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과 현대신학의 천년 왕국 이해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과 현대신학의 천년 왕국 이해 그의 나라는 끝이 없다. cuius regni non erit finis.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주후 381) 2조 1. 이레네우스(주후 130경-200) 1) 제 7일 안식일에 상응하는 안식과 샬롬의 나라로서의 천년왕국 2) 창조세계의 실체와 실존은 결코 멸절되지 않는다(영지주의 의식). 없어지는 것(고전 7:31)은 오직 그 속에 있는 죄성과 부정성 3) 미래 지향적 종말론 ​ 2. 터툴리안(160경-225) 1) 사도적 전승과 신앙 규범에 따른 이레네우스(미래 지향적 종말론) 전통 2) 몬타누스파에 가담함으로 임박한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에 대한 기대 속에서 대단히 엄격한 윤리생활과 영성생활 추구 3) 예루살렘 대신 페푸자(프리기아) 4) 시한부 .. 더보기
이근삼 박사의 개혁신학, 일반 은총, 문화신학 이근삼 박사의 개혁신학, 일반 은총, 문화신학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이근삼 박사는 박형룡, 박윤선, 한상동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개혁신앙 선조(先祖)로서 개혁주의 정통신학과 신앙을 뿌리내리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이근삼 박사는 고든칼리지, 웨스트민스터신학교 등 미국에서 5년, 화란에서 4년 변증학을 공부했며 기초를 쌓았다.” ​ “이근삼 박사는 불트만, 바르트, 몰트만, 과정신학 등 여러 신학을 비판적으로 소개하면서 변증학적인 접근을 했다. 이근삼 박사는 자유주의신학이 시작하는 때에 전통신학을 방어하는 학문적 기초를 놓은 인물이다.” 그는 “칼빈주의와 개혁주의는 동등적인 의미로 해석돼 왔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언약이다. 이근삼은 개혁신학을 계.. 더보기
천년왕국,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의 부활, 최종심판(종말론 2, 조덕영 교수) 천년왕국, 예수 그리스도 재림, 죽은 자의 부활, 최종심판(종말론 2, 조덕영 교수) 조직신학원론(신학이란 무엇인가)-종말론 2 천년왕국(millenium) 논쟁(계11:16,20:4) ​ 가. 들면서 ​ 1. 천년 왕국에 대한 성경의 언급 성경에서 직접 천년왕국을 말하는 구절은 요한계시록 20:4-6에 있는 ‘천년동안 왕노릇하리라’라는 말씀입니다. 2. 천년왕국의 의미 이것은 최후심판 이전에 사단이 결박되고 순교한 성도들과 진정한 성도들이 장차 그리스도와 함께 천년동안 지상에서 왕노릇한다는 견해입니다. 여기에 대해 공부합니다. ​ 나. 천년왕국설의 종류 ​ 1.무천년설 ​ 1) 대표 신학자 화란 개혁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 헐만 바빙크와 루이스 벌코프, 베르카우어, 게할더스 보스 등이 주장합니다. 이 .. 더보기
아디아포라(Adiaphora)는 기독교윤리의 주요 논제인가(조덕영 교수) 아디아포라(Adiaphora)는 기독교윤리의 주요 논제인가(기독교 윤리학 강좌, 조덕영 교수) 아디아포라(Adiaphora)의 문제 ​ 1) 용어: 헬라어 Adiaphoros(아무래도 좋은)에서 유래. 중립적! ​ 2) 역사적 유래: 스토아 학파는 선과 악 사이에 제 3의 집단으로 아디아포라를 위치. ​ 3) 성경적 관점 (1) 성경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제이므로 행동과 의식과 예법과 교의의 문제들에 있어 어느 쪽을 취하든 아무래도 좋은 것을 말할 수 있다. (2) 기독교 윤리에서 약간 부정적 뉘앙스 (3) 즉 성경이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는, 구원과 무관한, 아무래도 좋은(허용된), 중요치 않은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여기서도 약간 부정적 뉘앙스). ​ 4) 아디아포라의 문제 있어 스토아 학파의 문제점.. 더보기
종말론 : 그리스도인의 희망(1)(조덕영 교수) 종말, 마지막 일들: 그리스도인의 희망(1)(조덕영 교수) ※본 강좌는 조직신학원론(, 알리스터 맥그라스)으로서의 종말론 기초를 제공합니다. 더 깊은 내용을 원하시면 본 블로그 속에 있는 종말론 강좌를 참고하세요. -청지기- ​ 1. 종말론(eschatology)의 어원 헬라어의 ta eschata 즉 '마지막의 일들'에서 유래합니다. ​ 2. 종말론과 '묵시적'apocalyptic 용어의 구분 1) 유사 용어 2) 1980년 신약학자 크리스토퍼 로우랜드 등의 구분 종말론이 최후와 관련된 신학적 용어인 반면, '묵시적'(베일을 벗기는, 폭로, 계시)이라는 용어는 종말론적 신학 뿐 아니라 문학의 특별한 유형을 지칭(주전 200년경부터 주후 200년경까지 유대교 종파들의 독특한 세계관과 서술 방식 반영) ​.. 더보기
창세기 1장 1절의 게마트리아에 나타난 삼위일체 창조 섭리(삼위일체 흔적-Vestigium Trinitatis) 삼위일체 흔적에 대한 현대적 검토(흔적에 대한 현대적 검토(창세기 1장 1절에 나타난 삼위일체 창조 섭리) ​ ​ 자연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이다. 만물에는 창조의 질서가 나타난다. 눈의 결정체나 아직도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DNA나 단백질 등은 그 한 예이다. 가장 완벽한 질서는 창조 당시(창1:31)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후에 이 질서는 일부 붕괴하였다. 노아 홍수 이후 종말을 향해 가면서 그 붕괴는 가속을 더하고 있다. ​ 그러나 수학의 질서만큼은 창조 이래로 변동된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성경의 수학적 질서도 하나님의 창조와 관련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분명 성경이 나타내는 숫자 마다 일정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적 수(神的 數,.. 더보기
기독교와 세계 종교들(조직신학원론, 신학이란 무엇인가-조덕영 교수) 그리스도교와 세계 종교들 1. 다원주의 시대 현대 유럽 세계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1909년- 1998년, 영국 신학자, 선교학자, 인도 선교사/ 진보적, 보수적, 카리스마틱 개신교, 가톨릭 교인들과 이야기가 통하는 에큐메니컬 운동가 겸 선교사)의 언급 1) 우리가 다원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은 상식 2) 한 사회는 다양한 문화·종교·삶의 방식들을 포용해야 하는 시대 3) 뿐만 아니라 이 같은 다양성이 긍정되고 보존되어야 하는 시대 4) 삶의 실제로서의 다원주의와 이데올로기로서의 다원주의 구분 (1) 우리의 관심으로서 중요한 것은 삶의 실제로서의 다원주의다. (2) 이데올로기로서의 다원주의= 다원주의가 소망되고 권장되고 진리에 대한 규범적 주장은 제국주.. 더보기
기독교와 혈액형 인간론(인간론 강좌, 조덕영 교수) 혈액형의 인간론(성경과 혈액 그리고 신학적 인간론, 인간론 강좌) ​ ※혈액형은 사람의 성격과 기질을 반영하는가? ​ 어릴 적 학교에서 혈액 검사한 추억들이 강렬하게 남아있기 때문일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난히 혈액형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혈액형이 성격과 기질을 반영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주로 일본을 통해 흘러나온 주장이다. 혈액형에 대한 관심은 이렇게 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유별나다. 혈액형이 성격과 기질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넘어 이제는 혈액형 사랑학, 혈액형 인간학 심지어 혈액형 건강학까지 등장하고 있다. 반면에 서양 사람들은 자기 혈액형이 뭔지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궁금해 하지도 않는다. ​ 혈액형과 성격, 기질에 대한 이론은 1920년대 일본 심리학자 후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