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과학, 과학적 방법, 과학철학(창조론과 진화론 12강, 조덕영 교수) 과학, 과학적 방법, 과학철학(창조론과 진화론 12강) 1. 과학 ​ 1) 과학이란 무엇인가 (1) 라틴어 「Scientia」는 사람의 지식을 말한다. 이 라틴어에서 영어의 「Science」가 유래하였다. 19세기 말 이 말을 일본 사람들이 ‘과학’(科學)이라 번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이를 통해 과학도 인간이 가진 하나의 지식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따라서 그 지식 체계가 어떤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과 그것이 종교의 지식체계와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는가를 해석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4) 성경이든 과학적 데이터든 모두 해석을 통해 산 의미를 갖는다는 면에서 오늘의 컨텍스트 아래에서 이 둘이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 지를 다루는 것은 분명 의미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더보기
논리실증주의, 반증가능성, 상대주의, 토마스 쿤 그리고 창조론과 진화론(12-2강) 3. 과학 철학 ​ 1) 논리실증주의 ​ (1) 논리적으로 검증되지 않는 일체의 주장 무시 (2) 1920년대부터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독일, 오스트리아, 영국, 미국 등에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 철학 사조. 논리 경험주의(Logischer Empirismus)와 비슷한 말로 쓰이기도 한다. (3) 오스트리아의 빈을 중심으로 결성된 빈 학파(Wiener Kreis)가 대표적. ​ 2) 반증가능성 ​ (1) 칼 포퍼 (2)논리 실증주의를 낡은 이론으로 만듬 ※ 반증 가능성(反證可能性, Falsifiability)이란? ​ 칼 포퍼(Karl R. Popper, 1902. 7.28- 1994. 9.17) ​ (1) 반증 가능성이란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 방식 가운데 하나입니다. 즉 어느 가.. 더보기
삼위일체 교리는 교회가 스스로 공식화한 것이 아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교회가 스스로 공식화한 것이 아니다 제4장: 삼위일체 하나님(Deus Triunus, Trinitas) ​ 제1절 삼위일체 교리 그리스도교의 근본 교리는 삼위일체 교리이다. 유일한 하나님이 세계의 창조와 섭리 그리고 구원사역과 교회 설립과 보존의 과정에서 자신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 세 위격으로 계심을 계시하셨다. 세상에 대해서 자신을 유일한 신적 존재로 계시하신 하나님이 내적 존재방식에 있어서는 세 위격으로 계신다.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은 세 위격이셔도 동일하고 참되신 하나님이시다. 세 위격이 한 하나님이신 것은 실체가 하나이고 동일하고 분할 불가하기 때문이다. 한 하나님이 세 위격으로 존재하심의 방식은 인간의 이성으로는 영원히 탐구할 수 없다. 영원세계에서도 탐구할 수 없다. 오직 믿.. 더보기
‘가야는 최초 기독교 국가였나?’조덕영 박사, 창조론온라인포럼서 강연 ‘가야는 최초 기독교 국가였나?’ 조덕영 박사, 19일 창조론온라인포럼서 강연 기독일보 장지동 기자(zidgilove@cdaily.co.kr) 조덕영 목사 ©창조신학연구소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가 19일 오후 제32회 창조론온라인포럼에서 ‘가야는 최초 기독교 국가였나?’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조 박사는 “과거 역사가 왜 중요한가? 창조 신앙을 역사와 연결하는 작업은 기독교 신앙에서 굉장히 중요하다”며 “하나님의 섭리론을 다룰 때, 하나님의 경륜이 역사 속에서 일어나며, 과거와 현재와 미래는 우리의 신앙에 있어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고 했다. ​ 이어 “성경과 역사 연결은 중요하다. 그 이유는 먼저, 성경 창조 신앙을 변증해야 하며, 둘째로 성경의 역사성을 변증해야 하고, 셋째로 홍수 이전.. 더보기
이문선 목사의 <두루제자양육 컨퍼런스>를 소개합니다 이문선 목사의 를 아시나요? 이문선 목사(창대교회) 15기2차 세미나 소감 요약 ​ *시간 시간마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피 끓는 열정과 열심으로 그리고 간절하고 절박한 목사님의 심정이 느껴지는 시간들이었습니다. ​ 특별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었던 교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경적인 지식과 목사님의 목회철학에 많은 도전을 받았고 인사이트를 얻는 시간이었습니다. ​ 송이 꿀보다 더 단 하나님의 말씀을 경험케 하신 목사님께 감사드립니다. ​ *어떻게 하면 교회를 건강하게 만들까 고민하던 나에게 두루제자 교재는 사막에서 샘을 찾은 것처럼 기쁩니다. *반드시 교회에서 행해야 할 공부입니다. 지금까지 맞추지 않았던 퍼즐이 맞추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제적인 목회의 지침을 .. 더보기
슬픈 성모 카트린 드 메디시스(1519년 4월 13일 - 1589년 1월 5일)는 프랑스의 왕비이자 섭정을 한 사람이었다. 카트린은 유럽 명문가 출신의 아버지 우르비노 공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와 부르봉가의 피가 흐르는 어머니 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의 딸로 본명은 카테리나 마리아 로물라 디 로렌초 데 메디치(이탈리아어: Caterina Maria Romula di Lorenzo de' Medici) 간단하게 카테리나 데 메디치)였다. 그가 조각가 Germain Pilon 에게 부탁해 제작한 작품이 바로 대리석의 La Vierge de douleur(슬픈 성모)였다. 더보기
성령님은 누구인가-성령론(Pneumatology) 기초 성령론 (Pneumatology) ​ 조덕영 종교개혁의 3인물(좌로부터 칼빈, 루터, 멜랑흐톤, 멜랑흐톤 하우스에서) ​ Theologia est infinita sapientia quia nunquam potest edisci. 신학은 무한한 지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교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 ​ 1. 성령론의 중요성(에릭슨) ​ 1) 성령은 삼위일체가 우리 안에서 활동하시는 삼위일체의 특별한 위격이다. 2) 중요한 두번째 이유는 성령이 다른 삼위일체의 위격의 활동보다 더 두드러진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3) 현재의 문화가 경험적인 것을 강조하고 있고, 또한 우리가 하나님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 일차적으로 그를 통해서라는 사실이다. ​ 2. 성령 이해의 난점들 ​ 1) 성령에 .. 더보기
바스티유 광장Place de la Bastille의 야경 바스티유 광장의 밤 풍경 바스티유 광장 Place de la Bastille 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광장이다. 4구, 11구, 12구에 걸쳐 있으며 광장 주변 지역은 단순히 바스티유라 불린다. ©조은선 원래 바스티유 감옥이 있던 곳이지만, 1789년 7월 14일에 프랑스 혁명의 발단이라고도 할 수 있는 바스티유 감옥 습격 사건이 발생하여 해체되었기 때문에 감옥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현재는 광장 중앙에 1830년에 일어난 7월 혁명을 기념하는 조형물이 세워져 있으며, 주변에는 바스티유 역이나 생마르탱 운하가 있다. 또한 예전에는 국철 바스티유 역도 있었지만 현재는 철거되었고, 부지에 오페라 바스티유라는 극장이 건설되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