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아디아포라(Adiaphora)는 기독교윤리의 주요 논제인가(조덕영 교수) 아디아포라(Adiaphora)는 기독교윤리의 주요 논제인가(기독교 윤리학 강좌, 조덕영 교수) 아디아포라(Adiaphora)의 문제 ​ 1) 용어: 헬라어 Adiaphoros(아무래도 좋은)에서 유래. 중립적! ​ 2) 역사적 유래: 스토아 학파는 선과 악 사이에 제 3의 집단으로 아디아포라를 위치. ​ 3) 성경적 관점 (1) 성경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제이므로 행동과 의식과 예법과 교의의 문제들에 있어 어느 쪽을 취하든 아무래도 좋은 것을 말할 수 있다. (2) 기독교 윤리에서 약간 부정적 뉘앙스 (3) 즉 성경이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는, 구원과 무관한, 아무래도 좋은(허용된), 중요치 않은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여기서도 약간 부정적 뉘앙스). ​ 4) 아디아포라의 문제 있어 스토아 학파의 문제점.. 더보기
서철원 박사의 <창세기 주석> 서철원 박사의 서철원 박사의 도서출판 그리심 ​ 총신대 신대원원장을 지낸 조직신학자 서철원 박사의 창세기 주석이다. 저자는 “성경은 성경의 해석자라는 종교개혁의 원칙에 따라 성경이 말하게 하려고 성경 전체의 문맥에서 주석을 시도하였다”고 머리말에서 언급한다. ​주석은 성경 저자가 본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끌어내는 신학적 작업이다. 성경 주석의 목표는 그리스도를 제시하는 데 있다. 창세기는 창조와 타락과 회복의 준비 과정이다. 주석자는 모세가 창세기에서 말하고 전하려한 것을 그의 의도대로 제시하는데 모든 주의를 집중한다. 모세가 간단히 말하여 제시한 것을 그의 의도대로 조금 더 많은 말로 제시하려 한다. 주석자가 말하는 것이 아니라 모세가 처음 자기의 기록에서 전하려는 한 내용을 그대로 제시하는데 주안.. 더보기
종말론 : 그리스도인의 희망(1)(조덕영 교수) 종말, 마지막 일들: 그리스도인의 희망(1)(조덕영 교수) ※본 강좌는 조직신학원론(, 알리스터 맥그라스)으로서의 종말론 기초를 제공합니다. 더 깊은 내용을 원하시면 본 블로그 속에 있는 종말론 강좌를 참고하세요. -청지기- ​ 1. 종말론(eschatology)의 어원 헬라어의 ta eschata 즉 '마지막의 일들'에서 유래합니다. ​ 2. 종말론과 '묵시적'apocalyptic 용어의 구분 1) 유사 용어 2) 1980년 신약학자 크리스토퍼 로우랜드 등의 구분 종말론이 최후와 관련된 신학적 용어인 반면, '묵시적'(베일을 벗기는, 폭로, 계시)이라는 용어는 종말론적 신학 뿐 아니라 문학의 특별한 유형을 지칭(주전 200년경부터 주후 200년경까지 유대교 종파들의 독특한 세계관과 서술 방식 반영) ​.. 더보기
종교지도자들 몰카, “방울”, 분신? 삶도 죽음도 언행도 모두 조심하라 종교지도자들 몰카, “방울”, 분신?, 한국교회언론회, “종교 지도자들 유감: 삶도 죽음도 언행도 모두 조심하라” 한국교회언론회 한국교회언론회(대표 이억주 목사)가 1일 ‘종교지도자들 유감이다: 삶도 죽음도 언행도 모두 조심하라’는 제목의 논평을 발표했다. 이는 최근 한 목사의 의도적 영부인 접근 몰카 파문, 천주교 신부 함세웅의 문재인·이낙연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나온 ‘방울 달린…’ 등 여성 비하 및 남성 우월주의적 발언, 불교 자승 전 총무원장의 기이한 분신 등, 기이한 행태에 대한 논평이다. 교회언론회는 “기독교 목사라는 사람은 대통령 부인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하고 선물을 주는 것을 모두 몰래카메라로 찍어, 이를 언론에 넘겨 보도하게 했다. 성직자의 직함을 갖고 있으면서, 첨단화된 몰래카메라를 대통령.. 더보기
창세기 1장 1절의 게마트리아에 나타난 삼위일체 창조 섭리(삼위일체 흔적-Vestigium Trinitatis) 삼위일체 흔적에 대한 현대적 검토(흔적에 대한 현대적 검토(창세기 1장 1절에 나타난 삼위일체 창조 섭리) ​ ​ 자연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이다. 만물에는 창조의 질서가 나타난다. 눈의 결정체나 아직도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DNA나 단백질 등은 그 한 예이다. 가장 완벽한 질서는 창조 당시(창1:31)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후에 이 질서는 일부 붕괴하였다. 노아 홍수 이후 종말을 향해 가면서 그 붕괴는 가속을 더하고 있다. ​ 그러나 수학의 질서만큼은 창조 이래로 변동된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성경의 수학적 질서도 하나님의 창조와 관련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분명 성경이 나타내는 숫자 마다 일정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적 수(神的 數,.. 더보기
기독교와 세계 종교들(조직신학원론, 신학이란 무엇인가-조덕영 교수) 그리스도교와 세계 종교들 1. 다원주의 시대 현대 유럽 세계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1909년- 1998년, 영국 신학자, 선교학자, 인도 선교사/ 진보적, 보수적, 카리스마틱 개신교, 가톨릭 교인들과 이야기가 통하는 에큐메니컬 운동가 겸 선교사)의 언급 1) 우리가 다원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은 상식 2) 한 사회는 다양한 문화·종교·삶의 방식들을 포용해야 하는 시대 3) 뿐만 아니라 이 같은 다양성이 긍정되고 보존되어야 하는 시대 4) 삶의 실제로서의 다원주의와 이데올로기로서의 다원주의 구분 (1) 우리의 관심으로서 중요한 것은 삶의 실제로서의 다원주의다. (2) 이데올로기로서의 다원주의= 다원주의가 소망되고 권장되고 진리에 대한 규범적 주장은 제국주.. 더보기
성경(행 19: 24-41)에도 등장한 에베소의 우상, 아데미(아르테미스), 아데미(아르테미스), 성경(행 19: 24-41)에도 등장한 에베소의 우상 가정과 풍요의 신이요 맹수와 달(月)의 여신 아데미는 헬라가 숭배하는 신이었다. 로마의 여신 다이아나와 같다. 이 헬라의 여신은 소아시아에 널리 확산되었다. 에베소만 해도 구 에베소와 현재의 셀주크 지역 폐허가 된 신전에서 아데미 우상이 나왔다. 현재 이 우상(사진)은 셀주크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테라-코타(terra-cotta)로 된 작은 모형들도 발견된다. 옛 리디아 왕국의 땅인 사데교회 지역에서도 아데미 상이 나왔다. 사도 바울의 제 3차 전도 여행 중 에베소에서 행한 설교는 아데미 우상 숭배에 일단의 타격을 가하게 된다. 성령의 역사였다. 은장색(銀匠色)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데메드리오는 그 책임을 바울에게 돌린.. 더보기
<신국원의 문화 이야기>-문화 전쟁 시대의 기독교 문화 전략(IVP) 신국원의 문화 이야기 문화 전쟁 시대의 기독교 문화 전략 IVP ​ 책 소개 과학기술과 더불어 '문화'는 현대 사회의 중심에 자리잡고 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문화란 무엇일까? ​ 는 평생 기독교와 대중 문화의 관계를 탐구해 온 신국원 교수(기독철학, 총신대 명예교수)가 2,000년대 초 발간한 명저이다. ​ 문화적 바벨탑 시대에 살고 있는 이 시대에 교회는 문화의 도전에 어떠한 적절한 대답을 제시할 수 있는 지 이 책은 여전히 그 개혁적 대안을 제시하는 탁월한 책이다. 저자는 그리스도인의 바른 문화 생활 정립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본서를 통해 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실 문제 인식을 토대로 성경적 진리에 기초하여 그리스도인이 가져야 할 문화 전략의 방향을 역설하고 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