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썸네일형 리스트형 총신이 떼제 공동체를 용납, 수용한다고? 〔떼제 기도] 김대운 칼럼 예장합동 총신대보(2016년 4월)에 실린 글을 보고 정리하다. ■프랑스 에큐메니칼 운동의 중심지인 '떼제(Taizé) 공동체' 한국인 최초의 수사인 '신한열'씨의 인터뷰 기사가 전면에 실렸다. '총신을 바꾸는 인터뷰'라는 제목으로 '신한열수사'의 인터뷰기사를 통하여 수 많은 총신인들이 '떼제(Taizé) 공동체'에 대해서 어떤 인상을 갖게 될지 참 두렵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인터뷰기사는 이런 글로 시작한다. "지난 3월 19일 토요일, 서울의 한 교회에서 떼제(Taizé) 예배가 진행되었다. 근교에서는 물론 전국 방방 곳곳과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100명 남짓 모여 세 차례의 예배를 드렸다. 예배는 간결한 가사와 단순한 멜로디로 이루어진 노래를.. 더보기 삼위일체론의 성경적 근거(삼위일체론의 구약과 신약의 근거) 삼위일체론의 성경적 근거 (삼위일체론의 구약과 신약의 근거) 삼위일체는 인간 이성에서 나온 사상이 아닌 계시입니다. 즉 인간이 경험만으로는 전혀 알 수 없고 아무런 확신을 가질 수도 없는 교리로서 하나님의 특별계시(성경)에 의해 인간이 알 수 있게 된 계시입니다. 창조론이나 창조과학이나 과학이라는 물리적 도구가 하나님을 증거하는 데 한계를 가지는 이유가 바로 하나님은 성경으로 계시된 삼위일체이기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교리에 대한 성경적 증거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증거 1. 구약: 1) 하나님에 대한 복수 명칭: 창 1:26(남성 복수 명칭 약 2,550번)/창 3:22/사 48:16, 시 51:11,139:7, 느 9:20/ 사 63:10. 2) 말씀과 성령의 희.. 더보기 자연 계시와 특별 계시(신학의 분류 1) 자연신학과 계시신학(신학의 분류 1) 신학과 신학자들의 도구 1) 啓示(revelatio) “두 가지 책(冊)”으로서의 자연과 성경(一般啓示와 特別啓示인 성경) (1) 계시는 하나님이 창조, 역사, 인간의 양심과 성경 등을 통하여 자기 자신과 자신의 뜻을 현현(顯現)하시는 것을 말합니다. 단순히 감추인 것을 드러낸다는 의미보다 하나님께서 자기 자신과 자기 작정을 바르게 인간에게 전달하고 알리심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히브리어 “깔라” 관찰에 장애가 되는 것을 제거함(창 35:7) (3) 헬라어:*아포카룹시스=>감추인 것을 드러내 보이다, 베일을 벗다. *파네로시스=>뚜껑을 열다 (4) 누구에게?(시 103:7) 모세와 그 백성들에게 (5) 계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들 하나님 자신의.. 더보기 갑바도기아 교부 바실의 성령론 가이사랴의 바실©Wikipedia 가이사랴의 바실(혹은 대 바실)의 성령론 (성령 신학의 창시자R. P. C. Hanson, "The Divinity of the Holy Spirit", Church Quarterly, v. 1. 1969, 300.) 1. 바실의 생애 요약 1) 바실(St. Basil the Great, 330년 경-379년)은 아타나시우스가 감독이 되었을 무렵, 지금의 중앙 튀르키에(구 터키) 갑바도기아의 가이사랴에서 태어났다(갑바도기아의 가이사랴는 성경에 나오는 팔레스틴의 가이사랴와는 다른 곳). 2) 동생이 바로 닛사의 그레고리(335-395), 친구 나지안주스 그레고리(330-389)와 함께 갑바도기아 세 교부로 불리며 역사 속 삼위일체, 정통 신학의 중심 역할 .. 더보기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이란 무엇인가? 지적 설계와 양립할 수 있는가?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이란 무엇인가? 지적 설계와는 양립할 수 있는가? 패러다임이란 과학사학자 토마스 쿤(Thomas Kuhn)이 주장한 이론이다. 쿤은 과학의 통일성을 부정한다. 그러면서 과학이 일직선으로 점진적 발전을 해온 것이 아니고 한 시대의 과학의 틀이 한계에 봉착하면 다른 체계가 대체해왔다는 패러다임(paradigm)이론을 주장하였다. 쿤에게 있어 과학혁명이란 하나의 패러다임이 그것과는 양립할 수 없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되는, 누적적이 아닌 변화의 에피소드를 가리킨다. 그리고 과학혁명들 사이에서 과학자들이 정상적으로 행하는 안정된 작업을 정상 과학(normal science)이라 하였다. 즉, 쿤에 의하면 정상과학은 과거의 하나 이상의 과학적 성취에 확.. 더보기 어거스틴의 성령론에 있어 성령의 신성(354-430) 어거스틴(354-430)의 성령론에 있어 성령의 신성 기독교가 배출한 가장 탁월한 사상가! 로마의 Lateran church에 있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초기의 어거스틴의 초상화, 6 세기 1. 어거스틴의 생애와 당시 상황 1) 출생= 354년 11.13일 북아프리카에서 출생 2) 당시 로마의 식민지에서 가난한 로마 시민권자의 아들 3) 어머니 모니카는 열성적 기독교인 4) 카르타고에서 수사학과 라틴어를 배우다. 5) 카르타고에서 방탕한 생활 시작(372년 첫 아들 Adeodatus 탄생) 6) 신흥종교 마니교에 빠지다( 구약과 신약의 신은 서로 다르다/ 신약의 신이 더 우월/ 예수도 훌륭한 스승/ 헌신/ 금욕/ 채식 강요). 어머니의 근심! 9년 계속! 7) 377년 아프리카 총독 주관 웅변.. 더보기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의 소중함(제1차 예배갱신세미나 소감) 제1차 예배갱신세미나 소감(24.2.15-16) *이번 예배갱신세미나를 통해 공적으로 정한 장소 정한 시간에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수없이 많은 예배를 드렸지만 성도가 예배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 성도가 중심이 되어 드리는 예배가 되어야 함을 듣고 큰 도전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예배는 계시와 응답이며 방향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예배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도전이 되고 충격이었던 것은 예배시간에 찬송가를 8곡이나 하고 이렇게 많은 예배순서에도 1시간 안에 예배를 마칠 수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예배를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새롭게 깨닫게 되었고 앞으.. 더보기 【동영상】골란고원이 보이는 갈릴리 호수 【동영상】골란고원이 보이는 갈릴리 호수 【동영상】멀리 골란고원이 보이는 갈릴리 호수 풍경 ©E. S. Cho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