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교회는 어떤 곳인가요(교회론,Ecclesiology, 강좌 1) 교회는 어떤 곳인가요(교회론,Ecclesiology, 강좌 1) 교회론(Ecclesiology, 교회론 강좌 1) extra ecclesiam nulla salus -카르타고 주교 Cyprian, AD.약 200-58) ​ A. 교회론을 다루면서 ​ ​ 1. 교회, 기독교의 근본적 실재 1) 교회(交會, 敎會)는 하나님의 계시의 일부(part of God's revelation)로 기독교신앙의 가장 근본적인 실재 가운데 하나입니다. 2) 이 교회는 "지옥 문에 대항해서"(against the gates of hell) 교회의 신성한 성격,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 그리고 교회의 부르심에 따르는 '성령'의 능력을 알아야 합니다(, E. P. Clowney). 3) 즉 교회는 사람들에게 십자가의 복음을 전하.. 더보기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요(기독교 인간론 서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요(기독교 인간론 서론) ©오스트리아 비엔나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 Imago Dei 칼빈 기독교 강요 1(Editor: John T. McNeill) Book 1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Chapter 1 The Knowledge(Cognitio) of God and that of Ourselves Are connected. How They Are Interrelated 1. Without knowledge of self there is no knowledge of God 2. Without knowledge of God there is no knowledge of self -칼빈 기독교 강요 1(Editor: John T. McNeill)- 칼빈 ​.. 더보기
성령의 열매와 선교(성령론 강좌, 조덕영) 성령의 열매와 선교(성령론 강좌, 조덕영) 7. 성령의 열매 1. 성령의 열매에 대해 1) 성령을 받으면 (1) 삶의 변화와 (2) 은사가 따르며 (3) 성령의 열매를 맺게 됩니다. 2) 성령의 열매는 성도의 사람됨에 따라 맺어지는 것으로 갈 5:19-23에 나타나 있습니다. 3) 그런데 갈라디아서의 성령의 열매καρπός του Πνεύματος는 복수 열매들(καρποί)이 아닌 단수(καρπός)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성령의 열매는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성령 사역 아래 통일성을 가집니다. 즉 성령의 8 가지 열매는 사랑과 관련한 열매를 다양하게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평택대 설립자 아더 T. 피어선 박사는 이 부분에 대해 아주 의미심장한 말을 합니다. “희락은 몹.. 더보기
박찬호 교수의 “워필드 창조론 재고”에 대해(논평: 조덕영 박사) 논평: 박찬호 교수의 “워필드 창조론 재고”에 대해 조덕영(창조신학연구소, 평택대) 1. 본 논문의 중요성 자연과학은 자연철학(physica)으로부터 비롯된 헬라 철학에 기반을 둔다. 헬라 고대 철학이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자연과학은 칼 포퍼가 말하듯 늘 반증(反證)의 가능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등 그 자연철학 선구자들의 출발이 일종의 소박한 “기원론”이라는 점에서 그 모호함과 “반증” 가능성은 더욱 증폭되어 왔다. 기독교 창조론은 이 기원론의 모호함 속에서 성경 창조 계시의 초월성과 무오성을 변증해야 하는 당위성을 가진다. 철학을 전공하여 과학철학에도 조예가 깊은 조직신학자 박찬호 교수는 이 같은 난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탁월한 기독 신학자들의 창조론을 추적하는 .. 더보기
칼빈의생애와 사상(John Calvin, 1509~1564) 기독교사상가로서의 칼빈(기독교사상가 탐색, 조덕영) 요한 칼빈의 생애와 사상(John Calvin, 1509~1564) 기독교 사상가 탐색 후반부 강좌 인간에게는 신을 의식할 수 있는 본능이 있다. 하나님은 모든 인간 속에 신적 위엄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는 마음을 심어놓으셨다. ​ "나는 나의 마음을 오로지 하나님께 제물로 바친다" ​ 하나님을 아는 지식! ​ ​ ※칼빈에 대한 간략 연보(일반적 추정임) ​ 1) 1509년 7월 10일, 파리 동북쪽 노와용(Noyon)에서 출생 아버지 제라드는 공장직공과 벳사람에서 노력으로 시 등기관리인과 주교관 행정직 그리고 대성당 소송대리인(일종의 오늘날 변호사 역할)까지 한 사람 칼빈은 12세 때 교직자가 되기를 원하는 아버지 뜻에 따라 교회 신부 보조하는 목.. 더보기
성령 받은 결과(ft. 성령의 내주와 충만, 성령론 강좌, 조덕영 교수) 성령 받은 결과(ft. 성령의 내주와 충만, 성령론 강좌, 조덕영 교수)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의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좇아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딛 3:5). 1, 성령론의 큰 과제 1) 성령론의 난제: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주 삼위일체를 온전히 파악하는 일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성령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성령론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는 성령으로 거듭나는 일(“중생”의 씻음)과 성령 세례가 같은지 다른지와 성령 충만이 바로 성령 세례인지, 아니면 그 결과인지를 정리하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성령 받은 결과 일어나는 변화: 분명한 것은 사람이 성령 받으면 어떤 변화가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3) 오순절 성령강림의 의미: (1.. 더보기
성령과 예수 그리스도(성령론 강좌, 조덕영 교수) 성령과 예수 그리스도(성령론 강좌, 조덕영 교수) 성령과 그리스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성령론을 다루며 몇 가지 지금까지 검토한 것들을 다시 한 번 정리 합니다. ​ ​ 1. ‘루아흐’(ruach)의 미스터리 1) '하나님의 영‘(성령) 구약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어인 하나님의 영(신, 창 1:2, 히 “루아흐 엘로힘”רוּחַ,אֱלֹהִים , Rûach Elohim)의 교리는 오직 성경에만 나타나는 교리이다. 즉 이 같은 용어는 헬라적 요소가 전혀 없으며 비이교적(非異敎的)이다. 2) 성경 속 ‘루아흐’의 빈도 이 단어(Spirit, 헬라어 프뉴마)는 사본에 따라 히브리어로 378~389회 나오고 아람어로는 다니엘서에만 11회 나온다. 모세 5경에는 38번 나오고 있다. 영혼(Soul, נ.. 더보기
현대 기독교사상가(신학자) 탐색(칸트, 헤겔, 슐라이엘 마허, 리츨, 헤르만, 칼 바르트, 브룬너, 불트만, 폴 틸리히, 판넨베르크, 몰트만 등) 칸트, 헤겔, 슐라이엘 마허, 리츨, 하르낙, 헤르만, 칼 바르트, 브룬너, 불트만, 판넨베르크 , 몰트만 등(현대 신학자들, 기독교 사상가 탐색 후반부) 강의안(조덕영 교수) 현대의 세계관 -여기서는 현대신학을 태동케 만든 유럽의 상황(우리가 배운 르네상스, 기계적 세계관, 계몽주의)를 배경으로 주요 인물들을 간략하게 살펴봅니다. ​ ​ Ⅰ. 임마누엘 칸트- 도덕적 경험 속에 내재하시는 하나님 1) 생애 *1724, 독일 쾨니히스베르그에서 경건한 청교도 가정 출생 *쾨니히스베르그 대학에서 수학, 자연과학, 신학, 철학 수학 *1775, 대학 강사 *1781, 순수이성비판 *1790, 판단력 비판 *1793, 종교론 *1796, 대학 은퇴 *1804, 세상을 뜨다. 평생 독신 2) 칸트 사상 * 종교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