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

사랑은 어떻게 진행될까?(조덕영 박사의 아가서 아포리즘 2) 사랑은 어떻게 진행될까?(조덕영 박사의 아가서 아포리즘 2) 사랑이 시작 되면 타는 목마름처럼 갈증과 갈망이 넘쳐나고 고백적 칭찬과 기쁨이 솟아난다. 알 수 없는 자신감이 넘쳐나고 표현과 관심이 증폭된다. 그렇다면 그 사랑은 어떻게 진행되어 갈까?​"여인 중에 어여쁜 자야 네가 알지 못하겠거든 양 떼의 발자취를 따라 목자들의 장막 곁에서 너의 염소 새끼를 먹일지니라 내 사랑아 내가 너를 바로의 병거의 준마에 비하였구나 네 두 뺨은 땋은 머리털로, 네 목은 구슬 꿰미로 아름답구나 우리가 너를 위하여 금 사슬에 은을 박아 만들리라"(아 1:8-11)​1) 사랑은 함께 하며 진행해 간다(8절)​(1) 양떼의 발자취를 따라 양과 목자가 함께하듯 사랑은 역사성을 가진다. 목자와 양처럼 그렇게 사랑은 함께하며 둘만.. 더보기
출애굽기는 어떤 책이고 누가 썼나 멜랑흐톤의 서재©비텐베르크 멜랑흐톤하우스/조덕영 출애굽기Exodus​출애굽기는 어떤 책인가"출발, 나감, 탈출의 책"​1. 저자: 모세1) 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은 본래 한권의 책2) 전통적 견해는 모세​2. 제목:​1) 히브리어 원제= "웨엘레 쉐모트"= "그리고 이것들은 ---의 이름들(애굽에 내려간 12명의 야곱 아들들) 이니라"2) 우리들이 "엑소더스"(Exodus)라 알고 있는 출애굽기 이름은 애굽의 알렉산드리아에 체류하던 유대인들이 히브리어 성경을 헬라어 역본(Septuagint, 일명 70인역 성경)으로 만들면서 헬라어 "엑소더스"로 표기한 데 기인합니다.3) 이후 라틴어 성경, 영어 성경 등에서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우리 한글 개혁 개정 성경에까지 의역하여.. 더보기
예수님은 성경전문가 서기관들과 왜 대립하셨나? 성경 전문가 서기관(書記官, Scribes)과 예수님​예루살렘에서 상당한 부와 지위를 누리던 마리아의 아들(행 12:12)이요 바나바의 조카였던 요한 마가가 기록한 마가복음은 예수님을 종으로 오신 분으로 묘사합니다. 성경 전문가 서기관들이 종의 모습으로 오신 예수님과 대립한 것은 필연이었을까요?서기관들이 보기에 종으로서의 예수님 행적은 신성모독으로 보일만큼 심각한 것이었습니다. 15년만에 마가복음을 다시 강해하면서 이 서기관과 예수님에 대한 기록들을 살펴보면서 과거 질문에 답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서기관들은 왜 예수님과 대립하였는 지를 살펴봅니다. ​성경에 대한 서기관들의 특권 ​1) 인쇄술이 발달하기 전 성경을 접한다는 것은 대단한 특권이었다. 성경은 아무나 접할 수 있는 책이 아니었다. 인쇄술이 발달하.. 더보기
요한계시록 해석에 관한 창조론적 관점(허정윤 박사) 오메가 창조론 연구(1)요한계시록 해석에 관한 창조론적 관점​Ⅰ. 들어가는 글허정윤 박사 창조론은 성경에서 창조주이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 사역에 관한 기록을 논의하는 것이다. 성(聖)삼위의 한 분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는 요한계시록에서 3번이나 자신을 “알파와 오메가”라고말씀하시면서 그 뜻을 직접 설명하셨다. “이제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자요 전능한 자라”(1:8), “처음과 마지막이라”(21:6), 그리고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22:13) 등의 말씀으로. 여기서 알파(A)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첫 글자이며, 처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메가(Ω)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마지막 글자이며, 마지막이라는 뜻을 가진다. 따라서 오메가 창조론이라는 말은 알파와 오메가이시며 전능하신 분의 마지.. 더보기
성 어거스틴의 창세기 해석(1) 성 어거스틴(354-430)의 창세기 해석The earliest known portrait of Augustine in a 6th-century fresco, Lateran, Rome/wikipedia1. 어거스틴은 누구인가"나의 모든 소망은 오직 당신의 긍휼에 의지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시는 바를 행하소서!" -어거스틴- 기독교가 배출한 가장 탁월한 사상가! ​1) 어거스틴의 생애와 당시 상황 ​(1) 출생= 354년 11.13일 북아프리카에서 출생 (2) 당시 로마의 식민지에서 가난한 로마 시민권자의 아들 (3) 어머니 모니카는 열성적 기독교인 (4) 카르타고에서 수사학과 라틴어를 배우다. (5) 카르타고에서 방탕한 생활 시작(372년 첫 아들 Adeodatus 탄생) 6) 신흥종교 마니교에 .. 더보기
사도 바울의 신앙과 신학, 기본 특징(바클레이) 1. 윌리엄 바클레이는 누구인가​1) 신약학자 윌리엄 바클레이(William Barclay)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의 대표적인 학자이다.2) 글래스고우 대학(평택대 부총장을 역임한 신현수 박사가 수학한 대학)과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수학하였다.3) 1947년부터 글래스고우 대학에서 신약과 성서비평학을 교수한 신약학자였다.​사도 바울의 모자이크-데살로니키 교회의 전시물©조덕영 2. 신약학자 윌리엄 바클레이가 본 바울​1) 두 세계의 사람-유대인​(1) 기독교는 유대교 안에서 자랐다.(2) 세상은 유대인들을 미워했고, 유대인들은 세상을 미워했다.(3) 유대인은 '야만스런 미신'(키케로, Pro Flacco 28)(4) 유대민족은 '가장 하찮은 민족'(Tacitus, Histories 5:8)(5) 선민.. 더보기
랍비들이 말하는 토라, 창세기 이야기(변순복 박사 편역) 창세기(창조) 해석에서 불거진서울 신대 박영식 교수 문제가범 기독교의 관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창세기는주전 수천년 전부터 해석에 있어 유대 랍비들의 전유물이었고,주후에도 여전히 유대교와 기독교간 공유된 계시다.​유대교의 랍비들은 이 창세기와 과학의 문제를 어떻게해석하고 평가하고 있을까?이 책은 이미 2000년대 초반출간된 책이다.하지만창세기 창조 논쟁이 벌어진 작금의한국기독교 사태에모세에게 내려졌던여호와 하나님의 계시에 대해 랍비 교육을 받고 랍비 해석을 연구한 변순복 교수의 해설이 담긴 아주 유익한 책으로를강력히 추천한다.​토라란 무엇인가?​'토라'란 '길을 지시하다', '교훈하다'라는 뜻을 가진유대인들의 성경의 처음 다섯 권, 즉 오경(창세기/출애굽기/레위기/민수기/신명기)으로서 지혜의 보고일뿐 .. 더보기
과학으로 창세기 1장을 해석하면 안 되는 이유-노아와 아브라함과 모세의 언어는 달랐다(창세기 1장 해석의 딜레마) 노아와 아브라함과 모세의 언어는 달랐다(창세기 1장 해석의 딜레마) 출애굽한 모세 일행이 거처간 와디 럼의 암각화©조덕영 히브리 성경 이전의 언어는 무엇이었을까? ​ 인류 최초의 언어는? ​ 언어는 어디서 왔을까? 성경은 에덴 동산에 이미 아담과 하와에게 계시된 언어가 있었다고 기록한다. ​ 그렇다면 성경 토라의 언어(히브리어) 이전에도 문자가 있었을 것 아닌가? 그렇다. 인류가 지금까지 확인한 가장 오래된 문자와 언어로는 히브리어 이전 수메르의 설형문자(쐐기문자)와 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있었다. 이 가운데 세계 최초의 문자 발명 증거가 노출된 곳은 고대 수메르 도시 우륵(현재의 Warka; 성경에서는 Erech, 창 10:10)이었다. ​ 물론 이 학문적 성과가 곧바로 최초의 인류 문명 언어를 찾았음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