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거스틴

삼위일체론(교리)의 역사(초대 교회와 교부들) 삼위일체론(교리)의 역사 ​ 1. 이레네우스(130-200): 1) 폴리캅 제자, 최초 조직신학자 칭호, 영지주의 반대, 삼위일체 교리의 기초 2) 영지주의와의 투쟁 가운데 창조주 하나님과 관련하여 삼위일체론 전개 3) 이레니우스의 삼위일체론적 중재론(참조: 박찬호 교수) (1) 이레니우스는 기독교적 구원 개념을 적절한 창조 신학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이해. 이레니우스는 영지주의라고 하는 이름 아래 묶어질 수 있는 그러한 이단들의 형태를 통해 그 자신 직면하게 된 위기 가운데 창조론에 관한 그의 위대한 공헌. 영주의에 대항하여 이레니우스는 구원을 성육신의 결과로 보았다. (2) 건톤이 본 이레니우스의 관심사 두 가지 첫째, 물질을 포함하여 하나님에 의하여 창조된 모든 것이 선하다. 두 번째, 이레니우.. 더보기
삼위일체(고후 13:13)론(신론 5) 삼위일체(고후 13:13)론 ​ 하나님 안에는 세 인격(人格;three persons in one God)이 계십니다. 이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의 근본 진리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창조주가 아닌 피조물이기에 하나님에 대한 이 교리는 영원히 신비한 교리로 믿음의 영역에 속한 교리입니다. 이 삼위일체 교리의 신비에 대해서 배웁니다. ​ ​ 1. 삼위일체는 무엇을 말할까요? ​ 1) 하나님은 그 신격에 있어 삼위로 계시는데 바로 성부성자성령입니다. 2) 삼위는 한 하나님이요 본체는 하나이고 영원하시며 권능과 영광이 하나입니다.(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 제 2장 3항). 3) 성부는 스스로 계신분이며 어디로부터도 나오거나 유출된 분이 아닙니다. 성자는 영원토록 성부에서 탄생하시고 성령은 영원토록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 더보기
하나님은 완전하신 데, 악은 어디서 왔는가?-오리겐의 창조론 악은 어디서 왔는가?-오리겐의 창조론 “확실한 것은 악이 선의 결핍이라는 점이다” ▲조덕영 박사 악의 문제에 접근한 최초 신학자 세상에 다양한 악이 존재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세상과 인간은 역사 속에서 늘 끔찍한 시련과 고통 가운데 악을 경험하여 왔다. 세상과 인간의 역사는 도덕적, 자연적, 사회적 악 속에 몸부림을 치며 문화와 문명을 만들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모순으로 보이는 선하신 하나님과 악의 공존 문제는 신정론(神正論)의 끝없는 논쟁거리이다. 만물의 창조주 하나님이 완전하신 존재라면 과연 악은 어디서 왔단 말인가? 오리겐은 신학자로서 악의 문제를 가장 먼저 본격적으로 접근한 기독교 신학자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이 악의 창시자(auctor peccati)일 수.. 더보기
성령은 어떤 분이신가-성령론(Pneumatology)의 초기역사(성령론 제 2강) 성령론의 초기 역사(제 2강) 성령은 어떤 분이신가-성령론 (Pneumatology) ​ 조덕영 ​ 1. 제 1강 서론(신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신학은 왜 필요한가?) 종교개혁의 3인물(좌로부터 칼빈, 루터, 멜랑흐톤, 멜랑흐톤 하우스에서) Theologia est infinita sapientia quia nunquam potest edisci. 신학은 무한한 지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교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 ​ 2. 제 2강 성령론의 초기 역사 ​ 바른 성경적 성령론을 위하여 ​ 1) 성경적 성령론 만큼 난해하고 학자들마다 일치되지 않는 분야도 드물다. 2)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역사하시며(루터) 우리 인간은 삼위일체가 아니기에 하나님의 본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이 불가하다.. 더보기
자연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이 있는가?<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자연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흔적이 있는가? 예수 계시 속의 '베스티기움 트리니타티스'('삼위일체 흔적', Vestigium Trinitatis) 인간은 육체를 가진 피조물이다. 육체라는 제한적 조건 속에서 인간은 초월적 계시를 통해 하나님을 의식할 뿐이다. 계시가 아니라면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인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데 그 인식이란 주로 유비(analogia)를 통해 전해진다. 초월의 하나님이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라면 그 흔적이 피조세계 속에 구현되었을 것이라고 유추하는 것은 자연스럽다(롬 1:20). 토마스 아퀴나스도 창조주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의 원인이기에 그 결과로서 창조 질서 속에는 근본적으로 "하나님과의 유사성"(similitudo)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성육신하신 예수께서도 자.. 더보기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준 신플라톤주의란?(플로티누스, 오리겐 그리고 성 어거스틴)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준 신플라톤주의란 무엇인가?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성경 해석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성경은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구약 성경과 그리스도의 탄생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과 그 이후의 복음 전파에 대해 기록한 신약 성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시의 책인 이 성경은 한 가지 언어가 아닌 특정한 민족인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히브리어와 팔레스틴에서 널리 사용되던 아람어 그리고 예수님 당시 글로벌화 된 언어였던 헬라어 등으로 기록되어져 있다. 언어는 그 말을 사용한 사람들과 그들이 살던 지역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한다. 성경이 단순한 책이 아니라 반드시 바르게 해석되어야 하는 책이라는 것은 바로 이 같은 언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사람은 자신이 사는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떠나서는 살 수 없기 때문.. 더보기
복음주의 과학관의 세 가지 요소(조덕영 교수) 복음주의 과학관의 세 가지 요소(강의 자료 5, 조덕영 교수) 복음주의 과학관의 세 가지 요소 1) 성경: 복음과 초대 교회 성경이 증거하는 창조와 창조주에 대한 초대 기독교의 믿음은 확고하다. 창조주는 우주와 역사의 통치자요 주관자이다. 이것은 플라톤(Platon)이 말하는 ‘선의 이데아’나 플로티누스(Plotinus)가 말하는 선을 뛰어넘는 ‘초 본질적 존재’와도 다르다. 인격을 지닌 주권자이다. 물론 이것은 성경으로부터 나온 교리이다. 그러므로 복음주의 과학관은 성경 없이 창조주와 자연으로 나아가려는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으로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 하지만 교회는 성경이 계시하는 증언을 기초로 이 창조주가 세상을 무로부터 창조(creatio ex nihilo)했음을 인정하여 왔다... 더보기
창세기 1장 해석은 기독교의 전유물인가?(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3) 창세기 1장 해석은 기독교의 전유물인가?(창세기 1장 해석의 딜레마 3) 창세기 1장,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3) ​ 초기 성경들 해석은 기독교의 전유물인가? 성경 고고학자들은 유대교, 로마 가톨릭, 그리스 정교, 아르메니아 정교, 조지아 정교, 콥트교, 프로테스탄트, 이슬람 등 다양한 신앙적 배경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학자들은 자신들의 신앙과 신학, 고고학적 발견 그리고 토라의 히브리어 사본들과 다양한 역본들 사이에서 서로 간에 해석의 단절 현상을 겪는 경우가 많다. ​ 특별히 창세기 1장의 경우 바로 필자가 지적한 인류 타락에 따른 "우주적 붕괴와 에덴동산 추방", 지구적 대격변을 초래한 "창세기 대홍수사건"과 홍수 이후 "바벨탑 인류 언어 혼잡"이라는 3 가지 결정적 사건 이외에도 창세기 1장 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