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썸네일형 리스트형 귀신은 보일 수 있는 존재인가요? Q. 귀신은 보일 수 있는 존재인가요? ================= A.) 그렇지 않습니다. 1. 영적 존재 귀신 1) 본질적으로 귀신들은 영적 존재들입니다. 따라서 귀신들을 때로 악령들이라고 부르는 이유이지요. 2) 즉 귀신들은 육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마 8장 16/눅 10장17.20절). 2. 위장의 명수 귀신 1) 다만 귀신들은 영적 존재인 동시에 지적 본성과 도덕적 타락한 본성도 지니고 있으므로 사람을 속이고 사람의 마음을 미혹하여 마치 자신이 보일수 있는 존재인것처럼 위장할 수 있습니다. 2) 즉 사람은 귀신에게 미혹 당하여 사로잡힐 수 있는 데 이때 사람들은 마치 귀신이 육체적으로 사람을 제압함으로써 귀신이 육체적으로 환생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3. 제한된 권세를 가진 영적 .. 더보기 부정신학이란 무엇인가요?(조덕영 박사) 부정신학이란 무엇인가요?(답변: 조덕영 박사) 하나님에 대해 교회는 묘사할 수 없었기에 주로 추상적 상징을 교회건축에 활용하였다 부정신학이란 무엇인가요? 1) 부정신학이란? 부정신학은 신비주의 신학에 속한 신학으로, 무한한 하나님은 인간의 이해력 너머에 존재한다는 전제 아래 하나님을 이해하려는 신학을 말합니다. 2) 부정신학의 기원 이 같은 부정신학의 기원은 기독교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시카고대의 버나드 맥긴은 서방 기독교 신비주의 역사를 다루면서 서방 기독교의 신비주의가 3, 4세기 시작되어 12세기까지 꽃을 피웠다고 보며 13-16세기를 신비주의의 개화기로 이때 신비주의의 고전적 학파들이 생겨났다고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신비주의는 그 역사와 뿌리가 깊다고 볼 수 있지요. 이 역사 속에서 성 어.. 더보기 5대 제사 규례 요약(레위기 제 6장 1-30절) 5대 제사 규례(레위기 제 6장 1-30절) 창조와 사랑 / 창조신앙과 삶 레위기에 담긴 창조주하나님 사랑 6= 5대 제사 규례(레위기 제 6장 1-30절) 가. 들면서 1. 레위기 6장은 다섯 제사에 대한 종합 정리(결론) 부분이다. 6장에는 화목제가 누락되어 있으나 추가 규례를 규정한 7장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2. 결론 부분에 가장 귀한 요점들이 잘 정리되어 있음을 명심할 것 나. 본문 1. 속건제 규례(1-7절) 1) 세 번 째 속건제를 드리는 경우 (1) 남의 재산에 손해를 입힌 경우(배상 유형 5가지를 기억할 것) (2) 20%를 더 하여 배상할 것 2) 드리는 방식= 흠 없는 수양 제물을 드릴 것 2. 번제 규례(8-13절) 1) 번제 예물 처리법: (1) 번제물은 당위 석쇠 위에 아침까.. 더보기 사랑의 첫 열매- 결혼 예식(아 3:6-11) 사랑의 첫 열매- 결혼 예식(아 3:6-11) "몰약과 유향과 상인의 여러 가지 향품으로 향내 풍기며 연기 기둥처럼 거친 들에서 오는 자가 누구인가 볼지어다 솔로몬의 가마라 이스라엘 용사 중 육십 명이 둘러쌌는데 다 칼을 잡고 싸움에 익숙한 사람들이라 밤의 두려움으로 말미암아 각기 허리에 칼을 찼느니라 솔로몬 왕이 레바논 나무로 자기의 가마를 만들었는데 그 기둥은 은이요 바닥은 금이요 자리는 자색 깔개라 그 안에는 예루살렘 딸들의 사랑이 엮어져 있구나 시온의 딸들아 나와서 솔로몬 왕을 보라 혼인날 마음이 기쁠 때에 그의 어머니가 씌운 왕관이 그 머리에 있구나" "당신은 사랑 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남녀 사랑의 두 번째 단계는 결국 결혼하게 되는 것이다. 드디어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이 결혼에 골인하게 되.. 더보기 유다서 강해(창조와 말세의 유혹, 창조신학연구소 조덕영 목사) 창조와 말세의 유혹(유다서 강해) 거짓 교사를 경계하라(1-16) 가. 들면서 1. 유다서 저자는 누구인가 : 유다 1) 그는 겸손한 자였다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종으로 표현한다. 2) 그는 야고보의 형제였다 즉 예수의 형제였다. 동정녀 탄생 후 마리아와 요셉 사이에는 야고보, 요셉, 유다, 시몬(마 13:55; 막 6:3) 등 예수님의 동생들이 탄생하였다! 여동생도 있었다(마 13:56; 막 6:3). 로마 가톨릭에서는 이들을 예수의 사촌 동생들로 보나 성경에는 그런 기록이 없다. 그들이 예수의 육적 동생들(half-brothers)이라 하여 예수 그리스도 성육신 교리에 손상이 오는 게 아니다. 가브리엘 천사의 동정녀 마리아 수태고지와 성탄 이후 육적 동생들이 태어났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3) .. 더보기 2035년 이전, 가장 큰 화성을 맨눈으로… 과거 화성표면 ‘인물상’은 무엇이었을까(이대웅 기자, 조덕영 박사) 맨눈으로 보는 화성… 과거 표면에 나타난 ‘인물상’은 무엇이었을까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14일 밤, 올해 가장 밝고 큰 화성을 볼 수 있다. 지구와 화성은 공전 주기에 따라 약 27개월에 한 번씩 일직선상에 놓이는 ‘충(opposition)’을 경험한다. ‘충’이라 해도 공전 궤도에 따라 매번 두 행성 사이의 거리가 다른데, 미 항공우주국에 따르면 15-17년만에 돌아오는 가장 가까워지는 날이 바로 14일 밤이라는 것이다. 14일 밤 화성은 해가 진 후 동쪽 하늘로 떠올라 자정 무렵 남쪽 하늘에서 가장 높이 솟아오를 전망이다. 화성은 밤하늘에 붉게 반짝여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다. 오후 6시부터 자정 사이, 동쪽에서 남쪽 하늘을 바라보면 화성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관련,.. 더보기 복음주의 창조론 운동을 위한 모색(조덕영 교수) 복음주의 창조론 운동을 위한 모색(강의 자료 5-2조덕영 교수) 영역: 신학, 과학사/과학철학 키워드: 복음주의, 창조론 운동, 창조과학, 헨리 모리스 복음주의 창조론 운동을 위한 모색 The Evangelical Modern Creation Movement 조덕영 Duk Young Cho 창조신학연구소 Korea Institute for Creation Theology Seoul, Korea EMail: dycho21c@hanmail.net (Received January 5, 2011, Accepted January 21, 2011)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Modern Creation Movement.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od.. 더보기 복음주의 과학관의 세 가지 요소(조덕영 교수) 복음주의 과학관의 세 가지 요소(강의 자료 5, 조덕영 교수) 복음주의 과학관의 세 가지 요소 1) 성경: 복음과 초대 교회 성경이 증거하는 창조와 창조주에 대한 초대 기독교의 믿음은 확고하다. 창조주는 우주와 역사의 통치자요 주관자이다. 이것은 플라톤(Platon)이 말하는 ‘선의 이데아’나 플로티누스(Plotinus)가 말하는 선을 뛰어넘는 ‘초 본질적 존재’와도 다르다. 인격을 지닌 주권자이다. 물론 이것은 성경으로부터 나온 교리이다. 그러므로 복음주의 과학관은 성경 없이 창조주와 자연으로 나아가려는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으로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 하지만 교회는 성경이 계시하는 증언을 기초로 이 창조주가 세상을 무로부터 창조(creatio ex nihilo)했음을 인정하여 왔다... 더보기 이전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