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사랑의 역설-불안감(아 3:1-5)/ 창조신앙과 사랑과 삶 사랑의 역설-불안감(아 3:1-5) 창조와 사랑 / 창조신앙과 삶 사랑이 전부다! 8. 사랑의 역설-불안감(아 3:1-5) "내가 밤에 침상에서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찾았노라 찾아도 찾아내지 못하였노라 이에 내가 일어나서 성 안을 돌아다니며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거리에서나 큰 길에서나 찾으리라 하고 찾으나 만나지 못하였노라 성 안을 순찰하는 자들을 만나서 묻기를 내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너희가 보았느냐 하고 그들을 지나치자마자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만나서 그를 붙잡고 내 어머니 집으로, 나를 잉태한 이의 방으로 가기까지 놓지 아니하였노라 예루살렘 딸들아 내가 노루와 들사슴을 두고 너희에게 부탁한다 사랑하는 자가 원하기 전에는 흔들지 말고 깨우지 말지니라" 술람미 여인은 연인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잠자.. 더보기
요셉, 왜 창세기 후반부의 주인공인가?(창세기 37-50장에 대해/37-38장을 중심으로) 요셉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창세기 후반부(창세기 37-50장에 대해/37-38장을 중심으로) 창세기 후반부 주인공 요셉 창세기의 후반부 37장-50장까지는 주로 요셉이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즉 성경 창세기의 4분지 1이상이 요셉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따라서 불쑥 전혀 다른 풍경처럼 등장하는 38장의 유다-다말 이야기는 마치 삽화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창세기 37장과 38장에 각각 이어서 예수님의 모형인 요셉과 예수님의 친조상 유다가 등장하는 것이 의미심장합니다. 요셉과 유다가 말하려는 것은 창세기는 인간 실패의 책인 동시에 인류 구속사의 여정을 시작하는 책입니다. 성경은 놀랍게도 요셉의 구체적 죄에 대해서 전혀 기록하고 있지 않습니다(물론 죄가 있었겠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셉은 .. 더보기
성경의 그룹(CHERUB)은 어떤 존재인가요? 성경의 그룹(CHERUB)은 어떤 존재인가? Q. 창세기 3 : 24 에 아담과 하와가 쫓겨난 후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는 불칼을 두시고 에덴 동산 동쪽에 그룹들을 두셨는데 성경책을 보다보면 '그룹'이라는 단어를 종종 보게 되는데 이 그룹의 뜻은 여러 방면으로 해석이 가능해 보입니다. 앞에 말한 창세기의 그룹과 또 성소에 있는 '그룹'등 이 있는데 이 그룹은 보통 어떻게 해석하며 그룹이란 무엇입니까 ???? A. 그룹(CHERUB)은 일종의 천사로 보여지는 데 히브리어 에서 온 말로 그 어원은 불분명합니다. 1) 그룹들은 인간이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 그 입구에 배치된 존재(창 3:24)로 처음 등장하는 데 여호와께서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때 또한 등장합니다(시 18:10). 2) 구약 전반에 걸쳐 그룹은 .. 더보기
인간, 하나님의 형상이란 무엇인가(창1:26-28) 하나님의 형상(창1:26-28) 성경해석 / 창조신학 기초교리공부 14- 하나님의 형상(창1:26-28) 하나님은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만드셨습니다. 사람이 가진 하나님의 형상이란 과연 무엇인가를 배웁니다. 가. 하나님 형상에 대한 구약성경의 가르침 1.창 1:26-28: 1) 사람(아담)은 하나님을 닮은 존재입니다. 2) 하나님의 형상(첼렘)과 모양(떼무쓰)은 비슷한 말입니다(반복 강조). 3) 하나님의 형상이란 하나님의 다스리심과 거룩함과 의로움과 참지식을 말합니다(칼빈). 4) 피조물 중에서 사람은 하나님을 대표합니다. 2.창 5:1-3: 1) 사람은 타락한 이후에도 하나님의 데무쓰로 지으셨다고 표현됩니다. 2) 셋은 아담의 “데무쓰”를 닮게 태어났습니다. 3.창 9:6: 1)하나님의 데.. 더보기
창조과학과 창조신학은 다른 개념인가요? 창조과학과 창조신학은 다른 개념인가요? 네 그렇습니다. 두 단어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창조과학과 창조신학은 다음과 같이 이름은 유사하나 다릅니다! 1. 학문의 도구(물질적 도구인가 초월적 계시인가) 창조과학이 내재의 도구(피조세상의 물리적 도구, causa instrumentales)를 가지고 창조를 다루는 학문이라면 창조신학은 초월 계시로서의 창조주 하나님과 그 피조세계를 다루는(causa prima) 계시 학문입니다. 2. 두 학문의 출발점 창조과학은 정규 과학계에서 여전히 논란 가운데 있는 안식교를 거쳐 1960년대 미남침례교도였던 헨리 모리스를 중심으로 시작된 신앙의 역사 속에서 그 연륜이 짧은 (신진) 학문이고, 창조신학은 성경 계시와 더불어 시작된 지속성을 지닌 계시 해석의 학문입니다. 3.. 더보기
화목제는 무엇인가(레위기 제 3장) 레위기에 담긴 창조주하나님 사랑 3= 화목제(레위기 제 3장) 가. 들면서 1. 화목제(Peace Offering)는 무엇인가? 1) 화목제 희생 : "제바흐 셜마임" 2) "제바흐"= “죽이다”=> “희생 제물”을 말한다. 3) "셜라임"=> 온전, 회목, 속죄라는 동사 '살렘'에서 유래한다. 70인 역은 이것을 구원으로 풀이한다. 4) 화목제는 기본적으로 속죄 동물을 드리는 감사제이다. 창조주 하나님과의 친교를 회복하는 제사(sacrifice of communion)이다. 따라서 번제와 유사하다. 2. 이 화목제를 살펴보자. 나. 본문 1. 화목제 드리는 규례 방법 일반적으로 희생 제물은 수컷 또는 암컷 모두 가능하며 당연히 흠 없는 것이어야 했다. 피는 제단 사면에 뿌려졌고 어떤 내장들은 모든 희생.. 더보기
사랑을 허무는 작은 훼방꾼?(아가서 강해 7. 아 2:15-17) 사랑을 허무는 작은 훼방꾼?(아가서 강해 7. 아 2:15-17) "우리를 위하여 여우 곧 포도원을 허는 작은 여우를 잡으라 우리의 포도원에 꽃이 피었음이라 내 사랑하는 자는 내게 속하였고 나는 그에게 속하였도다 그가 백합화 가운데에서 양 떼를 먹이는구나 내 사랑하는 자야 날이 저물고 그림자가 사라지기 전에 돌아와서 베데르 산의 노루와 어린 사슴 같을지라" 사람들은 그저 좋은 사람 만나 사랑하면 모든 것이 순탄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사랑은 그렇게 생각대로만 진행 되지는 않는다. 사랑이 성숙하고 열매 맺기 위해서는 넘어야할 산들이 많다. 성경은 그 가운데 포도원을 허는 작은 여우를 조심하라고 충고한다. 최근 우리나라 과수원과 논밭에는 과수 나무 열매, 고구마, 감자, 콩, 옥수수 가리지 않고 쑥대밭을.. 더보기
나는 통속(通俗)이 좋다(느낌이 있는 시 10) 나는 통속(通俗)이 좋다 프로 시인들의 시어(詩語)에는 암묵적 금기(禁忌)어들이 몇 가지 있다 미장원 한쪽 구석에 걸린 기도하는 소녀 투의 상투어들이나 통속적 이발소 그림에 삽입된 글귀 같은 것들 미술학원 벽에 전시된 어린 아이들 그림에 담긴 유치한 글귀들 졸업 앨범 편집 후기를 장식하는 것들 이를테면 뛰는 가슴, 열정, 꿈, 행복, 우정, 집념, 추억, 세월, 삶, 근면, 성실, 인내, 끈기, 믿음, 소망, 사랑, 자유, 진리, 정의, 개척, 아름다움, 그리움, 정(情) 같은 우리의 상투적이고 통속적인 단어들이다 이들 단어들은 필경 폐허가 되어버린 분교 정문의 찢어진 플래카드나 장기 두는 노인들의 복덕방 구석 그림에서 보게 되는 소위 빛 바랜 낡은 사진첩에서나 만나게 되는 그런 종류의 단어들인 것이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