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진화론은 과학이 아니다(창조론온라인포럼, 류현모 교수. 3. 16일. 토. 서울 시간) "진화론은 과학이 아니다" (창조론온라인포럼) 일시: 3. 16일. 토. 서울 시간 강사: 류현모 박사 (서울대 치의학 대학원 교수) 창조론오픈포럼 주최 ​ ​ 더보기
비 오는 날에(柳村 詩集 <鐘소리와 꽃나무>(1957) 중에서) 비 오는 날에(柳村 詩集 (1957) 중에서) 비 오는 날에 ​ 반가움 철철 넘치어 지금은 기다렸던 초조가 폴리는 때 기다림이 벅차다 풀리면 눈물이 흐르듯 줄줄 흐르는 시간이다 ​ 기다림은 꽃잎으로 물드는 마음 오롯이 마련할 화보를 꾸미며 울밑 얼룩지는 소녀여 ​ 눈 감으면 황홀한 꿈 같은 것 찬란한 별빛 같은 것 홍보석이 되어라 봉선화는 피어라 ​ 유촌 시집 (1957) 중에서 *유촌은 이화여대 영어영문과 교수, 연세대 석좌 교수와 대한민국 예술원 회장(2013-2015)을 지낸 시인 겸 문학평론가 유종호 박사의 부친으로 충주고 교사를 지냈다. 제자였던 신경림 시인이 이 시집의 발문을 썼다.-사진, 글: 조덕영 시인- ​ ​ 더보기
요르단 요단강 동편, 성 세례 요한 그리스 정교회 요르단방면, 요단강 성 세례 요한 그리스 정교회 이콘으로 장식 된 전형적인 그리스 정교회의 풍경 종교 개혁 교회들에는 낯선 풍경이다. 요르단 측에서 바라 본 요단강 하류 풍경 더보기
기독교 최대 박해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 튀르키에 박물관들을 여행하다보면 가장 많이 보이는 우상은 제우스와 헤르메스 두상들이다. 그 다음에 자주 눈에 띠는 두상은 바로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코 깨진 상들이다. 제 11대 로마 황제(81-96년)였던 그는 기독교를 유난히 핍박한 황제로 유명하다. 예루살렘을 함락시켰던 티투스(훗날 로마 10대 황제)는 바로 그의 형이었다. 지금도 남아있는로마 광장 입구 개선문이 티투스가 세운 것이다. 히에라폴리스의 웅장한 이 원형 극장은 당시 로마 황제의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 이 산 위로 순교자 빌립 기념교회가 있다. 빌립은 이곳에서 돌에 맞고 도미티아누스(Domitian, Domitianus) 황제에 의해 십자가형을 당해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87세때였다. 순교자 성 빌립기념교회 사도 요한이 계시를 받은 밧모섬.. 더보기
성찬용 떡과 포도주는 반드시 무발효떡(무교병), 무알콜 포도주여야 하나요? 무알콜, 무교병 성찬이 성경적인가? 성경과학창조세계관신학 교회의 무형적 요소를 예술적 건축물로 유형화한 예배당 풍경 ​ 이 내용은 필자가 여러 번 본 블로그에서 다뤘던 내용입니다. 여기 다시 한번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 ​ 교파를 가르는 성만찬 규례 ​ 성만찬 규례는 교파를 가르는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특별히 성찬에서 "임재"의 문제에 있어 로마 카톨릭(화체설, Transubstantiation), 루터파(공재설,Consubstantiation), 개혁파(영적 임재설, Spiritual presence), 쯔빙글리파(기념설, Symbolism/Commemoration)가 명확하게 갈라집니다. 또한 성만찬에 사용되는 떡(빵) 논쟁은 서방교회와 동방교회가 분열한 여러 이유 가운데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더보기
뇌 속, 컴퓨터 이식? 일론 머스크가 쏘아 올린 포스트휴먼 시대(下) 포스트휴먼 시대에 대한 바람직한 기독교적 대응은? 일론 머스크가 쏘아 올린 포스트휴먼 시대(下) ​ 첫째, 기계론적·환원론적 관점의 인체관의 한계 조덕영 박사 창조 신앙으로 보면 건강하든 병약하든 그것은 모두 하나님의 섭리다. 하지만 현대 의학은 우리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이며 모든 생사화복의 주인은 창조주 하나님이라는 관점이 아니라 인간과 인체를 우연한 기계적 시스템으로 보며 환원론적으로 봄으로써 각론적 이해에는 접근하였으나 근원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에 한계를 가져왔다. 이런 세속 의학은 일반적 진단법과 수술 테크닉, 투약법 등에 있어서는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 반면에 성경적 건강학은 하나님이 궁극적인 인간 생명과 건강의 주인이심을 고백함으로 전인적이다. 필자는 군 생활 중 류.. 더보기
정결탕이 즐비한 쿰란공동체와 엣세네파 그리고 세례 요한 사해가 내려다보이는 메마른 유대 광야 동굴 아래 수많은 정결탕들은 어디에 사용되었던 것일까? ​ 정결탕이 널려있는 쿰란공동체의 연대는 로 알려진 공동체의 거주 연대와 동일한 연대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연대 추정은 필사본이 발견된 동굴안 도기류와 세마포로 된 두루마리 덮개에 대한 탄소 14 연대 측정에 의해 A.D. 33±200년으로 확인되었다. 이 시기의 쿰란 공동체는 엣세네파로 알려져 있다. 이들 공동체의 특징은 재산 공유, 단순 소박, 결혼은 허용하되 주로 자녀 입양, 흰옷, 일출 전 기도와 아침·오후 노동, 찬물 목욕과 공동 식사, 입교를 원하는 사람은 1년 간 시험을 받고, 그런 다음 결례에 참여 허락, 정식 가입하여 공동 식사에 참여까지는 2년 더 시험을 통과 등이 있었다(요세푸스). 필로도.. 더보기
뇌 안에 칩 임플란트 시술? 머스크가 쏘아 올린 ‘포스트 휴먼’ 시대와 시한부 종말론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뇌 속 컴퓨터 칩 임플란트(이식물) 시술 (1)​ 머스크, 뇌에 칩 이식 임상 시작 초기 결과 뉴런 스파이크 탐지해 환자 회복, 신호 검출 결과 원활 신체 불편에 혁신적 솔루션 제공 중국도 유사 이식 연구 결과 발표 유물론적 세계관, 윤리에 무관심 ▲일론 머스크 뉴럴링크의 뇌 칩 이식 임상 관련 보도 화면. ⓒjtbc 뇌도 일종의 세포다. 인간은 대략 1천억 개 넘는 뇌 뉴런(신경세포)을 가지고 태어난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별 숫자가 대략 1천억 개이니, 뇌 신경세포 1천 억 개가 얼마나 큰 숫자인지 알 수 있다. ​ 임신 9개월 동안 태아는 획득한(?) 정보를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고 초당 평균 5천 개 가까운 신경세포를 쉬지 않고 만들어내는 셈이다. 이 뇌 세포가 인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