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칼빈은 자연 과학을 어떻게 보았나?<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자연 과학에 대한 칼빈의 이해 적응(accommodation)의 방법 칼빈이 살던 16세기는 과학이 본격적으로 꿈틀대던 시대였다. 무엇보다 코페르니쿠스 사후, 오시안더에 의해 그가 은밀히 주장하던 지동설이 알려져지면서 유럽을 뒤흔들던 시기였다. 하나님의 사람 칼빈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반응했을까? 자연과학 시대를 앞두고 칼빈의 성경 해석방법론은 무엇이었을까? 이것은 기독교 역사에 있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학 해석에 대한 칼빈의 신학방법론 과학의 영역 해석에 대한 칼빈의 방법론은 무엇이었을까? 알리스터 맥그라스는 과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3 가지 칼빈의 공헌이 있다고 하였다. 첫째, 칼빈은 자연에 대한 과학연구에 대해 긍정적 활력을 불어넣은 인물이다. 둘째, 칼빈은 과학 연구의 장애물을 제거.. 더보기 복음주의는 과학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복음주의는 과학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조덕영 박사. 복음주의 어원 복음주의의 어원은 종교 개혁 시대로 올라간다. 복음주의는 독일에서 루터 교인들과 개혁주의자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던 개념이었다. 처음 반개혁주의자들은 개혁주의자들을 루터파 교도(Lutheraner) 또는 마틴파 교도(Martianer)라 불렀으나 1521년 루터는 복음주의자(Evangelisch)라고 고쳐 불렀다. 미국 복음주의 기관지 『오늘의 기독교』(Christianity Today)는 1979년 북미 인구의 20%가 복음주의자들이라고 주장하고 또 조지 갤럽은 30%라고 했다. 침례교 신학자 버나드 램(Bernard Ramm)은 이런 복음주의 안의 갈등을 상세히 잘 서술한 학자다. 그 갈등 가운데는 성경과 과학에 대한 견해차가 포함되어.. 더보기 자연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이 있는가?<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자연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이 있는가? 예수 계시 속의 '베스티기움 트리니타티스'('삼위일체 흔적', Vestigium Trinitatis) 인간은 육체를 가진 피조물이다. 육체라는 제한적 조건 속에서 인간은 초월적 계시를 통해 하나님을 의식할 뿐이다. 계시가 아니라면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인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데 그 인식이란 주로 유비(analogia)를 통해 전해진다. 초월의 하나님이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라면 그 흔적이 피조세계 속에 구현되었을 것이라고 유추하는 것은 자연스럽다(롬 1:20). 토마스 아퀴나스도 창조주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의 원인이기에 그 결과로서 창조 질서 속에는 근본적으로 "하나님과의 유사성"(similitudo)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성육신하신 예수께서도 자.. 더보기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조덕영의 창조신학> [조덕영 칼럼]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 ▲조덕영 박사. 자연 계시에 나타난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 섭리(攝理)는 하나님이 세상을 다스리고 보존하는 방식을 말한다. 성육신과 함께 세상의 제한 속으로 들어오신 예수께서는 섭리의 계시 속에서 구원의 은총으로 나아가기 위한 생애를 사셨다. 즉 하나님 섭리의 영역도 하나님의 창조 세상의 영역에서 구현된다는 면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계시를 전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섭리는 하나님께서 결코 세상을 무심하게 방치해 놓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즉 하나님과 세상을 동일시하는 범신론(汎神論)이나 하나님의 섭리를 부정하는 이신론(理神論)적 접근은 성경적이지 않다. 또한 우연이나 운명론적인 접근도 섭리의 영역이라 볼 수가 없다. 세상은 하나님의 전지전.. 더보기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예수의 심판 계시와 종말 계시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예수의 심판 계시와 종말 계시 ▲조덕영 박사. 자연 계시 속 예수의 심판주 하나님 계시와 종말 계시 복음서 저자들은 심판의 복음을 자연스럽게 종말의 복음으로 연결시킨다. 예수는 이 복음서 안에서 자연스럽게 심판을 종말의 복음에 연결시킨다. 예수는 심판주 하나님으로서 종말적 계시에 대해 (1) 회개 (2) 죽음 (3) 영혼 (4) 천국 비유 (5) 부활 (6) 재림 (7) 최후 심판의 문제들을 다룬다. 1) 회개 복음서에서 임박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고 먼저 회개를 외친 사람은 세례 요한이었다(마 3:2). 선지자와 세례 요한을 따라 예수는 "회개하라"(마 17) 천국이 가까웠다고 했다. 회개는 단순한 후회가 아닌 충분하고 완전히 돌아서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야 바른 열매가.. 더보기 심판주 하나님으로서의 예수의 계시 예수의 심판주 하나님 계시 ▲조덕영 박사. 죄와 심판 계시의 역설 구속 계시의 선행 계시로서 심판주 하나님은 주로 죄와 종말에 관한 예수의 계시 가운데 나타난다. 영원한 빛과 영원한 세상으로 가기 위해서는 죄의 어두움과 두려움과 영원하지 못한 생명과 유한한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부터 올 수밖에 없다. 이것은 영원한 구원으로 가기 위한 역설적 은혜이다. 죄가 더한 곳에 은혜는 더욱 넘친다(롬 5:20). 어거스틴이 말한 '죄가 복되다' 할 수 있는 역설적 '펠릭스 쿨파'(felix culpa)의 고백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 인간은 죄와 종말이라는 어두움 속에서 오히려 빛을 소망한다. 이것은 모두 자연 계시 안에 있는 소망인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일반 계시의 영역은 비로소 특별 계시 속 구속의 언약으.. 더보기 창조주 하나님으로서의 예수의 자연계시 예수의 자연 계시로서의 창조주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관한 내용들을 다루는 기독론은 늘 기독교 조직신학의 중심부를 이루어왔다. 그것은 기독교 구속신학이 그리스도를 제외하고는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도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의 문제는 기독론의 핵심을 이룬다. 먼저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에서 그 신성을 찾는다. 그 명칭은 주로 복음서 기자들이 소개한 것들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하나님'(God, 요 1:1; 20:28),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 마 16:16; 26:61-64; 요 10:36), '주'(Lord, 마 22:43-45)라는 명칭이 바로 그렇다. 이 명칭은 요한계시록에서 '만왕의 왕,' '만주의 주'(King of Kings .. 더보기 카발라 창조론의 주요 저작들과 개념들 <유대교 랍비들의 카발라 사상이란 무엇인가?, 2> 유대교 랍비들의 카발라 사상이란 무엇인가?(2) 카발라 창조론의 주요 저작들과 개념들 카발리스트들의 저작은 대단히 방대하다. 그 중 창조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4권의 중요한 저작들이 있다. 첫째 라찌엘 하말락(Raziel hamalach): 아담 하리숀(Adam Harishon)에 의해 1701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첫판이 나온 책이다. 라찌엘은 천사의 이름이다. 유명한 토라 주석가인 랍비 아브라함 이븐 에스라(Rabbi Avraham ibn Ezra)는 셰모스(Shemos; Exodus) 주석에서 72 가지 신적 이름과 관련하여 이 책을 언급하고 있다. 인간은 소우주라는 유명한 말이 이 책에 나온다. 둘째 세페르 예찌라(Sefer Yezirah): 세페르 예찌라(Sefer Yetzira)는 히브.. 더보기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