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성령에 대한 표현들(성령론 강좌, 조덕영 교수) 성령에 대한 표현들(성령론 강좌, 조덕영 교수) 성경 속 초월적 부분에 대해 인간은 형상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기에 교회는 형이상학적 무늬를 가끔 교회 건축에 활용하였다(유럽 예배당 모습) 성령에 대한 표현들 ​ 가. 서론 ​ 1. 성령에 대해 피조물인 우리 인간이 이해한다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2. 중요한 것은 를 갖는 것입니다. 3. 또한 성령을 이해하는 데 있어 성경이 성령을 어떻게 묘사하고 표현하는가 하는 점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4. 성경은 성령의 본질이나 사역을 묘사하는 가운데 다양한 상징과 비유와 은유와 유비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표현들이 있는 지 살펴봅니다. ​ 5. 성경해석학에 관한 시카고 성명 중 성령 관련 부분(1978. 10. 26-28 이후 198.. 더보기
마르틴 루터의 신학 사상(기독교 사상가 탐색, 조덕영 교수) 마르틴 루터의 생애와 사상(기독교 사상가 탐색 후반부) ​ 이탈리아 토리노 서점 전시물 Theologia est infinita sapientia quia nunquam potest edisci. 신학은 무한한 지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교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 ​ 마르틴 루터의 간략 연보(1483-1546, 기독교 사상가 탐색) 칼빈, 루터, 멜랑흐톤(왼쪽부터, 사진: 비텐베[르크 멜랑흐톤 하우스) ​ “Theologia Crucis​”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 ​ "십자가는 모든 것을 시험하는 시금석이다." 비텐베르크 루터 하우스에서 ​ 1. 1483년 11. 10 독일 동부 아이슬레벤에서 출생 ​ 2. 1502. 9.29 에르푸르트 대학 학사 학위 ​ 3. 1505. 1.. 더보기
중세 유럽의 주요 사상(르네상스, 기계적 세계관, 계몽주의-기독교 사상 후반부, 조덕영 교수) 중세 유럽의 주요 사상(르네상스, 기계적 세계관, 계몽주의-기독교 사상 후반부, 조덕영 교수) 르네상스, 기계적 세계관, 계몽주의 사상(기독교 사상가 탐색 후반부 강좌, 조덕영 교수) ​ -여기서는 현대신학사상을 태동케 만든 유럽의 3 가지 상황에 대해 배웁니다. -주로 르네상스, 기계적 세계관, 계몽주의 사상이라는 유럽의 세 가지 역사적 배경을 따라 그 이해를 돕습니다. ​ 르네상스의 대표적 인물, 다 빈치(1452-1519) A. 르네상스(14세기~16세기)와 사상 ​ 1. 르네상스의 의미 ​ 1)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 르네상스는 중세에서 근대로 변화하는 생활과 사고방식의 전환(“르네상스가 근대를 낳았다!”) ​ 2) 문예 부흥: 학문 또는 예술의 회복, 재생, 부활, 부흥, 각성이라는 의미 ​ .. 더보기
성령의 사역(Works, 성령론 강좌) 성령의 사역(Works) 1. 성령의 사역의 중요성 예수 그리스도가 육신으로 계실 때에는 한 번에 한 장소와 소수의 사람과만 상대하셨다. 그러나 승천 후 보혜사 성령을 보내 주심으로 한 번에 전 세계 교회와 성도들을 만나시며 동시적인 역사를 하신다. 2. 성령 사역의 본질 성령은 예수의 영이니만큼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하신 것과 꼭 같은 일을 한다. 그 일은 성부가 원하는 일이므로 3위 1체적 사역이다. 성령은 예수를 주로 높이는 사역을 한다. 3. 성령의 사역들(분야) 1) 일반 은총 사역(마5:44-45, 행 14:16-17) 2) 천지 창조 사역(창 1:2, 시 104:24-26) (1) 만물이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간다. 그 영광(롬 11:36) (2) 집 마다 지은 이, 만물을 지으신 이는.. 더보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은총과 이성, 두 날개로 전개한 가톨릭 사상(기독교 사상가 탐색)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은총과 이성, 두 날개로 전개한 가톨릭 사상(기독교 사상가 탐색)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 은총(신앙)과 이성(자연)의 양날개 (기독교 사상가 탐색)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 : "신앙과 이성"의 조화 “하나님은 인간의 말과 상징을 통해 믿을 만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자신을 계시하시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인간의 이해와 언어를 초월하신다. 자신의 생각이나 말이 언제나 하나님의 어떠하심에 미치지 못함을 인정하는 자가 하나님을 제일 잘 아는 자이다.” 1. 생애 1) 1225년, 나폴리 근처 로카세카에서 아퀴노(Aquino) 지방 백작 란돌프의 아들로 태어나다. 2) 별명 ‘벙어리 황소’(풍채가 당당.. 더보기
캔터베리의 안셀무스(스콜라신학의 안셀름, 기독교 사상가 탐색) 캔터베리의 안셀무스(안셀름, 기독교 사상가 탐색)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Anselmus Cantuariensis, 안셀름Anselm of Canterbury, 1033 ~ 1109) 그리스도의 죽음!! “한 사람의 불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으로 판결 받은 것과 같이 한 사람의 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의롭다함을 얻는 것입니다“ (롬 5 : 19) ​ “이는 영광의 나무이니 전능하신 하나님이 고통을 참으신 나무로다 인류의 온갖 죄악을 위하여 태고적 아담의 죄를 위하여“ 1. 안셀무스의 생애 알프스의 아오스타 풍경 1) 출생 : (1) 1033년 이탈리아 서북부 고대도시 아오스타(현 피에몬테주-주도 토리노) (2) 아오스타는 현대 밀라노에서 알프스 꾸르마이어를 거쳐 프랑스 샤모니 몽블랑(Chamonix Mon.. 더보기
성령의 신성(성령론 강좌, 조덕영) 성령의 신성(성령론 강좌, 조덕영) Ⅰ. 성령의 신성과 인격의 중요성 성령의 신성(the Spirit of God), 창 1:2)과 인격(성령의 교통하심, 고후 13:13)은 성령론에 있어 중요한 진술입니다. 신성을 믿어야 성령의 인격(지, 정, 의)도 믿게 되는 것이지요. 이 성령론은 어떻게 정립되었는지 역사의 중요한 변곡점을 살펴보고 성령의 신성의 증거와 그 인격과 관련된 부분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Ⅱ. 콘스탄티노플 회의(제 2차 공의회, 381, Theodosius, 성령 신성 확증) 1) 데오도시우스 황제가 소집 2) 갑바도기아 교부들(Gregory of Nazianzus, Gregory of Nyssa) 참석 3) 니케아 회의와 아리우스주의 이단 정죄 재확인 4) 삼위일체 논쟁 종결 5) Ma.. 더보기
조덕영 박사의 ‘코로나 19의 창조신학’(논평: 임영동 박사) 조덕영 박사의 ‘코로나 19의 창조신학’(논평: 임영동 박사) ​ 지난 24일 서울 개신대학원대학교에서 ‘창조와 환경’을 주제로 개최되었던 한국복음주의신학회(회장 이승구 교수) 제76차 정기 논문발표회 비대면 발표회에서 조직신학 분과 주제발표 논문을 발표했던 조덕영 박사의 "코로나19의 창조신학 “코로나19?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에 대한 임영동 박사의 논평(아래)을 소개한다. 임영동 박사(백석대) 논평 ​ 코로나19의 창조신학 “코로나19?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 ​ 1. 논지의 탁월성 ​ ​ 조덕영 박사의 ‘코로나 19의 창조신학’은 코로나19로 인하여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현재, 한국 교회를 대표하여 세상에 소리를 낸 연구라 할 수 있다. 포스터모더니즘과 4차 산업혁명 이라는 급진적 변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