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바이러스 연구 산실 파스퇴르연구소의 주인공, 파스퇴르의 신앙과 삶 파스퇴르, “생물은 결코 우연히 생겨나지 않는다”(2)-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파스퇴르, “생물은 결코 우연히 생겨나지 않는다”(2) 미생물 학자 파스퇴르 ​ 그렇다면 눈에도 보이지 않는 이 작은 미생물은 어떻게 그렇게 정교한 단백질을 만들 수 있을까? 정말로 오랜 시간에 걸쳐 우연히 진화하여 그렇게 된 것일까? 오늘날 과학이 발달하였다고 하나, 이 작은 미생물이 만드는 단백질 하나도 생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진화론이 사실이라면, 하찮은 대장균이 만들어내는 단백질 한 개쯤은 가장 진화된 생명체라는 인간이 쉽게 만들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왜 대장균이 만드는 단백질 하나도 만들 수 없는 것일까? 우리 사람의 몸 안에는 자그마치 5만 종류가 넘는 다양한 단백질들이 있는데 이것.. 더보기
"태초에 하늘과 땅을 지으신 하느님"(몰트만의 창조자 하느님은 누구인가(2) "태초에 하늘과 땅을 지으신 하느님"(몰트만의 창조자 하느님은 누구인가(2)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조직신학) ​ “태초에 하늘과 땅을 지으신 하느님” 이 말을 부정하는 정상적 그리스도인은 없다. 이 성경의 창조에 대해 몰트만은 “이스라엘의 신앙이 거친 기나긴 사유의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이 사유의 과정은 이집트와 바벨론 종교의 천지창조론과 대결하면서 이루어졌다.”고 했다. 마치 종교 진화론을 수용하는 듯한 이 같은 몰트만의 서술은 창조주 하나님의 계시의 책으로서의 성경을 고려하기보다 성경이 창조에 대한 전설과 신화로 점철된 고대 근동의 창조 설화가 진화된(?) 책이라는 오해나 뉘앙스를 풍길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하지만 성경은 고대 근동 창조 설화와 전혀 다른 차별성을 보인다. 고대 근.. 더보기
창세기 1장 해석은 기독교의 전유물인가?(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3) 창세기 1장 해석은 기독교의 전유물인가?(창세기 1장 해석의 딜레마 3) 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3) ​ 초기 성경들 해석은 기독교의 전유물인가? 성경 고고학자들은 유대교, 로마 가톨릭, 그리스 정교, 아르메니아 정교, 조지아 정교, 콥트교, 프로테스탄트, 이슬람 등 다양한 신앙적 배경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학자들은 자신들의 신앙과 신학, 고고학적 발견 그리고 토라의 히브리어 사본들과 다양한 역본들 사이에서 서로 간에 해석의 단절 현상을 겪는 경우가 많다. ​ 특별히 창세기 1장의 경우 바로 필자가 지적한 인류 타락에 따른 "우주적 붕괴와 에덴동산 추방", 지구적 대격변을 초래한 "창세기 대홍수사건"과 홍수 이후 "바벨탑 인류 언어 혼잡"이라는 3 가지 결정적 사건 이외에도 창세기 1장 계.. 더보기
과학과 신앙(복음주의 과학관) 과학과 신앙(강의 자료 3. 복음주의 과학관) 1. 복음주의 과학관의 어원적 뿌리 복음주의의 어원은 종교 개혁 시대로 올라간다. 복음주의는 독일에서 루터 교인들과 개혁주의자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던 개념이었다. 처음 반개혁주의자들은 개혁주의자들을 루터파 교도(Lutheraner) 또는 마틴파 교도(Martianer)라 불렀으나 1521년 루터는 복음주의자(Evangelisch)라고 고쳐 불렀다. 루터 이후로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복음주의는 오늘날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복음주의라는 용어 자체가 매우 포괄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미국 복음주의 기관지로 간주되는 『오늘의 기독교』(Christianity Today)는 1979년 북미 인구의 20%가 복음주의자들이.. 더보기
복음주의와 과학(조덕영 교수) 과학과 신앙, 복음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4 강)-조덕영 과학과 신앙과 복음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강의 자료) 과학과 신앙과 복음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서론) 오늘날 자연 과학(이하 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과학적 논쟁점에 대해 무엇이 복음주의의 입장인지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문제에 대해 복음주의 안에도 일치되지 않는 여러 스펙트럼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복음주의의 영역이 근본주의, 복음주의, 신복음주의, 개혁주의, 정통주의, 신정통주의 등 다양한 색깔로 구분되면서 과연 복음주의는 어디까지이며 무엇을 말하는지 그 해석과 범위를 규정한다는 것이 쉽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칼 헨리(Carl F. Henry)는 1970년 대 들어 복음주의 사이의 연.. 더보기
고라니, 서울 탄천교까지 찾아오다 탄천교는 강남 삼성 병원 쪽과 송파 가락시장 방면을 잇는 다리다. 성남 남한산성과 분당 방면에서 흘러온 탄천이 이곳을 지나면 곧 양재천과 만나 한강으로 흘러들어 간다. 이곳에 작은 고라니 두 마리가 나타났다 어떻게 여기까지 찾아온 걸까? 코로나19로 생태 환경의 변화가 일어난 때문일까? 어디로부터 탄천 하류까지 내려온 걸까? 바로 코앞이 한강인데, 풀 숲에서 겁 없이 놀다 이내 몸을 숨겼다 멀리 코엑스 건물이 보인다 배롱나무가 마지막 꽃을 피운 가을에 더보기
창조주 하나님은 정말 자비로운 분이 맞는가요?(호세아 13장 14절 해석 문제) 호세아서의 창조주 하나님은 정말 자비로운 분이 맞는가요?(난해구절 호세아 13장 14절 해석의 문제) 호세아서의 창조주 하나님은 정말 자비로우신 분이 맞는가요?(난해구절 호세아 13장 14절 해석의 문제) Q.) 호세아서 13장 14절을 읽다가 이해되지 않고 주석을 찾아보아도 명쾌하지 않아 전혀 다른 두 가지 견해가 있어 문의 드립니다. 1. 개역개정 : 내가 그들을 스올의 권세에서 속량하며 사망에서 구속하리니 사망아 네 재앙이 어디 있느냐 스올아 네 멸망이 어디 있느냐 뉘우침이 내 눈 앞에서 숨으리라(호13:14) 2. KJV : I will ransom them from the power of the grave; I will redeem them from death: O death, I will be.. 더보기
아랍인의 조상은 누구? 아브라함 아들 이스마엘 후손? 아랍인은 이스마엘 후손인가? 아랍(Arab)은 지리적으로 아라비아에서 온 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래 아랍인(Arabs)이란 아라비아반도에 살던 사람들이다. 여기에는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스마엘 후손들도 당연히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아랍인들이 이스마엘 후손은 아니다. 오히려 성경에 언급된 아랍(아라비아)인들은 아말렉 족, 부스 족, 드단 족, 하갈 족, 이스마엘 족, 갓몬 족, 게달 족, 겐 족, 므우님 또는 마온 족, 미디안 족, 나아마 족, 스바 족, 수아 족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이스마엘 후손들(창 25: 13-16)은 느바욧, 게달, 두마, 맛사, 데마 및 게드마 족이 북서부 아라비아로 진출하여 아랍 족이 되었다. 이스라엘 민족과 접촉이 잦았던 미디안 족속은 아브라함과 그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