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대 과학으로 창세기 1장 해석, 너무나 위험한 시도(조덕영박사의 창조신학)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현대 과학적 접근으로 창세기 1장 해석, 너무나 위험한 시도 신학 역사는 창세기 1장 해석에 어떤 틀을 제공해 왔나(1) 오리겐 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8) 과학 수준이나 발전에 따라 창세기 1장 해석 수정해 왔다면, 창세기는 ‘누더기 책’ 됐을 것 오리겐, 삼위일체 틀 안에서 창조 설명 노력 기독교 신학자들은 창세기 1장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 왔을까? 역사 속에 나타난 많은 신학자들 중 창세기 1장 해석에 있어 중요한 두 신학자를 살펴보려 한다. 바로 오리겐과 칼빈이다. 한 사람은 그리스도교 신학의 초기 형성기에 있어 미숙한 가운데 창조 신앙 해석의 틀을 놓은 사람이고, 또 한 사람은 성경과 역사 속 신학자들의 해석을 바탕으로 창세기와 성경 해석의 바.. 더보기 신학 역사는 창세기 1장 해석에 어떤 틀을 제공해 왔나(두 신학자를 중심으로 1)-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신학 역사는 창세기 1장 해석에 어떤 틀을 제공해 왔나(오리겐과 칼빈, 두 신학자를 중심으로) 기독교의 신학자들은 창세기 1장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 왔을까? 역사 속에 나타난 많은 신학자 중에서 창세기 1장 해석에 있어 중요한 두 신학자를 살펴보려 한다. 바로 오리겐(185-254)과 칼빈(1509-1564)이다. 한 사람은 그리스도교 신학의 초기 형성기에 있어 미숙한 가운데 창조 신앙 해석의 틀을 놓은 사람이고 또 한 사람은 성경과 역사 속 신학자들의 해석을 바탕으로 창세기와 성경 해석의 바른 틀을 세운 핵심적인 신학자 중 대표적인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신학자의 창조 해석 방법에 대해서는 필자가 상세하게 다룬 적이 있다. 여기서는 창세기 해석의 바른 틀을 제공하고자 고뇌한 대표적 신학자로서.. 더보기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교회의 창세기 1장 해석은 과학과 어떻게 실제적으로 충돌했나? 교회의 창세기 1장 해석은 과학과 어떻게 실제적으로 충돌했나?(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6) 여기서 "교회"라는 용어는 물론 바른 성경 해석을 반영하는 용어가 아니다. 교회와 신학과 그리스도인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창세기 1장 해석과 자연 과학 사이의 대립과 그릇된 해석을 반영하는 단어다. 이 부분을 다뤄보자. 출처: NASA 1. 천동설과 지동설의 문제 그렇다면 창세기 1장 해석과 관련하여 어떤 실제적인 문제들이 일어났을까? 필자는 먼저 당연히 천동설과 지동설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수도사요 철학자였던 순교자 브루노가 과연 과학자였나 하는 논쟁은 있으나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 그리고 케플러와 같은 분명히 성경을 믿는 과학자들이 생각했던 우주관이 당대 제도권 교회의 창세기 해석과 충돌했다.. 더보기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기독교 신앙(성경)과 근대 과학이 충돌한 결정적 3가지 장면 기독교 신앙과 근대 과학이 충돌한 결정적 3가지 장면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5) 창세기 1장 해석, 과학이 구체적으로 어떤 해석적 문제를 가져왔다는 것일까? 기독교 신앙과 근대 과학이 역사 속에서 본격적으로 대면한 중요한 장면은 아마 다음의 세 가지 사건을 꼽을 수 있겠다. 우주에 대한 용감한 사색(?)으로 ①화형당한 브루노(Giordano Bruno, 1548-1600)의 순교와 ②교황청과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의 갈등, 그리고 ③1860년 있었던 과학의 진보를 위한 영국 연합회(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의 옥스퍼드 회의에서 일어난 윌버포스(S. Wi.. 더보기 아들 떠나 보낸 이동원 목사, 손양원목사처럼 ‘10가지 감사기도’ 지난 9일 암으로 투병하던 둘째 아들 이범 집사를 떠나 보낸 지구촌교회 원로 이동원 목사의 감사기도가 전해졌다. 이동원 목사 차남 故 이범 집사의 천국환송예배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오전 고인이 출석하던 토렌스조은교회(담임 김우준 목사)에서 진행됐다. 이 집사는 미국 LA에서 변호사로 일해 왔다. 그런데 최근 대장암 말기 판정을 받고 투병 중이었던 사실이 국내에 알려졌었다. 유가족 대표로 나와 인사한 이동원 목사는 아들의 천국환송예배를 위해 각처에서 보내준 사랑에 감사인사를 전했다. 그는 이날 아들을 먼저 떠나 보낸 슬픔 대신, 손양원 목사가 두 아들을 잃고 하나님 앞에 드린 9가지 감사를 따라 하나님 앞에 드린 10가지 감사기도를 소개했다. 이 목사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감사 기도를 했다. 1. 아.. 더보기 <모든 성경이 증거하는 그리스도>Christ in all the scriptures(A. M. Hodgkin, 유정우 역1907~) 모든 성경이 증거하는 그리스도 Christ in all the scriptures(1907~) 저자 A. M. Hodgkin 유정우 역 기독교문사(품절 도서) “성경이 내게 대하여 기록한 책이다!” “성경으로 제자들 마음을 열다” 이 책은 1907년 영국에서 발간된 책으로 인도네시아 선교사와 평택대 부총장을 지내시고 교회사학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신 유정우 박사께서 번역하신 책이다. 유정우 박사께서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구눙물리아”란 기독교서점에서 이 책을 만났다고 한다. 그리고 유 박사는 인도네시아 임마누엘교회 형제들과 함께 교재로 읽어나갔던 과거를 추억한다. 유 박사께서는 주말마다 모이던 모임에서도 자주 이 책을 추억하시곤 했다. 이 책은 성경 66권이 모두 그리스도를 증거한다는 논증의 책이다. 저자.. 더보기 예수님은 누구인가: 그리스도의 이름(마1:21) 신학기초교리공부 19강- 예수님은 누구인가: 그리스도의 이름(마1:21) 1.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어떻게 부르는지 살펴봅시다. 2. 어떤 이름은 그분의 성질을 나타내고 어떤 이름은 그 직분을 나타냅니다. 3. 일부는 그가 세상에 와서 하시는 사역을 보여줍니다. 4. 이렇게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본질과 사역에 대해 배우는 것을 신학에서는 기독론이라 합니다. 이 기독론을 살펴봅시다. 가.그리스도의 명칭 1. 예수(Jesus) 1) 예수는 히브리어 ‘여호수아’,(수 1:1, 슥 3:1) ‘호세아’(민 13:8, 신 32:44, 삼상 23), 예수아(스 2:2)의 헬라어 형태입니다. 2) 그 뜻은 ‘여호와는 구원이시다’ 즉 구세주(救世主)라는 뜻입니다. 3) 즉 예수님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 더보기 치명적 죄들과 죄를 이기는 길(히 6:13-18) 치명적 죄들과 죄를 이기는 길(히 6:13-18) 신학기초교리 공부 18- 치명적 죄들과 죄를 이기는 길(히 6:13-18) 성경이 말하는 치명적 죄에 대하여 살펴보고 죄를 이기는 길을 살펴봅시다. 가.죄에 대한 의미 1.죄의 어원적 의미 히브리어 ‘하타아트’와 헬라어 ‘하말티아’(ἁμαρτια)는 ‘과녁을 쏘아 맞출 수 있는데도 맞추지 않는 오만한 행위’ 즉 하지말아야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행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알고도 행하지 않는 의무 태만(약 4:17)과 하지말아야 할 것을 행하는 일 등이 모두 해당합니다(표적 이탈, 표적 미달, 표적 지나침 모두 해당). 2.히브리어 : 1) 하타아트: 율법,하나님으로부터 탈선. 2) 아원: 의도적 악행(패역무도) 3) 페샤: 관계를 파탄시키는 행동(하나님에.. 더보기 이전 1 ··· 179 180 181 182 183 184 185 ··· 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