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의 이슈들/건강과 식품과 치유

프로야구 역대 최고 선수, 최동원-장효조의 안타까운 사망, 유산소-무산소 운동 생화학의 비밀 장효조와 최동원, 이들은 왜 일찍 생을 마감했을까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한국 프로야구는 국내 최고 인기를 달리는 스포츠다. 한해 연인원 1천 만명 가까운 관중이 야구장을 찾는다. 따라서 과거, 좋은 체격과 최고의 운동 능력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야구에 입문하였다. 프로야구의 연륜은 이제 어느 덧 30년이 되었다. 그런데 최근 최고 인기 스포츠 종목인 프로야구는 30년 프로야구 사상 최고의 투타 선수였던 두 사람을 며칠 사이를 두고 한꺼번에 잃는 큰 아픔을 겪었다. 아직도 왕성하게 사회생활이 가능한 인기 운동의 최고 체력왕들이었던 이들이 이렇게 힘없이 암으로 쓰러진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전문가들이 음주와 흡연과 막심한 스트레스를 그 원인으로 들고 있다. 또한 둘다 최고 기량의 선수들이었으나 야구 선수 .. 더보기
된장에서 강력 발암물질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33개 제품 된장에서 강력 발암물질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33개 제품 과거 1970년대 이화여대 교수였던 이모 교수께서 우리 토속음식 된장 속의 아플라톡신을 걱정하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동대 식품생명공학과 신현길 교수께서도 생전에 필자에게 개인적으로 된장 속 아플라톡신의 함량을 심각하게 걱정하던 기억이 난다. 아플라톡신은 진균(眞菌, fungi)의 일종인 곰팡이의 유독 대사산물이다. 1960년대 영국 남부 및 동부 지방에서 10만 마리 이상의 칠면조가 폐사하면서 알려진 이 아플라톡신은 오리, 꿩, 등에서도 높은 치사율을 기록했고 인간에게는 강력 발암(특별히 간암) 물질이다. 곰팡이 독소이기에 일반 식품과 같은 가공 처리로도 파괴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쌀, 보리, 옥수수 그리고 특별히 땅콩.. 더보기
고마운 감자, 놀라운 항산화 효과까지 고마운 감자, 항산화 효과까지 대한민국 성인 중 감자에 대한 추억 한두 가지 없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아마 당연히 없을 것이다. 감자는 그만큼 우리 삶의 정서와 아주 가깝게 함께하여 왔다. 감자는 세계인이 즐기는 가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감자를 한자로는 북저(北藷)·토감저(土甘藷)·양저(洋藷)·지저(地藷)라 하는 데 북저라 부른 것은 남저인 고구마에 대응하는 이름이었다. 그만큼 감자와 고구마는 우리에게 아주 가까운 식물로 자리 잡고 있다. 감자의 한반도 전파 하지만 감자가 한반도에 들어온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감자의 원산지는 칠레·페루 등 남아메리카로 알려져 있으나 오늘날에는 전 세계인이 즐기는 식물이 되었다. 우리나라에 전래된 경로에 대해서는 북방설과 남방 선교사설이 있다. 전래된 .. 더보기
우리가 즐겨 마시는 커피, 어디서 수입되고 있을까? 우리가 즐겨 마시는 커피, 어디서 수입되고 있나? 식약처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이 즐겨 찾는 기호식품인 커피는(‘01~’11년) 수입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83개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38%), 브라질(15%), 콜롬비아(11%)로 이들 3개국이 전체 커피 물량의 64%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커피는 크게 원두(농산물)와 가공커피 (볶은커피, 인스턴트커피, 조제커피, 액상커피)로 나눈다. ▲볶은커피(커피 원두를 볶은 것 또는 이를 분쇄한 것) ▲인스턴트커피(볶은커피의 가용성추출액을 건조한 것) ▲조제커피(볶은커피 또는 인스턴트커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혼합한 것) ▲액상커피(볶은커피의 추출액 또는 농축액이나 인스턴트커피를 물에 용해한 것 또는 이에 당류, 유성분, 비유크.. 더보기
카페인 함량 높은 커피는?, 커피전문점 커피가 가장 높아! 카페인 평균 함량, 커피전문점 커피가 가장 높아! - 국내 유통 중인 ‘에너지 음료 등’ 카페인 함량 조사결과 발표 - 식약처(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 따르면 국내 유통 중인 대표적인 카페인 함유 제품인 에너지 음료, 액상커피, 커피전문점 커피, 커피믹스 등 조제커피, 캡슐커피 제품 등에 대해 카페인 함량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제품이 고카페인 함유 제품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카페인 함량이 1mL당 0.15mg 이상 함유한 고카페인 함유 제품은 내년부터 고카페인 함유 제품임과 총 카페인함량(mg)을 표시해야 하고, 또한 어린이나 임신부 등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의 경우 섭취를 자제토록 하는 주의문구도 제품에 의무적으로 표시된다. 조사결과 1mL(1회 제공량) 당 카페인 평균 함량은 국내 유통 중인 에너지음.. 더보기
커피가 당뇨에 좋다고?(항 당뇨 효과), 인스턴트 커피(일명 커피 믹스)도? 커피의 항 당뇨 효과, 인스턴트 커피(일명 커피 믹스)는? 바리스타가 되신 모 목사님이 운영하시는 시골 모 카페서 커피의 매력 ​ 조금은 쌉싸레하면서도 전혀 약처럼 느껴지지는 않고 향긋한 방향(芳香)물질임은 분명한데 일반 향수나 향료는 분명 아닌 물질, 이것이 커피의 야릇한 매력이다. 이제 커피는 온 세계인의 기호식품이 되었다.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권오란 교수팀이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1만1201명(남 4483명, 여 671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영양과 건강 저널’, 2019년 2월) 한국인의 평균 커피 섭취 빈도는 2008년 주 9회에서 2015년 주 12회로 늘었다. 권 교수는 “우리 국민은 인스턴트커피 분말에 설탕과 크리머 등 3종류의 재료가 섞인 3-i.. 더보기
(커피) 카페인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커피) 카페인, 참 나쁜 물질인가? 카페인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카페인에 대한 오해 카페인에 대해 사람들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카페인을 마약이나 무슨 엄청난 유해 물질처럼 여기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다. 그만큼 카페인에 대한 오해가 많다. 과연 그럴까? 최근 카페인을 인위적으로 첨가한 음료 제품들의 국내 유통량이 증가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섭취하여온 카페인은 커피 콩, 차 잎, 코코아 콩, 콜라나무 열매, 과라나 등에 존재하는 천연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안전한 물질(GRAS, Genarally Recognized as Safe)로 분류하고 있다. 카페인은 무엇인가 식품화학적으로 보면 카페인은 식품의 특수성분인 일종의 알카로이드(Alkaloid)이다. 알카로이드란 식물체에만 존재하며 화학구조상 이환(異.. 더보기
커피 믹스 유해 논쟁(식품첨가물을 둘러싼 다툼을 보며) 커피 믹스를 둘러싼 식품 회사들의 광고 전쟁을 보며 우리나라에서 식품위생법 상 커피 판매가 합법화 된 것은 1969년(9. 29일. 특정 외래품 판매금지법 시행령)이었다. 이때 한 식품회사가 발 빠르게 미국 제너럴푸드사의 커피 제조 기술을 도입해 커피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무슨 이유 때문인지 정부는 커피 원료 수입을 1986년까지 자유화하지 않고 상공부 장관으로부터 별도의 수입 승인을 받은 회사만 수입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이 회사는 15년 동안 커피 원료 수입을 독점하여 가만히 앉아서 떼돈을 벌게 되었다. 이런 독점적 권리로 재벌이 된 회사가 어디 이 회사뿐이겠는가! 최근 커피 관련 시장은 춘추전국 시대를 맞고 있다. 이 와중에 한 회사가 자신들의 제품에는 ‘카제인 나트륨 대신 무지방 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