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윌리엄 페일리의 자연신학이란 무엇인가? 윌리엄 페일리의 자연신학이란? 1) 윌리엄 페일리(William Paley, 1743–1805년)는 잉글랜드 피터버러 출신의 성공회 신부요, 신학자요 철학자였다. 2) 페일리는 그의 아버지가 학장으로 있던 기글스윅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1763년 시니어 랭글러로 졸업을 하고, 1776년과 1768년에는 그 학교에서 튜터가 되었다. 그는 윤리철학을 가르치며 새뮤얼 클러크와 조셉 버틀러 그리고 존 로크에 대해 강의를 했다. 그리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윤리와 정치철학에 대한 토대를 형성하게 된다. 3) 무엇보다 그는 신의 존재에 대한 목적론적 논쟁을 해설한 《자연신학》(Natural Theology or Evidences of the Existence .. 더보기
창조과학운동의 원조 헨리 모리스와 신학적 공과 창조과학자 H. M. Morris 1. 창조과학 운동의 태동 ​ (1) 일반적으로 근본주의 운동과 맥을 같이 하는 창조과학 운동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관심을 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성경에 뿌리를 둔 운동이라는 점에서 복음적이다. 창조론(Creationism)은 모든 자연 현상이 지성적인 창조주 하나님의 개입으로 시작되었다는 규정으로부터 시작된다. ​ (2) 그런데 이 용어는 오늘날 그 의미가 축소되어 우주와 생명의 창조에 대한 창조의 연대를 극히 젊게 보고 지질학적 전세계적인 홍수(창세기 대홍수)를 믿는 견해로 남아있다. ​ (3) 이와 같은 창조론이 19세기 보수적인 개신교나 20세기 초 근본주의자들의 전통적 믿음은 아니었다. 20세기 초기 근본주의자들은 결론에 있어서 성급하지 않았다. 1930년.. 더보기
예배학 세미나(워십 댄싱?, 경배와 찬양?, 성경적 악기 선택은?(주종훈 박사, 기진협 세미나) 워십 댄싱, 경배와 찬양, 성경적 악기 선택은?(예배학 세미나, 주종훈 박사, 기진협 세미나) [기독교진리수호연구협회]‘66회’세미나 림헌원목사[현.한돌교회담임, 현.기진협대표) ◼2024.2.5(월)(13:00~17:00) ▪︎☞ "예배학(예전학)", [최근 한국교회의 예배가 정상적인지를 진단하고 예전학에 대한 의미 있는 발제가 예상됨. '예배에 워십댄싱은 가한가?' '경배와 찬양에 있어서 찬양 선택과 악기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성경적인가?' 등등] ▪︎발제: 주종훈 박사(Ph.D.예배학전공,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교수) ~~~★~~~ ◼세미나토론좌장: 림헌원목사[현.한돌교회담임, 현.기진협대표, 전.기독교이단대책협회상임회장, 전.명지대학교교양학부강의 & 전.명지대학교사회교육원강의, 전.협성대학교학부강.. 더보기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과 현대신학의 천년 왕국 이해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과 현대신학의 천년 왕국 이해 그의 나라는 끝이 없다. cuius regni non erit finis.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주후 381) 2조 1. 이레네우스(주후 130경-200) 1) 제 7일 안식일에 상응하는 안식과 샬롬의 나라로서의 천년왕국 2) 창조세계의 실체와 실존은 결코 멸절되지 않는다(영지주의 의식). 없어지는 것(고전 7:31)은 오직 그 속에 있는 죄성과 부정성 3) 미래 지향적 종말론 ​ 2. 터툴리안(160경-225) 1) 사도적 전승과 신앙 규범에 따른 이레네우스(미래 지향적 종말론) 전통 2) 몬타누스파에 가담함으로 임박한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에 대한 기대 속에서 대단히 엄격한 윤리생활과 영성생활 추구 3) 예루살렘 대신 페푸자(프리기아) 4) 시한부 .. 더보기
사무엘 알렉산더의 창발적 진화란? 사무엘 알렉산더의 창발적 진화란? 1. 사무엘 알렉산더(Samuel Alexander, 1859~1930)는 누구인가 1) 전형적인 진화론적 자연주의자?(the Evolutionary Naturalist) 2) 호주 시드니 태생으로 멜버른대, 옥스퍼드, 캠브리지 대에서 공부 3) 1893년부터 은퇴할 때까지 영국 맨체스터대에서 철학을 가르침 4) 1913년 영국 아카데미의 회원 5) 1915년 글래스고에서 기포드 강사로 임명, 1917년과 1918년 겨울에 강의 6)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아리스토텔레스 협회의 회장 역임 7) 인식 대상과 감각 경험의 대상은 그것들의 독자적인 힘으로 밖에서 실재하며 의식과 전혀 무관하게 존재한다는 신실재론(Neorealism) 견해 수용 8) 궁극적인 것이나 존재론.. 더보기
이근삼 박사의 개혁신학, 일반 은총, 문화신학 이근삼 박사의 개혁신학, 일반 은총, 문화신학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이근삼 박사는 박형룡, 박윤선, 한상동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개혁신앙 선조(先祖)로서 개혁주의 정통신학과 신앙을 뿌리내리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이근삼 박사는 고든칼리지, 웨스트민스터신학교 등 미국에서 5년, 화란에서 4년 변증학을 공부했며 기초를 쌓았다.” ​ “이근삼 박사는 불트만, 바르트, 몰트만, 과정신학 등 여러 신학을 비판적으로 소개하면서 변증학적인 접근을 했다. 이근삼 박사는 자유주의신학이 시작하는 때에 전통신학을 방어하는 학문적 기초를 놓은 인물이다.” 그는 “칼빈주의와 개혁주의는 동등적인 의미로 해석돼 왔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언약이다. 이근삼은 개혁신학을 계.. 더보기
천년왕국,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의 부활, 최종심판(종말론 2, 조덕영 교수) 천년왕국, 예수 그리스도 재림, 죽은 자의 부활, 최종심판(종말론 2, 조덕영 교수) 조직신학원론(신학이란 무엇인가)-종말론 2 천년왕국(millenium) 논쟁(계11:16,20:4) ​ 가. 들면서 ​ 1. 천년 왕국에 대한 성경의 언급 성경에서 직접 천년왕국을 말하는 구절은 요한계시록 20:4-6에 있는 ‘천년동안 왕노릇하리라’라는 말씀입니다. 2. 천년왕국의 의미 이것은 최후심판 이전에 사단이 결박되고 순교한 성도들과 진정한 성도들이 장차 그리스도와 함께 천년동안 지상에서 왕노릇한다는 견해입니다. 여기에 대해 공부합니다. ​ 나. 천년왕국설의 종류 ​ 1.무천년설 ​ 1) 대표 신학자 화란 개혁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 헐만 바빙크와 루이스 벌코프, 베르카우어, 게할더스 보스 등이 주장합니다. 이 .. 더보기
아디아포라(Adiaphora)는 기독교윤리의 주요 논제인가(조덕영 교수) 아디아포라(Adiaphora)는 기독교윤리의 주요 논제인가(기독교 윤리학 강좌, 조덕영 교수) 아디아포라(Adiaphora)의 문제 ​ 1) 용어: 헬라어 Adiaphoros(아무래도 좋은)에서 유래. 중립적! ​ 2) 역사적 유래: 스토아 학파는 선과 악 사이에 제 3의 집단으로 아디아포라를 위치. ​ 3) 성경적 관점 (1) 성경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제이므로 행동과 의식과 예법과 교의의 문제들에 있어 어느 쪽을 취하든 아무래도 좋은 것을 말할 수 있다. (2) 기독교 윤리에서 약간 부정적 뉘앙스 (3) 즉 성경이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는, 구원과 무관한, 아무래도 좋은(허용된), 중요치 않은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여기서도 약간 부정적 뉘앙스). ​ 4) 아디아포라의 문제 있어 스토아 학파의 문제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