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인간 진화 논쟁(창조론과 진화론, 9-2) 인간 진화 논쟁(창조론과 진화론)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 프랑크푸르트 자연사박물관 1. 인간 진화 논쟁 1) 네안데르탈(관절 이상), 자바인(조작 의혹) 중간 화석 부재 주장(창조과학 이웅상 교수, 생물학) 2) 인간류의 잠정적 진화 계통: 초기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일부, 아파렌시스(?)-> 호모 하빌리스(20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175만 년 전 동아프리카)->호모 사피엔스(약 25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만 생존) 3) 창조과학의 입장=> 단순히 원숭이이던가 아니면 완전한 인간일 뿐 4) 1912년필트다운인 사건 5) 루시 등장(리처드 리키) 6) 호모 하빌리스(도구를 사용하는 인간) 7) 호모 에렉투스(직립 보행) 8) 네안데르탈.. 더보기
대진화와 중간 화석 논쟁(창조와 진화 강좌 7) 프랑크푸르트 자연사 박물관 대진화와 중간 화석 논쟁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1. 어류에서 양서류, 양서류에서 파충류 논쟁 프랑크푸르트 자연사 박물관 1) 살아있는 화석 실라칸스 논쟁 (1) 실라칸스: 길이 1.5미터, 무게 70kg 나가는 백색 또는 갈색점 박힌 진한 청색 물고기, 경골 어류 중 엽상 지느러미류 (2) 사라아있는화석 실라칸스(전 창조과학회 회장, 명지대 생물학과 이웅상 교수) (3) 경골어류(硬骨魚類) 중 폐어류(肺魚類, 아가미 외에 부레가 호흡 기관으로서 발달)는 필요하면 90%까지 산소를 공기로 취한다 (4) 진화론에서 엽상 지느러미류는 4억 년 전 나타나 7천 만 년 전 완전 멸종 됐다고 알려짐 (5) 1930년 대 실라칸스 .. 더보기
성경적 인간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조직신학원론, 인간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조직신학원론 인간론-인간의 존재) 성경적 인간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기독교 인간론 서론) ©오스트리아 비엔나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 Imago Dei 칼빈 기독교 강요 1(Editor: John T. McNeill) Book 1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Chapter 1 The Knowledge(Cognitio) of God and that of Ourselves Are connected. How They Are Interrelated 1. Without knowledge of self there is no knowledge of God 2. Without knowledge of God there is no knowledge of self -칼빈 기.. 더보기
칼빈은 ‘자연과학’을 어떻게 이해했을까?(고신대 이신열 박사) 칼빈은 ‘자연과학’을 어떻게 이해했을까? 고신대 이신열 박사, 22일 창조론온라인포럼서 발표 제공: 기독일보 장지동 기자(zidgilove@cdaily.co.kr) 이신열 박사가 온라인 줌을 통해 발제를 하고 있다. ©창조론온라인포럼 영상 캡처 이신열 박사(고신대 신학과, 개혁주의학술원장)가 22일 오후 제31회 창조론온라인포럼에서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이 박사는 “칼빈(Jean Calvin, 1509~1564)은 프랑스 느와용 태생으로, 제 2세대 종교개혁자이자 성경 강해자, 설교자였다. 그리고 25년 이상을 제네바에서 목회자로 활동했는데, 자신도 피난민임을 강조하며 피난민 사역을 했다”며 “제니바 아카데미(현 제네바대학)를 1559년 6월에 설립했고, 1564년 5월 만 .. 더보기
진화, 목적론, 종, 종류, 소진화, 대진화, 중간화석(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7-2강) 진화, 목적론, 종, 종류, 소진화, 대진화, 중간화석(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7-2강) 3. 진화, 동어반복, 목적론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프랑크푸르트 자연사박물관 전시물 1) 진화에 대한 관점 차이 창조론 적 관점에서는 진화의 사전적 의미(생명의 단순한 형태로부터 고둥 형태로 점진적으로 발전) 속에서 진화를 비판하는 반면, 진화에 대한 현대 과학적 정의는, 많은 세대에 걸쳐 퍼져 있는 한 집단에서 유전적 변화를 가져오는 과정 또는 유사한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유전자 풀 내의 대립유전자 빈도의 변화와 같은 것으로 본다. 2) 적자생존은 다윈의 이 나오기 전 스펜서가 만들어낸 용어이다. 다윈에게 자연선택보다 적자생존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 더보기
있음직한 괴물(?) 이론과 캄브리아기 폭발 논란(진화론, 개념, 연구 방법 7-1강) 진화론, 개념, 연구 방법 바람직한(있음직한) 괴물(?) 이론과 캄브리아기 폭발 논란(진화론, 개념, 연구 방법 1)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오스트리아 빈 자연사박물관 전시물 1. 바람직한(있음직한) 괴물(?) 이론 1) 점진적 진화가 아닌 도약 진화론 2) 1940년, 버클리대의 리하르트 베네딕트 골드슈미트(R. B. Goldschmidt) 교수가 (The Material Basis of Evolution)에서 주장한 이론을 엘드리지와 굴드가 다시 제안한 이론 3) 골드슈미트 주장의 핵심: (1) “한 종에서 다른 종으로 변화하는 것은 점점 더 부가적이며 미세한 변화들을 포함하는 과정이 아니라 주요한 형태나 반응 시스템이 새로운 것으로 완전히 변.. 더보기
창조와 진화-진화론의 논리, 개념, 연구사, 방법(6-3강) 진화론의 논리, 개념, 연구 방법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오스트리아 빈 자연사박물관 1. 다윈론 ​ 1) 용불용설, 돌연변이설, 단속평형설(중단평형이론)로 진화론 비판(이웅상 박사) 2) 다윈 진화론의 큰 틀 5 가지 (1) 생물 포함 세계의 끊임없는 변화 (2) 모든 생명체는 공통 조상에서 기원 (3) 생명의 엄청난 다양성 (4) 진화적 변화의 점진적 집단 변화 (5) 유전자 변이에 의한 소수 개체의 자연 선택적 적응 능력 ​ 2. 현대종합 이론 ​ 1) 라마르크(174-1829)의 획득형질 유전 주장 2) 바이스만(1833-1914)의 신다윈론: 획득형질의 유전 제거 3) 멘델(1822-1884)의 유전법칙 4) 드 브리스(1848-1935)의.. 더보기
창조론, 노아 홍수 논쟁들(격변, 노아의 방주-6강) 창조론 노아 홍수 증거들(격변, 노아의 방주) 교재: 강건일 박사(창조론과 진화론 이해)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 1. 격변의 증거 1) 창조과학은 퇴적암 지층과 그 안의 화석을 주로 노아 홍수의 결과로 본다. 2) 격변론적 퇴적암과 화석에 대한 주장: 주로 구약신학자 위트콤과 ICR 회장이었던 헨리 모리스 공저의 와 부회장을 역임한 생화학자 듀안 기쉬의 로부터 기인한다. 3) 세인트 헬렌 산 폭발(1980년)의 격변론적 증거(스티브 오스틴 박사) 4) 그랜드 캐년에 대한 현대 지질학(모두 고생대로 주장)과 창조과학(동일과정설로 설명할 수 없는 격변의 증거들 주장-고생대지층인 레드윌 석회암에서 나온 선명한 오징어 화석)) 사이의 상반된 주장 로널드 와이어트가 방주 잔해라 주장하는 주디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