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인간에게 왜 구원이 필요한가?(3)[구원론] [구원론] 구원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3) ​ 2. 그렇다면 인간에게 왜 구원이 필요한 것입니까? ​ 최더함 박사 앞에서 우리는 인간은 죄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고 모든 하나님의 형성이 흔적만 남은 채 완전히 망가졌으며 사망선고를 받은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증언하였습니다. 이것에 대해 성경은 매우 다양하게 설명합니다. ​ 1) 성경은 세상의 모든 인간이 하나도 남김없이 죄에 굴복했다고 말합니다. 그 결과 모든 인간은 도덕적인 타락과 하나님으로부터의 소외, 영생의 상실, 그리고 영원한 형벌을 당하게 되었다고 증언합니다. ​ “하나님이 하늘에서 인생을 굽어살피사 지각이 있는 자와 하나님을 찾는 자가 있는가 보려 하신즉, 각각 물러가 함께 더러운 자가 되고 선을 행하는 자가 한 사람도 없도다”.. 더보기
교회론(Ecclesiology) 강좌 1(어원, 위치, 중요성, 개신교와 가톨릭 교회-조덕영 교수) 교회론(Ecclesiology, 교회론 강좌 1) extra ecclesiam nulla salus -카르타고 주교 Cyprian, AD.약 200-58) ​ A. 교회론을 다루면서 ​​ 1. 교회, 기독교의 근본적 실재 ​ 1) 교회(交會, 敎會)는 하나님의 계시의 일부(part of God's revelation)로 기독교신앙의 가장 근본적인 실재 가운데 하나입니다. 2) 이 교회는 "지옥 문에 대항해서"(against the gates of hell) 교회의 신성한 성격,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 그리고 교회의 부르심에 따르는 '성령'의 능력을 알아야 합니다(, E. P. Clowney). 3) 즉 교회는 사람들에게 십자가의 복음을 전하도록 주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은 자'('Seeker-sent').. 더보기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 그리스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김대운 목사>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 그리스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그리스도에 대한 바른 이해는 교회의 충만으로 이어져 “그는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니.” (골1:15) 김대운 목사(수원경성교회, 예장 합동) 바울은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형상과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소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문자적으로 그대로 이해하면 예수님의 신성이 부인되는 심각한 신학적 문제가 발생한다. 실지로 여호와의 증인들은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라는 표현을 통하여 성자의 신성을 부인한다. 그들은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셨다.”는 표현을 모든 창조물 중에 가장 먼저 나신 이로 해석하였다. 마치 한 가족의 첫째 아이가 앞으로 그 가족을.. 더보기
세례요한교의 세례(영지주의적 만다야교,Mandaeism) 세례요한교의 세례 신약성경 사도행전에는 에베소에 있는 열두 명 가량의 '제자들'이 등장한다(행 19:1,7). 바울이 이들과 대화를 했다. "여러분은 믿을 때에 성령을 받았습니까?" 하고 물었다. "우리는 성령이 있다는 말을 들어보지도 못하였습니다"고 답했다. "여러분은 무슨 세례를 받았습니까?" 하고 묻자 "요한의 세례를 받았습니다"고 했다. 바울은 이 '제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했다. 그리고 세례 요한이 한 말을 일러주었다. 요한은 "내 뒤에 오시는 이를 믿으라고 하면서 회개의 세례를 주었습니다"고 말했다. 세례 요한이 가리키는 분은 예수이며, 그 분이 그리스도시라고 했다. 그러자 그 '제자들'은 복음을 받아들이고 예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사도 바울이 안수를 하자 오순절날 예루살렘에.. 더보기
몬타누스, 펠라기우스, 세르베투스에 대한 관용, 최덕성 박사의 "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 정신"<글: 고경태 박사> 몬타누스, 펠라기우스, 세르베투스에 대한 관용, 최덕성 박사의 "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 정신" 웨스리, 터툴리안, 최덕성 박사의 "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 정신"에서..​ ​ 최덕성 박사는 2016년 “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정신”(조직신학연구 24호)을 발표했다. 최덕성 박사가 제시한 논문 중 몬타누스의 부분을 발췌하여 정리하면서 필자의 의견을 첨언했다. ​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2)의 이단 관용정신(catholic spirit, generosity)은 독일의 급진적 경건주의(radical pietists) 교회사가인 고트프리드 아놀드(Gottfried Arnold, 1666-1714)의 이단 해석과 일치한다. 웨슬리는 몬타누스, 펠라기우스, 세르베투스를 이단자가 아니라고 주장했.. 더보기
하나님의 말씀(은혜의 수단으로서의 말씀, 교회론 강좌) 하나님의 말씀, 성례(교회론 강좌) 1. 하나님의 말씀 ​ 1) 로마 가톨릭은 하나님의 말씀을 은혜의 수단으로 인정하는 일이 거의 없음 2) 두 가지 중요한 수단,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딤전 4:5) 3) 성경은 신학 인식의 기초일 뿐 아니라 교회 확장과 성도들의 교화 및 양육을 위한 성령께서 사용하시는 수단. 4) 하지만 성경은 해석되어야 하는 책! 그래서 신학이 "반드시" 필요! ​ ​ 2. 말씀과 성령의 관계(말씀의 유효한 작용과 성령 사역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 1) Judaism, Pelagian, Semi-Pelagian, Arminian (1) 말씀을 통해 역사하는 성령의 작용을 믿지 않는다. (2) 오히려 지적, 도덕적, 심미적 영향이라는 시각에서 말씀의 효과를 말 할 뿐이다.. 더보기
인간의 고통과 세상과 환경(인간론 세미나) 인간의 고통과 세상과 환경(인간론 세미나) 인간 고통과 세상과 환경 ​ 1. 고통의 정의 1) 아픔/pain/ 육체적 2) 괴로움/suffering/ 정신적 3) 고통/ ​ 2. 원초적 경험으로서의 고통 1) 나는 아파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2) 고통 문제에 있어 진화론의 문제점 진화론이 맞다면 희망없는 경우 고통은 그치도록 진화되는 것이 좋았을 것이다. 3) 고통과 죽음 수많은 고통 뒤에는 언제나 공통적으로 죽음이 도사리고 있다. 그러므로 고통의 체험과 죽음은 불가분리적이다(김형효) 4) 부정의 근원으로서의 고통 5) 악의 기준으로서의 고통 ​ 3. 주관적 경험으로서의 고통 1) 사적인 고통 2) 지향적이 될 수 없는 고통 3) 나를 의식하게 하는 고통 4) 공개적이 되려는 사적인 고통 ​ 4. .. 더보기
"회심준비론과 능동순종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의 관계", "유대묵시문학에 대한 성경해석"(기진협 12월 세미나) "회심준비론과 능동순종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의 관계", "유대묵시문학에 대한 성경해석"(기진협 12월 세미나) 림헌원 목사(기진협 대표) ■"회심준비론" 찬.반토론이후, "회심준비론"에 대해 좀더 심화된 세미나를 위해 찬성론자측과 12월 세미나를 약속하고 광고까지 내보냈으나, "회심준비"교리 찬성론자측이 찬.반토론에서 할 얘기는 다했으니 추가로 강의를 더 하기에는 괜히 부담스럽다며 거부해 "회심준비론" 세미나가 무산되어 아래와 같은 보다 더 귀한 세미나를 하나님께서 허락해 주셔서 아주 탁월하고 유능한 교수님들을 모시게 되어 감사를 드립니다. ​ ~~~*^*~~~ ●12.20(월)기진협세미나 ~~~^*^~~~ 1."유대묵시문학에 대한 성경해석"(중간기와 탈무드) 강사:정규철교수(조직신학박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