었음. 4) “예루살렘(헤브라이즘)과 아테네(헬레니즘)가 무슨 상관이 있는가?”(Quid Athenae Hierosolymis?, What has Athens to do with Jerusalem.. 더보기
하나님의 성품(신론 3, 절대적, 보편적 성품) 하나님의 성품(절대적 성품=非共有的 屬性,출3:14) (The Character of God: Incommunicable Attributes) ​ How is God different from us?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어떤 성품을 가지셨는지를 배워보도록 합시다. 하나님의 성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 중 한가지로 하나님만이 가지신 고유한 성품이 있는 데, 이것을 하나님의 절대적 속성 또는 절대적 성품이라 합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이런 절대적 성품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명심하십시오! ​ 1. 스스로 계신 하나님(하나님의 독립성 또는 자존성;Indefendence, The Aseity) ​ 1) 하나님은 무엇에 의존해서 계신 분이 아니라 스스로 계십니다 2) 하나님은 그 마음(롬.. 더보기
여호와 주님(신론 2-하나님 지배의 유효성과 보편성, 주권적 권위, 실체, 논증, 본질, 명칭<구약과 신약> 등) 초월의 하나님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유럽의 교회 내부 풍경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신론 2-실체, 논증, 본질, 명칭 등) ​ ※출애굽 3:14에 대한 최근 그리고 전통적 해석 1) 모세 질문에 대한 대답 회피 또는 거절? 내 이름을 묻지 말라.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 일뿐?=> "I am who I am". 2) 적절한 이름이 없으신 하나님(헬무트 틸리케, 1908-85, 함브루크대 총장) 3) 칼 바르트: 하나님의 이름 자체와 여전한 하나님의 숨으심(신비) 4) 하나님은 존재(God is Being)라는 것을 가르치시는 하나님(토마스 아퀴나스) ​ ※여호와에 대한 주도적 이름 1) 여호와(출 6:1-8) 2) 이스라엘 왕으로서의 최초 언약문서(출 20:1-17) 3) 하나님 이름에 대한 모세의 갈망(내.. 더보기
교회론의 역사 1-속사도, 초대 교부들의 교회론(교회론 3) 교회는 무엇인가(교회론의 역사 1) ​ ​ Ⅲ. 교회론의 역사 성경에 최초 기록된 "교회"의 고장 데살로니가(데살로니키) 풍경 ​ 1. 신약성경의 교회라는 헬라어 에클레시아(Εκκλησία)가 최초 나타난 것은 사도 바울과 실라와 디모데 이름으로 데살로니가인들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살전 1:1절)입니다. 이것은 대략 주후 50년 경, 마가복음이 쓰여 지기 15년 전이었습니다. 데살로니키에서 현존 가장 오래된 아기아 소피아 교회 풍경 2. 데살로니가에는 다수의 가정교회(house church)들이 존재했음이 분명합니다(살후 1:1). 3. 바울은 계속해서 “그대의 집에 모이는 교회”(몬 2절), “눔바와 또 그의 집에 모이는 교회”(골 4:15), 예배를 위해 모였던 그리스도인들의 집단을 지칭하는 데 이.. 더보기
신론神論 2-실체, 논증, 본질, 명칭<구약과 신약> 등(조덕영 교수)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신론 2-실체, 논증, 본질, 명칭 등) ​ Ⅰ.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창1:1,출3:14,요17:3,히11:3) ​ 1. 사람이 하나님에 대해 알게되는 지식 1)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本有的 혹은 生得的 지식) (1) 사람은 스스로 감각적, 이성적, 도덕적인 존재이기에 필연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소유하게 된다. (2) 위급할 때나 불치의 병을 앓고 있을 때 혹은 사망의 위험에 직면할 때 사람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하나님’을 찾게 된다. (3) 이것은 인간의 마음 속에 본질적으로 종교심이 있기 때문이다.(행 17:22) 2) 살아가면서 얻게 되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獲得的 혹은 後天的 지식) (1) 이것은 하나님의 일반계시(자연)와 특별계시(성경)로부터 .. 더보기
신론 서론(역사 속 신론과 스콜라주의)과 여호와 주님 신론 서론 Knowing about God? versus Knowing God? 하나님에 대해 아는 것과 하나님을 아는 것 1. 역사 속 이해된 신론 1) 타협과 수용(일반 계시)과 충돌(구속 계시): (1) 탐색: 헬라 철학과 고대 영지주의 환경 속의 성경적 신론 전개 과정 (2) 수용 또는 사용: 존재, 실체, 속성, 우연(우발), 본질, 필연, 지성 등 (3)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문제 (4) 종교개혁사상: 철학적 언어를 구원론에서 제거(성만찬은 물질적인가 아니면 인격적 은혜인가 (5) 구원론과 달리 중세 선배 신학자들의 신론은 과감하게 수정하지 않은(존중한) 종교개혁자들 2. 스콜라주의에 대한 반응 1) 과 철학 중심주의 그리고 전통주의 (1) Sola Scriptura의 고수 (2) 철학적 용어나.. 더보기
교회의 명칭과 의미(교회론 2, 조덕영) 교회의 명칭과 의미(교회론 강좌 2) 독일 프랑스개신교(위그노) 기념교회 베를린 잔다르멘마르크트(Gendarmenmarkt) 광장 중앙의 콘체르트하우스를 중심으로 북쪽에 프랑스 위그노 돔, 남쪽에 독일 돔이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 1. 교회의 명칭 ​ 1) 구약은 교회에 대해 두 가지 단어를 사용합니다. (1) "qahal"(카할): "qal"("to call")에서 유래(Εκκλησία로 번역), 백성들이 실제로 모인 모임. (2) “edhah"(에다): "ya'adh"("to meet or come together at an appointed place"(지정된 장소에 모이다)에서 유래(sunagoge, 70인 역), 즉 약속에 따라 모이는 모임. ​ 기독교회와 상이한 유대 회당(베를린) 2) 신.. 더보기
신학 서론과 신론의 중요성(조덕영) 신학은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신학 서론 강의, 조덕영 교수) “나는 인애를 원하고 제사를 원치 아니하며 번제보다 하나님을 아는 것을 원하노라 (호 6:6)” ※하나님을 아는 것에 대한 증거Evidence of knowing God(J.I. 패커) 1)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향한 위대한 에너지(Those who know great energy for God)가 있다 2)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향한 위대한 생각들(great thoughts of God)이 있다 3)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향한 위대한 담대함(great boldness for God)을 보여준다. 4)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은 하나님 안에서 커다란 만족감(great contentment in God)을 가진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