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창조과학운동의 성립(창조와 진화 제 3강) 창조과학운동의 성립(창조와 진화 제 3강) 창조과학의 성립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1. 1929년, 아칸소주 반진화론법 1) 주 안의 공립학교와 대학에서 인간이 다른 종의 생며응로부터 진화하였다는 것을 금지한 법 2) 이 법을 위반한 사람은 해임(기소된 사람은 없었음) 3) 1965년, 에퍼슨(일리노이대 동물학과 석사, 센트럴고등학교 10학년 교사) 아칸소법 제소 4) 1968년 미 대법원 ‘아칸소법은 ’성경저구 기술과 갈등이 있어 보인다는 이유로 특이한 이론을 없애려는 기도‘로 판결. 5) 1963년 테네시주 상원: 반진화론 법안 폐기 2. 창조과학 운동의 등장 1)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창조 신앙과 창조론(Creationism)은 주로 성경의 창.. 더보기
성경의 영감, 무오성, 권위(조직신학 원론 3) Ⅰ. 성경의 영감(靈感;Inspiration)(딤후 3:16-17절, 벧후 1:20-21) ​ 성경은 정말 하나님이 함께 하신 영감된 책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룹니다. 1. 영감의 의미 1) "영감"이란 하나님께서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성경 기자들에게 끼친 초자연적인 감화력을 말한다. 그래서 성령을 성경의 원저자(auctor primarius)라 한다. 2) 하나님의 계시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영감이 필요하다. 영감은 특별 계시인 성경의 정확성을 보증한다. ​ 2. 영감의 요소 ​ 1) 하나님: 계시를 기록함에 있어 성령의 역사를 주관하심 ​ 2) 사람: 영감 받은 사람은 자기의 문체와 성격대로 계시를 기록 ​ 3) 하나님-사람: 오류 없는 하나님의 섭리가 작용 ​ 4) 영감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 5).. 더보기
진화론과 기독교 반응으로서의 미국 스콥스 재판 평가 3. 스콥스 재판이란 무엇인가 (진화론과 그에 대한 기독교의 반응으로서의) 미국 스콥스 재판에 대한 평가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1) 스콥스 재판 이전 미국의 상황 ​ (1) 1923년 오클라호마 주: 교사나 교과서가 진화론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공립학교에 무료 교과서 공급 법안 통과 (2) 플로리다 주: 반진화론 법안 통과 (3) 1925년 테네시 주 의회, 당시 민주당 하원의원이던 존 워싱턴 버틀러 주도로 소위 '버틀러 법안' 통과: "주의 모든 대학과 사범대학 그리고 기타 공립학교의 교사, 교원이 성경이 말하는 인간의 하나님에 의한 창조 이야기를 거부하는 어떤 이론을 가르치는 것과 대신 하등 동물로부터 유래한다고 가르치는 것을 위법으로.. 더보기
과학주의와 인본주의(로서의 진화론) 그리고 이에 따른 기독교의 반응 오스트리아 비엔나 자연사박물관©조덕영 Ⅰ. 과학주의, 세속적 인본주의 ​ 1. 과학주의(scientism) 1) ‘과학주의’는 때로 ‘자연주의’(naturalism)나 ‘과학적 유물론(唯物論)’ 또는 ‘세속적 휴머니즘’(secular humanism) 등으로 불린다. 2) 과학주의는 일종의 충돌 또는 전쟁 모델이다. 과학주의는 어느 한쪽의 완전한 승리를 위한 전쟁을 추구한다. 다른 ‘주의들’과 마찬가지로 과학주의 역시 하나의 이데올로기로서, 과학이 우리가 알 수 있는 모든 지식을 제공한다는 전제 위에 서 있다. 3) 과학주의자들에게 있어 세상에는 오직 한 가지 실재 즉 자연밖에 없으며, 과학은 우리가 자연에 대해 갖는 지식에 대한 독점적인 권한을 지닌다. 4) 이들에게 종교는 초자연적인 것들에 대한 지식.. 더보기
흄과 무어, 윌슨(하버드대 명예교수, <사회생물학:새로운 합성>,1975), <통섭>)의 진화 윤리 논박 데이비드 흄(1711-1776)과 무어(1873-1958)의 진화윤리 논박 ​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 Ⅰ. 영국 경험론 대륙에 데카르트의 합리론(오직 이성주의, 논리적)이 있었다면 영국에는 경험론이 있었다. Ⅱ. 영국 경험론의 계보 1. 베이컨의 귀납적 경험론(창조신학연구소 프랜시스 베이컨 난 참조) ​https://blog.naver.com/davidycho/221769259404 근대 과학과 철학과 과학 혁명의 시조 그리고 경험론의 선구자 프랜시스 베이컨의 학문과 신앙-16C 천재들 시대에 등장하다!(조덕영) 근대 과학, 근대 철학, 과학 혁명의 개척자, 경험주의자 프랜시스 베이컨의 학문과 신앙, 16C 천재들의 시... blog.naver.. 더보기
다윈, 스펜서의 진화 윤리와 창조 윤리 다윈, 스펜서의 진화 윤리와 창조 윤리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 1. 찰스 다윈의 (1871) ​ 1) 인간에게만 볼 수 있는 높은 도덕적 기준은 어디서 왔나? 2) 도덕성의 진화: 다윈은 인간의 사회적 본능과 지적 능력의 개발로 진화가 되었다고 보았다. 3) 과거의 행동과 동기를 되돌아보고 우리와 그들의 동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데, 이는 양심의 개발로 이어진다. 4)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즉, 공리주의적 선(동정적이고 이타적이고 도덕적인 것이 생존 경쟁에서 유리하다 주장) 2. 허버트 스펜서(H. Spencer, 1820-1903) ​ 1) 영국의 철학자, 생물학자, 정치 이론가이자 사회학의 선구자. 2) 사회질서보다 사회변동에 더 관심을.. 더보기
계시(일반계시와 특별계시)와 성경 오스트리아 알프스, 독일 접경지 티롤 지역 풍경 너희는 눈을 높이 들어 누가 이 모든 것을 창조하였나 보라 (사 40:26) 계시와 성경(조직신학원론 2, 조덕영 교수) Ⅰ. 일반계시 1. 계시(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성격 1) 무한하신 하나님은 유한한 인간에게 계시의 방법으로 자신을 알리신다. 2) 하나님은 만드신 세상과 역사와 사람의 양심을 통해 자신을 증거하신다(시 19:1, 롬 1:20). 이것이 일반계시(자연계시)이다. 그러나 일반계시에는 한계가 있다(인류 범죄로 인한 두 가지 결과=롬 1:21-24). 3) 반면 특별계시에는 자연계시에서 불충분한 이 담겨있다. 또한 범죄한 인류를 죄의 세력에서 구출하여 신체와 영혼의 전인격적(지, 정, 의)인 새로운 피조물로의 재창조하시려는데 있다. 4) 즉 .. 더보기
다윈의 진화론과 윌버포스·헉슬리 논쟁<조덕영 교수> 다윈의 진화론과 가톨릭의 진화론 이해 다윈의 진화론과 윌버포스와 헉슬리 논쟁 조덕영 교수 다윈의 진화론 1) 다윈의 비글호 항해(22세 되던 1831년 2월부터 5년 간) 2) 다윈, 1832년 2월 브라질 울창한 숲의 생물체 다양성을 목격하다. 3) 1834년 2월 티엘라 델 푸에고에서 목격한 원시인에게서 인간의 조상이 동물일 것이라는 인상을 받다. 4) 1835년 4월, 안데스를 가로지르는 7천 피트 높이에서 발견한 화석화된 나무숲 목격(격변적 지층) 5) 1835년 9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5주간 체류하며 핀치 새 관찰(핀치 새의 부리와 구조의 점진성과 다양성) 6) 1859년 출간: 비글호의 승선에서 얻은 관찰 자료에 근거하여 직설적인 귀납법적 논리로 종의 기원을 서술. 당시 과학에서 새로 등장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