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썸네일형 리스트형 출애굽기는 어떤 책이고 누가 썼나 멜랑흐톤의 서재©비텐베르크 멜랑흐톤하우스/조덕영 출애굽기Exodus출애굽기는 어떤 책인가"출발, 나감, 탈출의 책"1. 저자: 모세1) 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은 본래 한권의 책2) 전통적 견해는 모세2. 제목:1) 히브리어 원제= "웨엘레 쉐모트"= "그리고 이것들은 ---의 이름들(애굽에 내려간 12명의 야곱 아들들) 이니라"2) 우리들이 "엑소더스"(Exodus)라 알고 있는 출애굽기 이름은 애굽의 알렉산드리아에 체류하던 유대인들이 히브리어 성경을 헬라어 역본(Septuagint, 일명 70인역 성경)으로 만들면서 헬라어 "엑소더스"로 표기한 데 기인합니다.3) 이후 라틴어 성경, 영어 성경 등에서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우리 한글 개혁 개정 성경에까지 의역하여.. 더보기 <침묵의 봄>, 여전히 지구촌에 경고하다. 레이첼 카슨 기념 컨퍼런스 저널 출판 지난 2022년 10월 16일 – 2022년 10월 19일 독일 투친성 Akademie Schloss Tutzing에서 열렸던 레이첼 카슨의 기념 컨퍼런스의 저널이 출판되었다. 이 컨퍼런스는 Le RUCHE(프랑스 대학 환경 역사 연구자 네트워크 - Réseau Universitaire de Chercheurs en Histoire Environnementale)와 LMU 뮌헨(뮌헨 루드비히 막시밀리안스 대학교)의 레이첼 카슨 환경 및 사회 센터가 공동 주관하였다.미, 영, 독, 프, 러, 스웨덴, 덴마크, 브라질, 아르헨티나, 스페인, 스위스, 한국, 코스타리카, 카리브해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 컨퍼런스에 한국인으론 재독 사진예술가 조은선 작가(베를린 공대 수학과 재학)가 유일하게 참여한 바.. 더보기 칼빈의 신앙론 4-신앙의 본질적 특성과 목표(박해경 박사) 신앙의 본질적 특성과 목표박해경 박사신앙의 궁극적 목표는 하나님 자녀로 입양되는 것, 천국을 소유하게 되는 일칼빈의 진정한 관심은 무엇이 참된 신앙의 본질이냐 하는 문제신앙의 목표는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선하신 의지"박해경 박사(전 ACTS, 백석대 교수, 조직신학, 현 문형장로교회 담임목사) 칼빈에 의해서 정의된 신앙은 한 마디로 구원의 신앙이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신앙의 목표(scopos fidei)가 무엇인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그에 의하면 신앙의 궁극적 목표는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되는 것이며, 천국을 소유하게 되는 일이다. 기독교강요 초판에서도 칼빈은 신앙의 본질적 특성은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선의를 확신하는 것이며, 그 목표는 그리스도를 통해 죄 사함과 성화를 얻는 일이며, 마지막 .. 더보기 유신진화론 유감과 창조과학 비판(창조론오픈포럼, 박찬호 교수) 유신진화론 유감과 창조과학 비판(창조론오픈포럼, 박찬호 교수) 네 개의 단상유신진화론 유감과 창조과학 비판(제 51회 창조론오픈포럼)강사: 박찬호 교수(백석대 교수)일시: 토요일 6/15(토) 13:00-14:30(서울 시간)아래와 같이 제51회 창조론 온라인 포럼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더보기 김천대가 ‘구원파’ 기쁜소식선교회 박옥수 씨를 이사로 선임? 기독사학 김천대, ‘구원파’ 기쁜소식선교회 박옥수 씨를 이사로 선임? 김천대가 있는 김천은 필자에게 참 추억이 많은 도시입니다.추풍령 너머 경북 김천은 정말 아름다운 도시이지요. 김천천(?)이 시내 중심을 휘돌아나가고지리산 곰이 찾아왔을만큼 백두대간의 황악산, 수도산 등 주변에 1천 미터가 넘는 웅장한 산들이 김천 분지를 품고 있는, 각종 농산물이 풍성한 도시이지요 .제 고향 충주만하고 옛 골목길이 많이 남아있는 모습도 제 고향을 닮아 늘 정겹게 느껴진 도시입니다.필자는 한때 김천의 미션스쿨인 김천대 신대원(조직신학) 겸임교수를 지냈습니다. 그리 크지 않은 이 도시가 정말 아름다워 필자는 강의를 위해 김천역에 내려 학교버스를 마다하고 조금 먼(?) 김천대까지 걸어가거나 개천을 따라 즐겁게 묵상하며 .. 더보기 예수님은 성경전문가 서기관들과 왜 대립하셨나? 성경 전문가 서기관(書記官, Scribes)과 예수님예루살렘에서 상당한 부와 지위를 누리던 마리아의 아들(행 12:12)이요 바나바의 조카였던 요한 마가가 기록한 마가복음은 예수님을 종으로 오신 분으로 묘사합니다. 성경 전문가 서기관들이 종의 모습으로 오신 예수님과 대립한 것은 필연이었을까요?서기관들이 보기에 종으로서의 예수님 행적은 신성모독으로 보일만큼 심각한 것이었습니다. 15년만에 마가복음을 다시 강해하면서 이 서기관과 예수님에 대한 기록들을 살펴보면서 과거 질문에 답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서기관들은 왜 예수님과 대립하였는 지를 살펴봅니다. 성경에 대한 서기관들의 특권 1) 인쇄술이 발달하기 전 성경을 접한다는 것은 대단한 특권이었다. 성경은 아무나 접할 수 있는 책이 아니었다. 인쇄술이 발달하.. 더보기 "희망과 미래의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 교수 소천(김균진 박사 애도사) 세계 신학계의 거성 위르겐 몰트만 교수님 소천하시다!한국신학아카데미 원장 김균진 박사 애도사포로수용소서 신앙에 눈 떠한국 신학도들을 품어준 신학자역경 속 미래 희망을 노래한 '희망의 신학자'故 위르겐 몰트만 박사20세기 후반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세계 신학계의 거성이셨던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교수님이 2024년 6월 3일 튀빙언(Tübingen)에서 소천하셨다. 한때 독일 개신교회의 총회장이었던 하인리히 벧포르드-슈트롬(Heinrich Bedford-Strohm) 목사님에 의하면, 몰트만 교수님은 “세계 교회의 위대한 스승”이셨다. 마음속 깊은 슬픔과 함께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 앞으로도 세계 신학계에 그분을 능가하는 학자가 등장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된다. 독일 복음주의의.. 더보기 네피림(네필림)이 미지 행성에서 왔다는 스가랴(제카리아) 시친의 주장은 성경적인가요? 네피림(네필림)이 미지 행성에서 왔다는 스가랴(제카리아) 시친의 주장은 성경적인가요? 1) 그렇지 않습니다. 성경은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2) 하지만 '네피림'(Nephilim)이 성경의 난해 구절 가운데서도 난해한 구절 가운데 하나임은 분명합니다.3) 성경은 '네피림'에 대해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 사이에 태어난 자손(창 6:1-4)이요 용사라 고대에 유명한 사람이었다고 했습니다(창 6:4). 외계인 음모설과 같은 황당한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해석의 불명확함이 이 구절의 해석을 쉽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지요.4) 네피림이 미지 행성에서 왔다는 스가랴 시친(Zecharia Sitchin)의 주장은 지난 2012년 소행성 충돌설이 등장하면서 부각된 면이 있습니다...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2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