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교 신학의 삼위일체론(밀라드 에릭슨을 중심으로)
※밀라드 에릭슨(노스웨스턴대 박사, 조직신학, 뮌헨대 연구, 베델신학대학원 학장 역임,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교수)의 신학 1) 시대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학(찰스 핫지, A. Strong, 루이스 벌콥을 넘어)2) 복음주의 학자들이 헤석학 분야에서 이루어놓은 작업과 결과들을 활용, 현대 문화 속 인식, 재진술3) 고전적인 정통주의 4) 성서 권위와 현대 사이의 미묘한 균형(지평 융합, 전자를 선택)5) 초창기 버나드 램(캘리포니아 버클리 서부 침례신학교 교수, 조직신학) 영향6) 박사과정 중 윌리엄 호던(루터신학교 학장, 노스웨스턴 대와 개릿신학교) 영향7) 판넨 베르크 영향(독일 뮌헨대 박사 후 과정)8) 온타리오 헤밀턴 맥마스터 신학교 클락 피녹(..
더보기
칼 바르트의 생애와 삼위일체론
칼 바르트(1886-1968, 하나님의 자유로서의 초월성)20세기 가장 중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었던 칼 바르트처럼 한국 신학 안에서 극명하게 평가가 나누어지는 신학자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실존주의, 기독론중심의 신학자, 신정통주의, 변증법적 신학, 위기의 신학, 반자연신학주의자, 신보편구원설 등 그를 지칭하는 신학의 색깔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지요. 국내적으로 바르트 신학은 코넬리우스 반 틸을 영향 아래 비판적인 교단(예장 고신, 합동, 합신, 예장 개혁, 예성 등)이 있는 가하면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교단(예장 통합, 기성, 한신 등)의 신학자들로 나누어집니다. 또한 같은 교단 안에서도 신학자들마다 바르트에 대한 입장이 서로 갈라지기도 합니다. 1. 생애1) 1886. 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