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회는 어떤 곳인가-조직신학원론(신학이란 무엇인가, 조덕영 교수) 교회는 어떤 곳인가-조직신학원론(신학이란 무엇인가, 조덕영 교수) 교회론(Ecclesiology) extra ecclesiam nulla salus -카르타고 주교 Cyprian, AD.약 200-58) A. 교회론을 다루면서 1. 교회, 기독교의 근본적 실재 1) 교회(交會, 敎會)는 하나님의 계시의 일부(part of God's revelation)로 기독교신앙의 가장 근본적인 실재 가운데 하나입니다. 2) 이 교회는 "지옥 문에 대항해서"(against the gates of hell) 교회의 신성한 성격,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 그리고 교회의 부르심에 따르는 '성령'의 능력을 알아야 합니다(, E. P. Clowney). 3) 즉 교회는 사람들에게 십자가의 복음을 전하도록 주님으로부.. 더보기 인간의 본성과 죄와 은총-신학이란 무엇인가(조덕영 교수) 인간의 본성과 죄와 은총(조덕영 교수) ※인간 본성에 관한 10 가지 주요 이론 가. 유교 : 성인(聖人)들의 도리(道理) 1) 공자는 인간 본성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 없습니다. 2) 인간의 변화 가능성: 공자는 다만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같으며 각자 서로 다른 방식을 취한 까닭에 이처럼 달라졌다고 합니다. 3) “성품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 4) 미완성 상태의 유연함 속에서 덕의 완성을 위한 갈고닦음의 필요성 나. 우파니샤드 힌두교 : 궁극적인 지식을 향한 추구 1) 인간의 본질적 자아는 근본적으로 모든 존재와 연관되어 있다. 2) 따라서 긍극적 자아(atman)에 모든 신, 세상, 숨들이 의지하고 있다. 3) 우리 인간의 현생은 길고 긴 일련의 죽음과 환생의.. 더보기 그리스도와 구원(그리스도 안의 구원)-신학이란 무엇인가(9강) 그리스도와 구원(그리스도 안의 구원) -신학이란 무엇인가(알리스터 맥그래스 저)-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였으며 어떤 역할을 했는가하는 그 정체성은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정점에 있습니다. 본 강좌는 그리스도와 구원과 구원론의 기초를 배웁니다. Ⅰ. 그리스도 안의 구원 1. 구원의 근간(그리스도의 십자가) 1) 예수와 연관된 구원 (1) 기독교 신학의 특징은 기독교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2) 반면에 계몽주의는 십자가를 단순한 무한한 진리의 역사적 상징으로 이해한다(이에 영향 받은 마르틴 쾰러의 1898. 존 맥커리의 1977, 마우리스 윌레스의 1974 등) (3) 그리스도는 우리가 할 수 없는 것을 '우리를 대신했다'. 이것을 부정하는 것은 순전히 주관적인 .. 더보기 인간과 죄악(인죄론과 신정론-인간론 강좌, 조덕영 교수) 인간과 죄악(인죄론과 신정론-인간론 강좌, 조덕영 교수) 신학적 인간론(인간의 죄) Man in the state of sin/인간의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인죄론 1】 1) 성경이 분명 말하는 것은 우리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 살펴봅시다. 2) Historical view The earliest Church Fathers do not speak very definitely. *Adam 기원설(Irenaeus) *신의 산물(Gnosticism) *선재설(오리겐) 가. The origin of sin/죄는 어디서 왔을까요? 1. 하나님은 죄를 창시하신 분이 아닙니다(욥 34:10=>악을 행치 않으심, 시 92:15=>불의가 없으심). 2. 죄는 천사의 타락과 관련.. 더보기 인간론과 신학(신학은 왜 필요한가, 인간론 1. 서론, 조덕영) Ⅰ. 신학은 왜 필요한가(기독교 신학 서론, Who needs theology? S. Grenz) 조덕영 교수(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1. 신학이란 무엇인가 1) theology= "theos"(神)+ "logos"(理性, 知慧, 思考) 2) 文字的으로 神學= 모든 인간이 알고 싶어 하는 하나님에 관한 학문 3) 모든 사람은 신학자다(Everyone is a theologian) 사람은 누구나 전제(前提) 가운데 살아간다(“무신론자는 무신론을 전제한 신학자”). 2. 신학은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 1) 신학과 신학자들에 대한 편견 "Happy is the Christian who has never met a theologian!" 2) 기독교역사는 이단 사상과 바른 신학과의 싸움(다른 신학과.. 더보기 신학이란 무엇인가(조직신학원론)-예비적 고찰, 자료와 방법론, 신학의 정의와 구조(조덕영 교수) 신학이란 무엇인가(조덕영 교수) 본 내용은 강의 첫 수업을 위한 신학 기초 자료입니다. 훌륭한 기독사상가들을 만나는 것은 그들의 훌륭한 성경공부 모임에 참석하는 것과 유사하다. -알리스터 맥그래스- (옥스퍼드대 교수, 주 교재 "신학이란 무엇인가"의 저자) 1. 신학의 작업 가설적 정의(A Working Definition of Theology) 1) theology= "theos"(神)+ "logos"(理性, 知慧, 思考) 2) 文字的으로 神學은 "모든 인간이 알고 싶어 하는 하나님에 관한 학문" 3) S. Granz: 모든 사람은 신학자다(Everyone is a theologian). 사람은 누구나 전제(前提) 가운데 살아간다(“무신론자는 무신론을 전제한 신학자”). 4) John Macqu.. 더보기 인간의 기원-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인간론 2) 인간의 기원-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인간론 2) ©오스트리아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 “Imago Dei” 1.Without knowledge of self there is no knowledge of God 2. Without knowledge of God there is no knowledge of self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ook 1. Chapter 1. 1-2) Ⅰ.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창 1:26-28) 【인간론】 1) 사람이란 도대체 어떤 존재일까요? 2) 칼빈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인간을 알 수 없고, 인간에 대해 모르면 하나님도 모른다’는 유명한 말로 자신의 책 「기독교강요」를 시작합니다. 3) 성경 최고의 주.. 더보기 조직신학원론-신학이란 무엇인가 2(자료와 방법론, 예비적 고찰, 신학의 자료) 신학 언어의 본성(신학이란 무엇인가 2. 자료와 방법론, 예비적 고찰, 신학의 자료) 8. 신학 언어의 본성 1) 유비(類比, 類推; Analogia) 유비란 두 개의 사물이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는 것을 근거로 다른 속성도 유사할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하나님은 창조주이신 반면, 인간은 유한한 존재다. 즉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은 존재성의 차원에서 볼 때 근본적으로 다르므로 유비(한 영역에서 어떤 원칙이 통하면 다른 유사한 영역에서도 그 운칙이 통할 수 있다고 보는 사유)의 방식으로만 하나님에 대해 언급할 수 있다. ※유비의 중요성 두 가지(맥그라스) 첫째, 유비를 통하여 하나님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신을 계시하실 수 있다(“하나님 편에서의 양보”). 둘째..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41 다음