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

창조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오리겐의 견해 오리겐이 본 창조주 삼위일체 하나님 ▲조덕영 박사. 창조주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은 피조물인 세상이나 인간이나 물질과 어떻게 다른가? 오리겐은 삼위일체 하나님이 비육체적 존재임을 세 번이나 강조한다. 육체는 피조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단어다. 오리겐은 하나님을 육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소개한다. 하지만 성경이 하나님을 빛이라고 했다고 하나님을 이 세상 태양 빛이라고 볼 수는 없다. 성령을 육체로 보는 것도 마찬가지다. 과학기술 시대인 오늘날 성령을 마치 파워풀한 존재로 여기는 만유내재신(萬有內在神)적 성령관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주로 과정신학자들이나 신사도운동가, 일부 오순절주의자들이 성령을 파워 에너지나 불처럼 여겨 안수 행위로 신자들을 쓰러뜨리거나 '불 받으라'는 식으로 인격적 하나님이신 성령.. 더보기
기독교 신학 서론-신학의 중요성(조덕영 교수, 조직신학) 신학은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신학 서론 강의, 조덕영 교수) ​ 본 내용은 신학 강의 첫 수업을 위한 신학 기초 자료입니다. 기독교 신학 서론 조덕영 교수(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 Ⅰ. 神學은 왜 重要하고 必要한가?(Who needs theology?-S. Grenz) 1. 신학이란 무엇인가 1) theology= "theos"(神)+ "logos"(理性, 知慧, 思考) 2) 文字的으로 神學= 모든 인간이 알고 싶어 하는 하나님에 관한 학문 3) 모든 사람은 신학자다(Everyone is a theologian) 사람은 누구나 전제(前提) 가운데 살아간다(“무신론자는 무신론을 전제한 신학자”). ​ 2. 신학은 왜 중요한가 1) 신학과 신학자들에 대한 편견 "Happy is the Christ.. 더보기
개신교 신학의 출발점,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서론 참고자료) 신학함의 출발점,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서론, 강의참고자료) 신학은 하나님의 학문이요 계시의 학문이다. 따라서 그 어떤 학문과도 다르게 아주 독특하고 특별한 학문이다.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1518년(4.26일) 하이델베르그 논박에서 십자가 신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참된 신학의 본질을 보여준다. 즉 이 십자가 신학은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신학을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 그리고 영광의 신학(theologia gloriae)은 주로 루터가 자신의 십자가 신학(theologia crucis)과 대응되는 단어로 사용한 말이다. 루터는 모든 올바른 신학은 십자가의 지혜(sapientia)로부터 온다고 보았다. 즉 참된 신학과 참된 하나님 인식은 특별계시인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보는 것.. 더보기
진화론에 대한 복음주의의 두 관점<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진화론에 대한 복음주의의 두 관점 ▲조덕영 박사. 복음주의는 역사 속에서 다윈의 진화론 문제에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조금 더 살펴보자. 19세기 미국 복음주의자들은 신학자와 적절히 훈련받은 평신도는 가장 중요한 현대 과학의 결과를 성경에 대한 전통적 해석과 조화시켜야 한다고 여겨왔다. 또한 복음주의 지도자들 일부는 과학적 결론을 전통적 기독교 신앙의 변증이 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복음주의자들은 보통 과학이란 "베이컨주의" 혹은 입증된 개별적 사실에서 출발하여 좀 더 보편적인 법칙을 엄밀하게 추론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모든 학문 분야의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제공한다는 믿음을 가졌다. 과학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법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종의 기원(Ori.. 더보기
칼빈은 자연 과학을 어떻게 보았나?<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자연 과학에 대한 칼빈의 이해 적응(accommodation)의 방법 칼빈이 살던 16세기는 과학이 본격적으로 꿈틀대던 시대였다. 무엇보다 코페르니쿠스 사후, 오시안더에 의해 그가 은밀히 주장하던 지동설이 알려져지면서 유럽을 뒤흔들던 시기였다. 하나님의 사람 칼빈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반응했을까? 자연과학 시대를 앞두고 칼빈의 성경 해석방법론은 무엇이었을까? 이것은 기독교 역사에 있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학 해석에 대한 칼빈의 신학방법론 과학의 영역 해석에 대한 칼빈의 방법론은 무엇이었을까? 알리스터 맥그라스는 과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3 가지 칼빈의 공헌이 있다고 하였다. 첫째, 칼빈은 자연에 대한 과학연구에 대해 긍정적 활력을 불어넣은 인물이다. 둘째, 칼빈은 과학 연구의 장애물을 제거.. 더보기
복음주의는 과학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복음주의는 과학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조덕영 박사. 복음주의 어원 복음주의의 어원은 종교 개혁 시대로 올라간다. 복음주의는 독일에서 루터 교인들과 개혁주의자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던 개념이었다. 처음 반개혁주의자들은 개혁주의자들을 루터파 교도(Lutheraner) 또는 마틴파 교도(Martianer)라 불렀으나 1521년 루터는 복음주의자(Evangelisch)라고 고쳐 불렀다. 미국 복음주의 기관지 『오늘의 기독교』(Christianity Today)는 1979년 북미 인구의 20%가 복음주의자들이라고 주장하고 또 조지 갤럽은 30%라고 했다. 침례교 신학자 버나드 램(Bernard Ramm)은 이런 복음주의 안의 갈등을 상세히 잘 서술한 학자다. 그 갈등 가운데는 성경과 과학에 대한 견해차가 포함되어.. 더보기
자연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이 있는가?<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자연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이 있는가? 예수 계시 속의 '베스티기움 트리니타티스'('삼위일체 흔적', Vestigium Trinitatis) 인간은 육체를 가진 피조물이다. 육체라는 제한적 조건 속에서 인간은 초월적 계시를 통해 하나님을 의식할 뿐이다. 계시가 아니라면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인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데 그 인식이란 주로 유비(analogia)를 통해 전해진다. 초월의 하나님이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라면 그 흔적이 피조세계 속에 구현되었을 것이라고 유추하는 것은 자연스럽다(롬 1:20). 토마스 아퀴나스도 창조주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의 원인이기에 그 결과로서 창조 질서 속에는 근본적으로 "하나님과의 유사성"(similitudo)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성육신하신 예수께서도 자.. 더보기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조덕영의 창조신학> [조덕영 칼럼]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 ▲조덕영 박사. 자연 계시에 나타난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 섭리(攝理)는 하나님이 세상을 다스리고 보존하는 방식을 말한다. 성육신과 함께 세상의 제한 속으로 들어오신 예수께서는 섭리의 계시 속에서 구원의 은총으로 나아가기 위한 생애를 사셨다. 즉 하나님 섭리의 영역도 하나님의 창조 세상의 영역에서 구현된다는 면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계시를 전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섭리는 하나님께서 결코 세상을 무심하게 방치해 놓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즉 하나님과 세상을 동일시하는 범신론(汎神論)이나 하나님의 섭리를 부정하는 이신론(理神論)적 접근은 성경적이지 않다. 또한 우연이나 운명론적인 접근도 섭리의 영역이라 볼 수가 없다. 세상은 하나님의 전지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