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천년사>의 진퇴양란, 신앙의 눈으로 보다
의 진퇴양란, 신앙의 눈으로 보다 “백제가 660년 멸망했을 당시 많은 피난민이 일본으로 건너갔는데 그중에 기독교인이 많았다” (富山昌德, 『日本史 中의 佛敎와 景敎』, 東京大出版會, 1969, 46-47>) 역사, 승자의 기록 역사는 주로 승자의 기록이 기준의 틀을 제공한다. 기록을 남긴 승자들은 자신들을 중심으로 역사를 과장하거나 구성하고, 패자들 역사는 말살·축소, 왜곡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주변 국가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흉노 등 고약한 이름을 붙여 폄훼, 왜곡하는 것이 바로 그런 경우다. 기록이 빈약한 삼한 역사나 600년 가까이 지속한 가야 연맹 그리고 패망한 백제 역사의 진실을 추적하는 어려움은 여기서 발생한다. 논쟁의 진퇴양란 5년 이상 24억 원을 들여 관련 학자..
더보기
이근삼 박사의 개혁신학, 일반 은총, 문화신학
이근삼 박사의 개혁신학, 일반 은총, 문화신학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이근삼 박사는 박형룡, 박윤선, 한상동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개혁신앙 선조(先祖)로서 개혁주의 정통신학과 신앙을 뿌리내리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이근삼 박사는 고든칼리지, 웨스트민스터신학교 등 미국에서 5년, 화란에서 4년 변증학을 공부했며 기초를 쌓았다.” “이근삼 박사는 불트만, 바르트, 몰트만, 과정신학 등 여러 신학을 비판적으로 소개하면서 변증학적인 접근을 했다. 이근삼 박사는 자유주의신학이 시작하는 때에 전통신학을 방어하는 학문적 기초를 놓은 인물이다.” 그는 “칼빈주의와 개혁주의는 동등적인 의미로 해석돼 왔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언약이다. 이근삼은 개혁신학을 계..
더보기
천년왕국,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의 부활, 최종심판(종말론 2, 조덕영 교수)
천년왕국, 예수 그리스도 재림, 죽은 자의 부활, 최종심판(종말론 2, 조덕영 교수) 조직신학원론(신학이란 무엇인가)-종말론 2 천년왕국(millenium) 논쟁(계11:16,20:4) 가. 들면서 1. 천년 왕국에 대한 성경의 언급 성경에서 직접 천년왕국을 말하는 구절은 요한계시록 20:4-6에 있는 ‘천년동안 왕노릇하리라’라는 말씀입니다. 2. 천년왕국의 의미 이것은 최후심판 이전에 사단이 결박되고 순교한 성도들과 진정한 성도들이 장차 그리스도와 함께 천년동안 지상에서 왕노릇한다는 견해입니다. 여기에 대해 공부합니다. 나. 천년왕국설의 종류 1.무천년설 1) 대표 신학자 화란 개혁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 헐만 바빙크와 루이스 벌코프, 베르카우어, 게할더스 보스 등이 주장합니다. 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