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구약의 성령론("하나님의 신", 성령론 4강, 조덕영 교수) 구약 성경의 성령론(성령론 4강, 조덕영 교수) 1. 구약의 성령론 서론 1) 하나님의 신(영, “루아흐” רוּחַ) ​ ​ 구약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어인 하나님의 신(영, 창 1:2, 히 “루아흐 엘로힘”רוּחַ,אֱלֹהִים , Rûach Elohim)의 교리는 오직 성경에만 나타나는 교리이다. 즉 이 같은 용어는 헬라적 요소가 전혀 없으며 비이교적(非異敎的)이다. ​ 2) 이 단어(Spirit, 헬라어 프뉴마)는 사본에 따라 히브리어로 378~389회 나오고 아람어로는 다니엘서에만 11회 나온다. 영혼(Soul, נֶפֶש, [nephesh], 헬라어 프쉬케)이 755회 나오는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Gustav Friedrich Oehler 3) 19-20세기 초에는 .. 더보기
소시(소키)니안들은 누구인가요?(Socinus & Socinianism에 대해) 소시(소키)니안들은 누구인가요?(Socinus & Socinianism에 대해) 소시누스가 활약한 폴란드 풍경(사진은 내용과 무관함, by E. S. Cho) Q> 신학 논쟁에 자주 등장하는 소시(소키)니안들은 누구인가요? ​ ​ A.) ​ 1)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등장한 이탈리아 출신 두 명의 평신도 독학 신학자 소시니(Sozzini Lelio1525-1562/조카 Sozzini Fausto, 1539-1604)를 따르는 기독교 일파를 말합니다. ​ 2) 신학을 배우지 않았으나 (Confession of Faith, 1555)을 남긴 렐리오 소시니는 학식과 흡인력있는 매력으로 많은 나라를 두루다니며 주변에 추종자들을 얻었지만 30대 후반에 사망. 조카 소시니는 이탈리아 명문 출신으로 어려서 고아가 .. 더보기
속사도 교부들과 교부들(기독교 사상가 탐색 3) 속사도 교부들과 교부들(기독교 사상가 탐색 3) 초기 유럽(헬라) 선교의 전초 기지였던 데살로니키에서 현재 가장 오래된 아기아 소피아 교회 나는 86년 동안 그리스도의 종이었다 그는 언제나 나를 선하게 대하신 분이다 나를 구원하신 나의 왕을 내가 어떻게 욕 할 수 있는가? -------- "오 축복 받은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여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해 당신을 알게 됩니다. 당신은 천사와 권세와 모든 창조 그리고 당신의 현존 가운데 사는 모든 의인의 가족의 하나님이십니다. -중략- 나를 순교와 부활의 반열에 참여케 해주신 당신을 찬송합니다." ​ 속사도교부들과 교부들 속사도 교부 중 한명이었던 폴리갑 기념상(성 폴리갑 기념교회 내부의 순교자 서머나교회 감독 폴리갑 상) ​A. 속사도들(Apostoli.. 더보기
종교 개혁 시대의 성령론(성령론 제 3강, 조덕영) 종교 개혁 시대의 성령론(성령론 제 3강)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1. 종교 개혁(1517) 1) 종교개혁자들은 성령의 인격뿐 아니라 사역에도 주의를 환기시킨다. 2) 종교개혁은 특별히 성령의 중생의 역사를 많이 언급한다. 3) 칼빈은 성령의 내적 증언으로서의 조명(照明)을 강조한다. 그리고 filioque도 인정하고 있다. 2. 마르틴 루터(1484-1546)의 성령론 1) 사랑과 율법의 완성으로서의 성령의 임재 루터는 (1516)에서 어거스틴의 를 인용하여 “생명을 주시는 성령이 계시지 않는 한 문자는 죽이는 것”이라 했다. 즉 사람을 바르게 살게 하는 십계명의 가르침은 오히려 살인하는 문자이다. 즉 성령의 임재가 사랑과 율법을 완성한다. 2) 성령과 인간 기독론에서의 를 인간에게도 적용(참조 롬 7.. 더보기
기독교 사상의 배경(기독교 사상가 제 2강, 조덕영) 기독교 사상가 강좌(2강, 배경Historical Background, 조덕영 교수) 기독교 사상의 배경(제 2강) “역사는 스스로 되풀이 한다” (“What has been will be again”) (전 1:9) ​ 기독교 사상의 배경-기독교 사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 탐구- (제 2강) ​ -기독교 사상가들이 초대 교회 속에서 나타난 그 사상적 배경은 무엇인가( 3 가지 요소)- (조덕영 교수, 조직신학, Th.D.) Ⅰ. 서론 오순절 성령 강림(행 2장)이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기독교가 시작되면서 초대교회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고, 어떤 위기가 있었으며, 어떤 도전 속에서 기독교 사상가들이 나타나게 되었을까? 그 배경을 간단하게 살펴봅니다. ​ Ⅱ. 기독교 사상가들의 등장 이전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가.. 더보기
초대교회는 영지주의를 어떻게 보았는가?(오리겐을 중심으로) 초대교회는 영지주의를 어떻게 보았는가? [조덕영 칼럼] 오리겐이 본 영지주의 ▲조덕영 박사 영지주의의 토양 알렉산드리아 영지주의는 초대교회 이후 교회를 위협해온 이단적 신학이다. 비록 성경에 노골적인 영지주의나 영지주의자라는 말이 등장하고 있지는 않으나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과 바울은 영지주의를 분명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한동안 영지주의의 주장에 대한 초대교회의 원사료는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 교회가 원자료 없이 이레니우스(약 125-약 202), 터툴리안 등이 비판한 영지주의에 대한 내용을 주로 참고해 온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초의 조직신학자라고 알려지고 있는 이레니우스가 약 180-189년 사이에 썼다고 알려져 있는 의 본래 이름도 이었다. 그런 가운데 1945년 12월 이집트 중부 룩소르.. 더보기
하나님은 완전하신 데, 악은 어디서 왔는가?-오리겐의 창조론 악은 어디서 왔는가?-오리겐의 창조론 “확실한 것은 악이 선의 결핍이라는 점이다” ▲조덕영 박사 악의 문제에 접근한 최초 신학자 세상에 다양한 악이 존재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세상과 인간은 역사 속에서 늘 끔찍한 시련과 고통 가운데 악을 경험하여 왔다. 세상과 인간의 역사는 도덕적, 자연적, 사회적 악 속에 몸부림을 치며 문화와 문명을 만들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모순으로 보이는 선하신 하나님과 악의 공존 문제는 신정론(神正論)의 끝없는 논쟁거리이다. 만물의 창조주 하나님이 완전하신 존재라면 과연 악은 어디서 왔단 말인가? 오리겐은 신학자로서 악의 문제를 가장 먼저 본격적으로 접근한 기독교 신학자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이 악의 창시자(auctor peccati)일 수.. 더보기
인간은 어떻게 창조되었는가?(초대 교회 오리겐의 인간창조론) 인간은 어떻게 창조되었는가? 오리겐의 인간 창조론 ▲조덕영 박사 신학적 인간 탐구의 출발, "하나님의 형상(Imago Dei)"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가 활발해졌다. 하지만 과학의 환원적 인간 연구에는 장족의 발전이 있었음에도 여전히 인간의 본성과 본질에 대한 탐구는 오리무중이다. 이 같은 딜레마가 생겨나는 이유에 대해 신학은 인간의 본질적 기원에 대한 신학과 세상의 다른 전제에서 찾는다. 즉 창조와 우연 사이의 전혀 다른 전제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초대 신학자 오리겐이 "인간은 성경을 통해서만 확실하게 인식될 수 있다"고 여긴 것도 바로 그런 이유였다. 종교 개혁자들은 이 같은 입장에 대부분 동의한다. 신학적 인간 탐구는 오직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서의 인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