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한반도 최초 전래 성경은 어디로부터였을까? 한반도 최초 전래 성경은 언제, 누구로부터였을까? 한반도에 최초 유입된 외국어 성경은 언제, 누구로부터였을까? ​ 필자는 아마도 사도 도마의 인도 선교와 네스토리우스(경교) 선교사들의 중국 입성 이후의 어떤 시점에 성경의 한반도 유입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삼국 시대 이미 지금의 동남아시아와 인도까지 바닷길은 열려있었다. 특히 백제와 가야는 일찌감치 해양으로 진출한 국가였다. 김수로왕의 왕비 허황옥은 인도 아유타국 출신이었고, 한성백제박물관은 백제의 근초고왕이 고구려 평양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박사 고흥에게 한국 최초의 역사서인 를 편찬케 했으며 4세기 이미 일본 남부와 중국 요서, 산둥반도뿐 아니라 서남아시아까지 진출할만큼 대단히 역동적인 "다문화국가"를 이끈 위대한 지도자였다고 했다. 한성 백제.. 더보기
근대 과학의 등장이 "창조" 해석에 가져온 딜레마(조덕영) 창세기 1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근대 과학의 등장이 "창조" 해석에 가져온 딜레마(조덕영) 창세기 1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4) 근대 과학의 등장 인류 역사 속에 파편적인 과학적 사고가 없었던 것은 물론 아니었다. 하지만 오늘날 진정한 근대과학은 16세기에 본격적으로 서양에서 그 출발을 알렸다. 16 세기 유럽은 걸출한 인물과 학자들이 배출된 시대였다. ​ 대륙에서는 먼저 15C 태어나 16C 주로 활약한 종교 쪽의 코페르니쿠스(1473-1543)와 마르틴 루터(1483-1546) 그리고 16C 태어나 활동한 요한 칼빈(1509-1564)이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가 태어났고 독일에서는 천문학자 케플러(1571-1630), 16세기 후.. 더보기
금성 구름 속 생명체 흔적? 성경적 관점은? 금성에서 생명체 증거? 그 진상은? 구름에서 생명체 흔적? 금성, 어떤 행성인가 금성은 태양과 달을 제외하면 하늘 전체에서 가장 밝은 천체이다. 우리가 흔히 '샛별'이라 부르는 행성으로 해 뜨기 전 동쪽 하늘이나 해진 후 서쪽 하늘에서 보인다. 금성은 그냥 보면 하나의 밝은 점처럼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달처럼 그 모습이 차고 기우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 금성의 대기는 두꺼운 이산화탄소로 덮여 있기 때문에 망원경으로는 표면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파장이 긴 전파를 이용해 관측하고 있다. 관측(1978년, 파이어니어 비너스 2호) 결과 지구처럼 산맥도 있고 고지대도 있으나 지구에 비해 평탄한 행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구처럼 현무암과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음도 밝혀졌다. 금성의 역사 서양에서는 금성.. 더보기
과학적 무신론의 다리를 놓은 철학자들(헤겔, 포이어바흐 그리고 마르크스) 과학적 무신론의 다리를 놓은 철학자들(헤겔, 포이어바흐 그리고 마르크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철학적 무신론에서 과학적 무신론으로 건너가는 과정에서 독일의 철학자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과 포이어바흐(Ludwig Andreas Feuerbach, 1804-1872)가 징검다리를 놓았다. 헤겔의 철학은 모순과 대립이 보다 높은 단계에서 종합된다는 변증법적 정반합(正反合)의 논리를 적용한 것이다. 그렇지만 그의 철학에서 역사의 주체는 절대정신 또는 세계정신이었다. 헤겔은 1807년에 『그리스도교의 정신과 그 운명』과 『정신현상학』을 잇따라 발표하여 독일 관념론 철학의 꽃을 피웠다. 앞의 책은 그의 신학을 정리한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핵심은 하나.. 더보기
역사 속 전염병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 세계 속 하나님의 미션 코로나바이러스, 역사, 그리고 세계 속의 하나님의 미션 (Coronavirus, History, and God's Mission in the World)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의 확산으로 인하여 염려할 때, 교회역사에서 전염병이 확산되었던 비극을 하나님의 영광으로 돌렸던 세 가지 역사적 사건을 살펴보면서 교훈을 얻고자 한다. 먼저, 서기 165년에서 180년 사이에 일어난 전염병으로 급격한 인구 감소를 초래했다. 10년 이상 동안 제국의 인구는 2천 5백만 명 감소하였다. 정확히 같은 시기에 교회는 거의 50만 명이 성장했다. Year Number of Christians Empire Population Percent of Population 30 14,000 45,000,0.. 더보기
창세기 1장, 과학기술 발달한 오늘날 시각으로 해석한다면? 창세기 1장, 과학기술시대 시각으로 해석?(조덕영 박사)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1 창세기 제 1장부터 11장까지는 보통 원역사(Urgeschichte)라 불린다(여기에 대해서는 Claus Westermann의 Genesis, Biblischer Kommentar.; Translated by John J. Scullion S. J. 《Genesis 1-11》 A Continental Commentary, Fortress Press/ Minneapolis를 참조할 것). ​ 그런데 창세기 전반부는 창조주 하나님의 성경 계시 신앙의 근원임에도 불구하고, 그 해석이 사실 그리 간단치 않다. 수천 년 동안 성경을 믿고 읽으며 연구해 온 다양한 신앙과 학문적 배경을 가진 학.. 더보기
알렉산드리아신학이 말하는 로고스 사상(기독론)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알렉산드리아신학이 말하는 로고스 사상(기독론)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이거 설명이 아주 깁니다^^ 짤막하게만 설명! 1. 기독론에 등장하는 이론입니다. 창조주 하나님이 어떻게 인간이 될 수 있을까? 또한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분은 창조주 하나님인가? 아니면 피조물인가? 둘 다 정확한 진술이 아니라면 도대체 어떻게 하나님과 피조물의 속성을 동시에 가진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를 설명할 수 있을까? 피조물인 인간은 창조주가 아니기에 이 같은 오묘한 섭리를 완벽하게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즉 그 참 된 본질과 속성을 사실 제대로 이해하거나 체험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닮았기 때문일까? 온전한 예수의 상(像)을 그리지 못할지라도 인간은 그 속성상 자신 앞에 놓.. 더보기
신학자 터툴리안은 어떻게 몬타니즘 사상에 빠져 개종을 하게 되었나요? 신학자 터툴리안은 어떻게 몬타니즘 사상에 빠져 개종을 하게 되었나요? 1. 라틴 신학자(라틴어로 신학을 한 사람) 터툴리안(주후 160년경-215?220?)은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오늘날 튀니지)에서 비기독교 로마인 양친에게서 태어났습니다. 그곳에서 수사학과 법률을 공부합니다. 그의 저서들은 둘로 나뉩니다. 초기의 정통 서술과 후기 몬타니즘적 경향의 저술들입니다. ​ 2. 몬타니즘은 2세기 후반 소아시아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한 프리기아(Phrygia)에서 열광주의와 계시문학적 종말론을 중심으로 일어났습니다. 기독교로 개종한 후 황홀경을 체험한 신비주의 밀교 사제 출신의 몬타누스로부터 시작된 몬타니즘은 3세기 초 터툴리안이 사는 북아프리카에도 상륙하였으며 터툴리안은 이 운동에 즉시 가담하였습니다. 3.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