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김민식 시집 <하늘 닮은 너>를 읽고-김민식 형제에게-(느낌이 있는 시 27) 김민식 시집 를 읽고 -김민식 형제에게- 우리에게 희망은 언제부터 있었던가 그렇구나 마산 앞 바다 가면 천상병 선생이 손 흔들고 안동 송리 가면 툇마루에 권정생 선생 앉아있고 전라도 섬진강 근처 가면 섬진강 시인 김용택, 연탄재 시인 안도현이 있다 충주 남한강 목계 나루 너머 엄정 가면 관옥 목사 계시고 애국지사 많았던 청양 칠갑산 자락에는 민식 형제가 있구나! 누구는 이 세상 소풍 왔다 갔고 누구는 여전히 살아있다 권정생 선생과 이오덕 선생은 먼저 하늘나라 갔구나 서울에는 최춘선 천사가 가끔 비 오고 눈 오는 날 악수를 청하였지 그렇다! 살아있음이 참으로 고맙구나 칠갑산 형제 김민식 형제! 그가 살아있어 고맙다 그에게로 가면 모든 것은 시(詩)가 되고 바람이 분다 삶은 사는 것만큼 행복하고 아름답구나 .. 더보기
태양계 밖 입자들도 우리 태양계와 정말 유사할까? 태양계 밖 입자들도 우리 태양계와 정말 유사할까? 태양계 밖 입자들도 우리 태양계와 정말 유사할까? NASA, 태양계 밖 외계 입자('Alien' particles) 최초 발견 태양계 밖의 입자들은 과연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우리 태양계와 정말 유사할까? 태양권(The heliosphere)과 태양계 밖 우주의 경계 영역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발사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 IBEX(Interstellar Boundary Explorer)의 자료를 분석해 온 국제 연구진이 태양권 밖 성간 공간(interstellar space)으로부터 태양권으로 들어오는 중성입자들을 발견했다고 IBEX의 자료를 분석한 최근의 천체물리학 저널 특별호를 참고하여 스페이스 닷컴과 사이언스 데일리가 보도했다.. 더보기
천국 다녀왔다는 사람들 말을 믿어도 될까요? 천국 다녀왔다는 사람들 믿어도 될까? 천국에 갔다 왔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도처에 보면 천국에 갔다 왔다고 간증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간혹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천국이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믿어야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천국을 믿어야 할지를 모르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천국에 갔다왔다고 하는 사람의 간증에 매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믿어야 할 천국은 천국 갔다 왔다고 하는 간 증이 아니라 성경에서 말씀하신 천국만을 믿어야 합니다.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씻기시매 다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요한계시록21장4절) 천국은 분명히 있습니다. 우리들이 이 땅에서.. 더보기
창세기 10장의 앗수르와 창 25장의 앗수르는 다른 족속인가요?(조덕영 박사) 창세기 10장의 앗수르와 창 25장의 앗수르는 다른 족속인가요?(조덕영 박사) 양 목사님, 정말 반갑습니다. 오랜만에 연락주셨군요. 당시 참 열심히 공부하셨지요^^ 자주 연락주세요^^ ------------------------------- 질문에 대해~~~ 1. 창세기 10장의 앗수르와 창25장의 앗수르는 다른 족속인가? 네 다른 족속으로 보입니다. 셈의 다섯 후손(엘람, 앗수르, 아르박삿, 룻, 아람) 가운데 한 사람인 앗수르와 아르박삿의 후손인 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그두라 사이에서 난 여섯 아들(시므란, 욕산, 므단, 미디안, 이스박, 수아) 가운데 욕산의 두 자녀 스바와 드단 중 드단의 자손인 앗수르 족속(Asshurim)은 다르다고 봅니다. 구스의 후손 가운데 라아마의 아들 이름도 스바와 드단 .. 더보기
창조론오픈포럼, “삼위일체의 하나님은 디아스포라의 하나님” 발표 안성호 교수 “삼위일체의 하나님은 디아스포라의 하나님” 안성호 교수, 온라인 창조론 오픈포럼서 발표 기독일보 제공 장지동 기자 (zidgilove@cdaily.co.kr) 안성호 교수가 창조론 오픈포럼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창조론오픈포럼 줌 영상 캡쳐 안성호 교수(미국 고든대학 선교학)가 21일 오후 온라인으로 진행된 ‘창조론 오픈포럼’에서 ‘창조, 삼위일체 신학, 그리고 세계기독교’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안 교수는 “삼위일체에는 세 가지 본질이 있다. 먼저는 사랑의 공동체이다. 여기서 교회가 나타났다. 둘째는 하나님은 선교의 하나님이시며, 셋째는 디아스포라에 하나님이시다”며 “그러므로 삼위일체 하나님은 선교적 디아스포라 공동체”라고 했다. 이어 “성부, 성자, 성령은 완벽한 연합을 이룬다. 서로를 너무 사랑하시.. 더보기
메이첸의 <기독교와 자유주의,Christianity and Liberalism>, "자유주의는 기독교가 아니다!" 메이첸의 “자유주의는 기독교가 아니다!” “The Christian Religion is certainly not the religion of the modern liberal Church.!" ​ 이 놀라운 선포로 유명한 그리 두껍지 않은 책(Index 포함 189쪽) 『기독교와 자유주의』(, 1923)의 저자는 미국의 뛰어난 신약 신학자이자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설립(1929)자인 J. G. 메이첸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당대의 주도적인 흐름이던 현대 자유주의 신학을 비판하고 바른 성경적 신앙은 사실과 교리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역설한다. 저자 J. G. 메이첸(John Gresham Machen, 1881-1937)은 1881년 7월 28일 미국 메릴랜드.. 더보기
성경을 알레고리와 모형론으로 해석해도 될까? 성경을 알레고리와 모형론으로 해석해도 될까?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1. 알레고리적 해석 풍유(諷喩), 우의(寓意), 우화(寓話) 등으로 번역되는 알레고리(allegory)는 헬라어 알레고리아(allegoria, 다른 이야기라는 뜻)에서 유래한 말로 추상적인 개념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대상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문학형식을 말한다. 본래 이 말은 헬라어의 ‘다른’이라는 단어인 'allos'와 ‘공공장소에서 말하다’라는 'agoreuein'이라는 말의 합성어로 어원적으로는 ‘다르게 말하는 하나의 방식’을 지칭한다. 어떤 내용을 표현할 때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말하려는 대상의 본체를 감추고,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방법은 알레고리 말고도 다양하다.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같이’,.. 더보기
외계 생명체 논쟁과 기독교 끝없는 우주, 수많은 행성… 정말 외계인이 존재할까?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외계 생명과 UFO에 대한 인류의 지극한 관심 외계인 신화만큼 우리 인류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이슈가 있을까? , 등 수많은 영화 히트작들의 소재가 되었고 지구에는 과거 이 땅을 방문한 수많은 지적 외계 생명체의 흔적이 있다고 주장한 스위스 태생의 에리히 폰 데니컨 같은 사람의 책은 세계적으로 순식간에 수천 만권이 팔려나갔다. 외계인과 UFO에 대한 음모설이 끝이지 않는 가하면 지금도 하루가 멀다 하고 외계인 관련 기사나 UFO 관련 기사들이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메인 화면을 장식하곤 한다. 상상을 초월하는 별들의 숫자 우주는 수많은 갤럭시(Galaxy, 은하)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마 최소한 4천 억 개의 갤럭시가 있을 거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