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신학

인류는 한 혈통, 족보의 책 성경(조덕영)

728x90

인류는 한 혈통

 

사람들이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성경에 대해 간과하는 사실이 한 가지 있다. 바로 성경이 족보의 책이라는 점이다. 성경은 최초 사람 아담과 하와 창조(1:27-28/27-25)로부터 시작해 타락으로 인한 이들 부부의 에덴동산 추방 사건(3) 그리고 아담의 자녀 가인이 동생 아벨을 죽인 최초 살인 사건을 다룬다(4).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 부부에게 죽은 아벨 대신 새 아들 셋을 주었다(4:25-26). 이들 가인과 셋은 각각 자녀를 낳았는데 가인의 아들 이름은 에녹(“시작의 뜻”)이요 셋의 아들 이름은 에노스(“<인간은 구제 불능으로> 치유될 수 없다는 뜻)였다. 아담이 셋을 낳았을 적 나이가 130세였으니 이미 가인과 셋뿐 아니라 이들이 결혼하여 생육하고 번성할 수 있을 만큼 아담의 다른 후손들도 많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창세기 5장도 아담과 그 아들 셋으로부터 노아와 그 아들 셈과 함과 야벳에 이르는 족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성경 초반부는 창세기 1(27-28)부터 5장까지 모두 한 혈통으로부터 시작된 인류 족보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한 셈이다.

 

 

족보의 책 성경

 

의인 노아 가족까지 이어진 이 족보는 창세기 9-11장에서 홍수 이후 인류 분산 족보를 소개한다. 그리고 신약의 첫 책 마태복음은 아담과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족보로 시작하여 누가복음(323-38)에서는 역으로 예수로부터 아담과 하나님까지의 족보를 소개한다. 즉 성경은 인류의 육적 족보로 시작하여 어린양(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책(3:5, 13:8, 17:8. 20:12, 20:15, 21:27) 족보로 마치는 한 책의 계시인 셈이다.

 

과거 일부 부흥사들은 성경 신약 첫 책 마태복음을 읽다가 지루한 족보로 시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책을 덮어버렸다는 설교를 마치 무슨 무용담처럼 하곤 했다. 성경을 전혀 모르는 무식의 소치였다. 성경이 육적 족보와 영적 족보의 책이기에 사실 족보 설교는 대단히 중요하다. 족보 설교를 잘해야 비로소 성도들은 성경의 진수를 맛볼 수 있게 된다.

 

한민족은 세상 어느 민족보다 각 성씨별 족보 체계가 잘 정리되어 있는 민족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이 성경의 육적 족보와 영적 족보 속에 담긴 메타포와 직설을 잘 이해하고 복음을 큰 저항 없이 수용한 것은 분명 우연이 아니었다. 사도 바울도 이 인류 족보와 관련하여 설교를 한 적이 있다.

 

 

은혜 시대에는 혈통적 이스라엘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소아시아 지방을 선교하던 사도 바울은 어느 날 밤에 마케도니아 사람이 도움을 청하는 환상을 체험한다. 사도 바울은 이방인을 위한 사도로 부르심을 입었지 않았던가. 복음에는 이스라엘이든 이방인이든 차별이 없다. 바울은 기꺼이 유럽으로 건너와 마케도니아 지경의 첫 성읍 빌립보에 유럽 첫 교회를 세운다. 그리고 바울과 일행은 암비볼리와 아볼로니아를 거쳐 마케도니아의 중심 도시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을 전한 다음 내륙 베뢰아를 지나 다시 바닷가로 내려와 아테네로 입성한다.

 

아테네서 실라와 디모데를 기다리던 바울은 우상이 가득한 도시 아테네를 보며 크게 격분한다. 그래서 아테네 회당의 유대인들과 경건한 이방인들 그리고 에피큐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의 사람들과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바울이 예수와 부활의 기쁜 소식을 전했기에 그들은 아레오바고 광장으로 바울을 데리고 가 더 자세한 내용을 듣기를 원했다.

바울의 아레오바고 연설문

이때 사도 바울은 아레오바고 광장에서 그 유명한 연설을 행한다. 이 진술 가운데는 중요한 몇 가지 핵심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1) 아테네 사람들의 종교성이 많은 점(행 17: 22) (2) 창조주 하나님의 존재(행 17:24-25) (3) 창조주 하나님은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심(17: 26) (4) 우상의 헛됨(17:29) (5) 과거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 허물치 아니하셨으나 이제 심판이 선포 되었기에 부활의 주님을 믿고 회개해야 함(17:30-31) 등이다.

 

이 예수 부활의 복음을 듣고 일부는 조롱하였으나 일부는 믿고 디오누시오와 다마리라는 여자와 또 다른 사람들이 복음을 받아들였다(17:32-34). 아테네의 첫 신자들이었다. 이제 복음은 혈통적 이스라엘의 것만이 아니었다. 복음 앞에 한 혈통인 우리 인류는 모두 동등하다. 남녀노소, 빈부귀천, 민족적 차별이 없다. 다만 시간과 땅의 경계를 따라 모든 열방과 열국을 향해 주신 복음의 소명이 있을 뿐이다.

아테네대 본관에 있는 사도 바울의 아테네 선교 장면

예수님은 모든 족속과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 하셨다. 이 말씀을 따라 헬라의 핵심 아테네까지 입성한 사도 바울의 아레오바고 연설은 참으로 명 설교였다. 이후 바울이 분노했을 만큼 우상 도시였던 아테네는 많이 변했다. 제우스, 파르테논 등 신전들은 폐허로 변했고 반면에 오늘날 아테네 학술원 양편으로는 아테네대학 본관이 있어 그리스 역사로 시작하여 사도 바울이 복음을 전하는 벽화가 그려져 있고 다른 편으로는 디오누시오 기념교회가 보인다.

 

오늘날 아레오바고 언덕에는 사도행전 17장 말씀을 기록한 작은 비가 새겨져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여행객들은 폐허가 된 거대한 신전에는 관심을 보이고 감탄하나 말씀(사도행전 17장)의 돌판은 그저 스치듯 지나갈 뿐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마음이 아프고 바울의 분한 심정이 이해가 갔다.

 

조덕영(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