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진노와 지혜와 지식(하나님에 관한 성경적 진술들, 신론 10강) 하나님에 관한 성경적인 진술들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진노하심의 속성들 하나님의 의로우심도 선하심의 한 형태입니다. 이와 관련된 단어는 히브리어 “체데크”와 헬라어 “디카이오쉬네”가 있습니다. 이 단어들은 성경에서 의로움, 공정, 정의, 입법(righteosness, justice, lawfulness) 등으로 번역 됩니다 심판으로 번역되는 “미쉬파트”는 때때로 정의로 번역되지만 의로움으로는 거의 번역되지 않습니다. 이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해 살펴봅니다. 1) 하나님의 의로움의 기준들 (1) 그 기준은 하나님 자신, 하나님의 인격, 하나님의 본성과 관련 (2) 모세 율법의 최고 원칙은 거룩(레 19:2) (3) 십계명 (4) 율법에 주어진 벌칙(옵 15절, 행한 대로 받음, 탈리오, 부메랑, lextali.. 더보기
중간 상태 논쟁(죽음 이후 상태, 빌 1:23)<종말론 3> 죽음 이후 사람은 어떻게 되는가(중간상태논쟁, 빌 1:23)- 성경과학창조세계관신학 한국복음성가의 아버지, 순교자 유재헌 목사(가족헌정 도서) 죽음 이후는 어떻게 될 것인가(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 논쟁, 빌 1:23) ​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 가하는 문제는 종말론의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문제는 신앙을 떠나서도 인간의 최대 궁금증이기도 합니다. 성경은 죽음과 부활 사이에 분명하게 중간 상태의 기간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문제는 이 기간 동안의 상태에 대해 성경이 구체적으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이 중간 상태에 대해 성경과 기독교 신학은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요? 이 부분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 ​ 1. 인간 생애의 3 단계 ​ 성경은 사람의 생애를 세 단계.. 더보기
하나님의 선하심(신론 9강, 조덕영 교수) 하나님의 선하심 1. 완전함으로서의 선하심 1) 일반적 찬사로서의 선(Good) (1) 어떤 종류의 탁월함 (2) 아름다움, 경제적 가치, 유용함, 능숙함, 도덕적, 호의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 (3) 비도덕적 선(저녁, 노을, 컴퓨터, 빛, 피조 세계(창 1:10, 12, 18, 21, 25) (4) 선함과 존재는 개념에 있어 다르나 실은 동일하다(토마스 아퀴나스) 꾸르마이어(안셀름 고향 아오스타 근처) (5) 우리 마음에 안식할 수 있는 것 중에 하나님보다 더 위대한 존재는 없다(켄터베리의 안셀룸) 2. 플라톤의 대화록 문제 1) 신은 경건한 일(옳은 일)을 하라고 한 걸까 아니면 경건은 고유의 본질이기 때문에 경건을 명령하는 것일까? 2) 선은 우월한 어떤 추상적인 것이 아니다. 3) 선함을 인격적인.. 더보기
현대신학자들의 신론과 삼위일체론(슐라이엘마허, 칼 바르트, 폴 틸리히, 몰트만, 신론 9강) 현대신학(Contemporary theology, Modern Theology)은 18세기 시작된 “사페레 아우데”(sapere aude, dare to be wise)를 내세운 계몽주의 이후 그 영향 속에서 형성된 신학입니다. 이성을 앞세운 계몽주의운동은 성경 계시와 교회 역사 속 형성된 교리나 신조 중심이 아닌 이성과 경험 그리고 철학적 사유와 합리적 과학 등을 동원하면서 신앙과 신학에도 다양한 영향을 주게 된 것이지요. 여기서는 대표적 현대 신학자의 신론과 삼위일체론을 그들의 간략한 생애와 함께 살펴봅니다. ​ Ⅰ. 슐라이에르마허(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1768-1834) 베를린 '젠다르멘마르크트(Gendarmenmarkt)' 광장의 프랑스 위그노 기념.. 더보기
이슬람은 기독교 이단(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 3) 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3) 유해석(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교수) ​ 1. 이슬람은 기독교 이단 ​ 유해석 교수 칼빈은 이슬람을 이단이라고 단정하였다. 이단적 분파 중에서도 어떤 이단적 분파인가? 한 분 하나님을 강조하면서도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부인하고 성령의 하나님 되심을 부인하는 일신론적 이단적 분파이다. 칼빈은 1551년 요한일서에 대한 주석(2:18-23)에서 여러 이단들을 나열한 후에 “...그리고 나머지는 그 뒤에 그리스도에게 반역한 악마왕국의 멤버들로서 터키인(혹은 무슬림들), 그리고 유대인들(유대주의자 같은 이들)은 하나님의 자리에 우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말씀인 신구약 성경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의 자리에 일신론적 우상을 가져다.. 더보기
종말론 2. 영생과 영혼불멸Immortality(요한일서 5장 11,12절)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이란 무엇인가(요 1서 5:11,12)【종말론 2】 성경과학창조세계관 ​ 영생-영혼불멸Immortality(요 1서 5:11,12) 【종말론 2】 또 증거는 이것이니 하나님이 우리에게 영생을 주신 것과 이 생명이 그의 아들 안에 있는 그것이니라 아들이 있는 자에게는 생명이 있고 하나님의 아들이 없는 자에게는 생명이 없느니라 (요한일서 5장 11-12절) 1. 사람들은 생명에 대한 집착이 강합니다. 심지어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서도 집착이 강합니다. 2. 인간의 몸은 죽어 썩을 지라도 영혼은 죽지 않고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 바로 영혼 불멸입니다. 3. 기독교는 영생의 종교입니다. 4. 기독교 신앙이 없는 사람들조차 대다수는 항상 내세에서의 생애를 믿어왔습니다. 미이라가 그.. 더보기
이슬람에 대한 칼빈의 견해(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 2) 이슬람에 대한 존 칼빈의 견해와 한국교회의 적용(2) 유해석(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교수) 유해석 교수 Ⅱ. 이슬람에 대한 칼빈의 견해 ​ 종교개혁자들은 이슬람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남겼다.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종교개혁이 시작된 이듬해인 1518년, 『면죄부의 효력에 관한 논제 해설』(Resolutiones disputationum de indulgentiarum virtute)에서 처음으로 이슬람을 언급한 이래로 이슬람에 대한 많은 자료가 등장했다. 스위스 취리히에서 사역했던 하인리히 불링거(Heinrich Bullinger, 1504-1575)는 1567년, 이슬람에 대하여 16개의 주제를 정리하여 『터키인』(Der Tuergg)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저술하였다... 더보기
하나님의 이름, 이미지, 속성들(신론 7) Ⅰ. 하나님의 이름 ​ 1. 하나님의 이름에 담긴 3 가지 주권 ​ 1) 지배(control) (1) 언약하시는 하나님 (2) 이름을 주시는 하나님 ​ 2) 권위(Authority) (1) 아브람의 이름을 바꾸신 하나님 (2) 모세에게 답하시는 하나님(출 3:14) ​ ​ 3) 임재(Presence) (1) 무소부재하신 하나님 (2) 하나님의 임재가 주는 위로 ​ ​ ​ 2.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의 인격, 성품 그리고 사역 등을 나타냅니다. ​ 1)구약 ​ (1) 하나님(אלוהים엘로힘=영어의 God) 구약에 2000번 이상. 가장 일반적인 복수형 단어. 위엄의 복수형. 엘로힘은 하나님께서 강하시고 권능있는 분이기 때문에 경외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강조. ​ (2) 주(אָדוֹן아도나이=영어의 Lo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