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예수의 심판 계시와 종말 계시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예수의 심판 계시와 종말 계시 ▲조덕영 박사. 자연 계시 속 예수의 심판주 하나님 계시와 종말 계시 복음서 저자들은 심판의 복음을 자연스럽게 종말의 복음으로 연결시킨다. 예수는 이 복음서 안에서 자연스럽게 심판을 종말의 복음에 연결시킨다. 예수는 심판주 하나님으로서 종말적 계시에 대해 (1) 회개 (2) 죽음 (3) 영혼 (4) 천국 비유 (5) 부활 (6) 재림 (7) 최후 심판의 문제들을 다룬다. 1) 회개 복음서에서 임박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고 먼저 회개를 외친 사람은 세례 요한이었다(마 3:2). 선지자와 세례 요한을 따라 예수는 "회개하라"(마 17) 천국이 가까웠다고 했다. 회개는 단순한 후회가 아닌 충분하고 완전히 돌아서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야 바른 열매가.. 더보기 심판주 하나님으로서의 예수의 계시 예수의 심판주 하나님 계시 ▲조덕영 박사. 죄와 심판 계시의 역설 구속 계시의 선행 계시로서 심판주 하나님은 주로 죄와 종말에 관한 예수의 계시 가운데 나타난다. 영원한 빛과 영원한 세상으로 가기 위해서는 죄의 어두움과 두려움과 영원하지 못한 생명과 유한한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부터 올 수밖에 없다. 이것은 영원한 구원으로 가기 위한 역설적 은혜이다. 죄가 더한 곳에 은혜는 더욱 넘친다(롬 5:20). 어거스틴이 말한 '죄가 복되다' 할 수 있는 역설적 '펠릭스 쿨파'(felix culpa)의 고백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 인간은 죄와 종말이라는 어두움 속에서 오히려 빛을 소망한다. 이것은 모두 자연 계시 안에 있는 소망인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일반 계시의 영역은 비로소 특별 계시 속 구속의 언약으.. 더보기 창조주 하나님으로서의 예수의 자연계시 예수의 자연 계시로서의 창조주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관한 내용들을 다루는 기독론은 늘 기독교 조직신학의 중심부를 이루어왔다. 그것은 기독교 구속신학이 그리스도를 제외하고는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도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의 문제는 기독론의 핵심을 이룬다. 먼저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에서 그 신성을 찾는다. 그 명칭은 주로 복음서 기자들이 소개한 것들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하나님'(God, 요 1:1; 20:28),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 마 16:16; 26:61-64; 요 10:36), '주'(Lord, 마 22:43-45)라는 명칭이 바로 그렇다. 이 명칭은 요한계시록에서 '만왕의 왕,' '만주의 주'(King of Kings .. 더보기 카발라 창조론의 주요 저작들과 개념들 <유대교 랍비들의 카발라 사상이란 무엇인가?, 2> 유대교 랍비들의 카발라 사상이란 무엇인가?(2) 카발라 창조론의 주요 저작들과 개념들 카발리스트들의 저작은 대단히 방대하다. 그 중 창조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4권의 중요한 저작들이 있다. 첫째 라찌엘 하말락(Raziel hamalach): 아담 하리숀(Adam Harishon)에 의해 1701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첫판이 나온 책이다. 라찌엘은 천사의 이름이다. 유명한 토라 주석가인 랍비 아브라함 이븐 에스라(Rabbi Avraham ibn Ezra)는 셰모스(Shemos; Exodus) 주석에서 72 가지 신적 이름과 관련하여 이 책을 언급하고 있다. 인간은 소우주라는 유명한 말이 이 책에 나온다. 둘째 세페르 예찌라(Sefer Yezirah): 세페르 예찌라(Sefer Yetzira)는 히브.. 더보기 유대교 랍비들의 카발라 사상이란 무엇인가? 유대교 랍비들의 카발라 사상이란 무엇인가? 카발라란? 카발라는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하나 외국에서는 유명 대중 가수 마돈나나 한때 미 프로야구 최고의 대스타였던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이 종교에 빠졌다고 알려져서 유명세를 탄 유대 신비주의이다. 사실 카발라는 그 역사가 오래 되었음에도 국내에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해석한 이렇다할 관련 논문이 별로 없었다. 더구나 카발라의 창조론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은 전무한 형편이다. 아마 이교적 색깔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하지만 성경의 하나님은 풍성하신 분이시다. 성경은 우리 인간의 눈과 귀를 억지로 막아버리는 옹졸한 구석으로 몰아넣지 않는다. 하늘과 땅의 하나님이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창조하신 하나님이다. 신비주의는 아니나 신비적인.. 더보기 사람들은 왜 이단과 사이비들에 잘 속을까? 사람들은 왜 이단과 사이비들에 잘 속는 것일까? 착각을 즐기는 인간(?) 인간은 가끔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는 현상이나 정보에서 어떤 특정한 규칙성이나 연관성을 찾아내고 의미를 부여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같은 인식 작용을 나타내는 심리학 용어를 아포페니아(Apophenia)라고 한다. 1958년 독일의 정신병리학자인 클라우스 콘라드(Klaus Conrad)가 맨 처음 사용한 개념인데, 사람은 이 같은 집착 가운데서 감정적 오류를 범하게 된다. 아포페니아(Apophenia)는 인류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였으나 인간 인지(認知)와 사고(思考)의 오류와 착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해 왔다. 불분명하고 불특정한 현상이나 소리, 이미지 등에서 특정한 의미를 추출해내면서 나타나는 착각과 오인(誤認) 등을 .. 더보기 ‘유신진화론 비판과 성찰’에 대한 논평 ‘유신진화론 비판과 성찰’에 대한 논평 *본고는 기독교학술원(원장 김영한 박사)이 지난 6월 3일(금) 온누리교회에서 개최한 발표회에서 이은일 박사(창조과학회 회장)가 발표한 내용에 대한, 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덕영 박사의 논평이다. 발표 특성상 지면 제한으로 일부 누락됐던 내용을 보강하였다. 1. 논평을 시작하며 기독교는 초월(超越)과 내재(內在)가 역동적으로 소통하는 종교다. 창조과학은 주로 내재의 재료를 가지고 초월의 창조를 증거하려는, 과학도 중심의 신앙 학문이다. 창조과학은 과학 기술이 국내 산업화를 주도하며 과학을 등에 업은 무신론적 진화론이 한국 사회 주류를 형성하던 시대에, 보수 기독 과학자들이 창조신앙을 수호하며 기독교를 옹호하는 험증(驗證)적 운동의 상징적 위치를 확보한 면이 있다... 더보기 악에 대해 선지자들은 어떻게 반응했나(모세와 하나님의 선지자들) 악에 대해 선지자들은 어떻게 반응했나 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12) ▲조덕영 박사. 모세와 하나님의 선지자들(1) 1) 세상과 다른 길로 간 선지자들 -세상과 다른 하나님 악은 과연 무엇인가? 과연 무엇이 좋은 것인가? 유대인들에게조차 악의 구별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신탁(信託)의 사람들은 알았다. 그들이 선택한 곳은 이상하게도 늘 세상과 달랐다. 하나님의 신탁으로 아브라함에게서 비롯된 이 이상한 선지자들의 선택지는 늘 세상과 반대였다. 그들은 세상의 중심에서 나와 변방의 좁은 길로 갔다. 출(出) 갈대아 우르, 출(出) 애굽이 그들에게는 출 마귀, 출 지옥의 길이었다. 이 투쟁에 나선 '하나님의 사람들'은 이렇게 스스로 외롭고 좁은 길로 들어가는 선봉장이 되었다. 이 진정한 출애굽은 이 세상에서 .. 더보기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