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에스겔 선지자를 통해 보는 창조주 하나님의 애굽(이집트) 평가 선지자 에스겔을 통해 보는 창조주 하나님의 애굽(이집트) 평가 에스겔 선지자를 통한 여호와 하나님의 애굽 평가는 에스겔서 29장부터 32장 까지 지속된다. 인류 죄악에 대한 에스겔서의 최종 결론은 32장에서 마무리 된다. 33장부터는 이스라엘의 회복(33-39장)과 하나님 나라(40-48장)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애굽 심판은 심판의 클라이막스를 보여 준다. 그렇다면 애굽이 심판 받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여호와 하나님 무시(겔 29: 3, 9), 우상 숭배(겔 30:13; "비베셋"=고양이 머리 형상 가진 여신 '파쉬트'에게 고양이 머리를 제물로 바친 우상 숭배지, 겔 30: 17), 교만과 탐욕(겔 32:2), 인간 힘 중심의 의지(겔 32:2) 등.. 더보기
성경의 주요 무대-소아시아<터키>,그리스,로마, 팔레스틴 지도(이스탄불 고고학박물관) 성경의 주요 무대- 소아시아,그리스,로마, 팔레스틴 지도 (이스탄불 고고학박물관) 더보기
JTBC ‘싱어게인3-무명가수전’, 가수 홍이삭 최종 우승 우간다 선교사 자녀 ‘싱어게인’의 1-3 시즌 우승자, 기독교인 진기록 ▲우승 소감을 전하는 홍이삭ⓒ캡처, JTBC ‘싱어게인3-무명가수전’ 대중음악에 있어 그리스도인의 허용된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그 경계는 그리 쉽지 않다. JTBC ‘싱어게인3-무명가수전’ 최종전에서 58호 가수 ‘유통기한을 알고 싶은 가수’ 홍이삭이 최종 1위를 차지했다. ‘싱어게인’은 무대가 간절한 무명 가수들에게 다시 대중 앞에 설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리부팅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이번 시즌 홍이삭이 최종 우승을 차지하며, ‘싱어게인’의 전 시즌 우승자가 기독교인으로 기록되는 진기록을 세웠다. 시즌1에서는 이재철 목사의 아들로 인디밴드 따밴, 알라리깡숑에서 활동했던 30호 가수 ‘나는 배 아픈 가수’ 이승윤이, 시즌2에서는 ‘.. 더보기
예루살렘성 내에 루터교회, 콥틱, 에티오피아 수도원까지 있다고? 그렇습니다. 예루살렘 성 안에는 유대교, 이슬람, 아르메니아 정교회, 가톨릭 뿐 아니라 프로테스탄트 교회, 그리스 정교회, 콥틱 교회, 에티오피아 수도원 등등 다양한 종파들의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극단적 정치, 극단적 종교가 문제일뿐 우리 대한민국처럼 예루살렘도 종교적 적대감 없이 종교간 절묘한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입니다. 온 세상에 평화가 오기를~~ 예루살렘을 위하여 평안을 구하라 예루살렘을 사랑하는 자는 형통하리로다 네 성 안에는 평안이 있고 네 궁중에는 형통함이 있을지어다 ~~ 여호와 우리 하나님의 집을 위하여 내가 네 복을 구하리로다 (시 122: 6-7, 9) ​ 독일 프로테스탄트 루터교의 (Church of the Redeemer) 예배당 종탑에 오르면 바로 루터교회의 북서쪽으로.. 더보기
암흑에너지, 인류원리, 그리고 별과 은하의 생명 가능성(1. 20일, 토. 창조론온라인 포럼) 암흑에너지, 인류원리, 그리고 별과 은하의 생명 가능성 (1.20일, 창조론온라인 포럼) 홍성욱 박사 ​ 더보기
애굽 피신 전, 모친 마리아가 어린 예수를 수유한 곳? 애굽으로 피신 가기 전, 모친 마리아가 어린 예수를 수유하던 곳으로 알려진 곳(?)에 세워진 교회 동방의 박사들이 떠난 후 요셉과 마리아 가족은 고향 나사렛으로 돌아가지 못했다(마 2:13-15). 요셉에게 주의 사자가 현몽하여 헤롯의 살해 음모를 전하며 애굽으로의 피신을 명하였다. 이 교회는 애굽으로의 피신 전까지 잠시 머물러 어린 예수께 수유하던 장소로 알려진 곳에 세워진 교회다. 헤롯은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 아이를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라 명하였으니 예레미야가 예언한 대로 였다(마 2:18). 예수는 평화의 왕으로 오셨으나, 세상 왕 헤롯의 대응은 유아 살해였다. 주변에서 들려오는 절망의 비명 소리를 들으며 마리아는 날마다 기도하며 눈물로 수유하였을 것이다. 애굽으로 피난.. 더보기
<예술과 성경>은 무슨 관계일까?(서평: 조덕영 박사) 은 무슨 관계일까?(서평: 조덕영 박사)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예술은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가? 예술, 특히 미술과 음악은 단지 세속적인 것들을 은근히 소개하는 통로일 뿐인가? 우리는 시편이나 오늘날의 찬송처럼 시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조각이나 드라마 같은 것은 어떤가? 이런 것들도 그리스도인들의 삶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가?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종교적인 것들"에만 관심을 두고, 예술과 문화에 대해서는 외면하거나 잊어버려야 하는가? ​ 라브리 선교회를 만들고, 현대 서구 사상과 문화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통찰해온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 Ⅳ, 1912-1984)는 미국의 기독교 철학자이며 장로교 목사이자 20세기 대표.. 더보기
1,500년 전 백제에 기독교인들이 많았다고? [조덕영 칼럼] , 신앙의 눈으로 보다 ​ ▲(왼쪽부터) 와 임나일본부설 관련 지도. ⓒ위키 “백제가 660년 멸망했을 당시 많은 피난민이 일본으로 건너갔는데 그 중에 기독교인이 많았다.”(富山昌德, 『日本史 中의 佛敎와 景敎』, 東京大出版會, 1969, 46-47>) ​ 역사, 승자의 기록 역사는 주로 승자의 기록이 기준의 틀을 제공한다. 기록을 남긴 승자들은 자신들을 중심으로 역사를 과장하거나 구성하고, 패자들 역사는 말살·축소, 왜곡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주변 국가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흉노 등 고약한 이름을 붙여 폄훼, 왜곡하는 것이 바로 그런 경우다. 기록이 빈약한 삼한 역사나 600년 가까이 지속한 가야 연맹, 그리고 패망한 백제 역사의 진실을 추적하는 어려움은 여기서 발생한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